브라우징 태그

심혈관질환

5060 女 뱃살은 심장에 치명타…”완경 전에 빼야 한다”

호르몬 변화를 겪는 중년 여성은 살이 찌기 쉽고 근육량이 줄어 들어 건강관리에 더욱 신경 써야 한다. 특히 완경 이후에는 여성호르몬의 감소로 복부지방과 내장지방이 증가하게 되고, 골다공증 위험도 커지게 된다. 또한 체지방이 증가하고 혈관의 탄력이 떨어져 심혈관질환의 위험도가 급격히 증가한다. 중년 여성이 조심해야 하는 심혈관질관과 예방…

영국 치과의사가 전한 코골이 막아주는 부비강 뚫는 방법

“잠자기 전 콧속을 뚫어라!”…코골이 막는 ‘이 동작’ 뭐길래?

잠들기 전 콧속을 뚫는 것이 양치만큼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매일 밤 양치는 필수 습관인 것은 이미 잘 알고 있지만, 코를 뚫어야 한다는 것은 무슨 의미일까. 영국 일간지 데일리메일 등 외신은 영국 출신 치과의사 세바스찬 로마스 박사의 콧속 뚫기 주장을 소개했다. 로마스 박사에 따르면 부비강(콧구멍이 인접한 뼛속 공간)을 코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6개월간 채식하면 콜레스테롤, 혈당, 체중조절 개선 효과

심장혈관 안좋은 사람… “6개월만 채식해라” (연구)

심혈관질환 고위험군의 경우 채식을 6개월 이상 할 경우 콜레스테롤과 혈당, 체중조절이 모두 좋아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의학협회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발표된 호주 시드니대 연구진의 리뷰를 토대로 건강의학 웹진 ‘헬스 데이’가 26일(현지시간) 보도한 내용이다. 연구진은 육식보다 채식이 건강에 좋다는 것은…

금연하려 ‘전자담배’ 사용?… 알고 보니

미국에서 젊은 성인 10명 중 1명이 전자담배를 정기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담배 대체제가 아닌 담배 입문용으로 오용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최근 미국 뉴스방송 CNN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발표한 통계를 바탕으로 전자담배 사용자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보도했다. CDC의 국립 보건 통계가 실시한 연구에…

오히려 건강에 좋다는 연구 결과... '기존 의학 상식'과 상반돼

붉은 육류와 유제품, 무조건 적게 먹는 게 좋을까?

의사들은 오랫동안 붉은 육류와 유제품이 심혈관 질환, 기타 심장 및 혈액 질환의 주요 원인이라고 경고해 왔다. 그러나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지난 주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붉은 고기를 많이 섭취한 사람들이 적게 섭취한 사람들보다 건강 측정에서 더 나은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과일, 채소, 견과류,…

낮잠 습관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 뇌 용적에 차이

뇌건강 유지하려면…’규칙적 낮잠’이 효과 (연구)

낮잠을 게으름의 표시로 여기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매일 오후 낮잠을 자는 것은 우리가 잘 늙기 위해 필요한 습관일 수도 있다. 새로운 연구는 낮잠 자는 습관이 노화 과정에서 뇌가 줄어드는 것을 막을 수 있다고 시사한다. 규칙적인 낮잠이 자연적인 뇌 수축으로 인한 노화 과정을 늦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우루과이대 연구팀은 영국…

투여량에 따라 심방세동 위험 증가해

건강해지려 먹은 오메가3… ‘이 질환’ 위험 높일 수도

‘오메가3’라는 이름으로 잘 알려진 ‘장쇄오메가-3불포화지방산’이 심방세동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메가3 지방산은 염증을 완화하고 혈액 응고를 막는 등 인간의 지질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주로 등푸른생선이나 어패류 등 해양생물의 기름을 정제한 영양제의 형태로 소비하게 된다. 심혈관질환에도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식단조절·운동으로 '건강하지 않은 근육량' 줄여야

지방간 환자가 반드시 신경 써야 할 ‘이것’

비알코올지방간질환이 있는 환자가 간 섬유화 위험을 낮추려면 건강하지 않은 근육을 줄여야 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근육의 양과 더불어 근육의 ‘질’도 신경 써야 한다는 것이다. 비알코올성지방간질환은 음주와 관계없이 간세포 내 지방이 5% 이상 쌓이는 병으로, 전 세계적에서 가장 흔한 만성 간질환이다. 지방간 환자가 장기간 간염을 앓으면 간에 흉터가…

850만명 10년간 추적... 젊을수록 영향 ↑

당뇨병 발병 위험 높이는 ‘잔여 콜레스테롤’ 관리법

잔여 콜레스테롤이 높을수록 당뇨병 발병 위험이 커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젊은 사람일수록 잔여 콜레스테롤의 영향이 컸다. 한림대성심병원·숭실대 공동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데이터를 분석해 얻은 결론이다. 잔여 콜레스테롤은 ‘총 콜레스테롤 수치’에서 LDL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을 뺀 값을 말한다. LDL 콜레스테롤은 혈관벽에 붙어서…

아주대 연구팀 “신체 활동 꾸준히 하면 위험 50% 감소”

오래 앉아 일해도… 심장병 줄이는 방법은?

오래 앉아서 일이나 공부를 하는 사람도 주 2~3일 이상 신체 활동을 꾸준히 하면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아주대 연구팀이 성인 6800여명을 추적 관찰해 내린 결론이다. 연구팀은 2009년~2018년 한국의료패널조사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6828명을 대상으로 △주중 하루 평균 앉아 있는 시간 △주중 중등도·고강도 신체…

[오늘의 건강]

술·담배 즐기는 사람이 의외로 조심해야 할 ‘이것’

화요일인 오늘은 전국 하늘이 다소 흐려지며 곳곳에 비 소식이 있겠다. 충청 이남과 제주에 각각 5~20mm, 40mm의 비가 내릴 전망이다. 때 이른 더위는 조금씩 힘을 잃겠다. 서울 낮 최고 기온은 30도로 예보됐으며, 전국 대부분 지역의 기온도 어제보다 2~5도가량 낮겠다. 오늘부터 시작되는 비는 내일 전국으로 확대되겠다. 오늘의 건강=음주와…

살 빼려면 탄수화물 끊어라? 올바른 섭취법

체중 감량 하려면 가장 먼저 탄수화물부터 줄이거나 끊어야 한다는 것이 상식이다. 하지만 정말 탄수화물은 ‘비만의 적’ 일까? 날씬한 몸매를 위해서는 한식의 기본인 밥 한 공기를 포기해야 하는 것일까? 세상 모든 다이어트 도전자들에게 고민거리인 ‘탄수화물’이지만, 오히려 다이어트를 돕는 탄수화물도 있다. 바로 채소, 과일에 많은 식이섬유이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연구팀

인공지능(AI)이 심혈관질환 진단을?…정확도 92.8%

심혈관질환을 진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AI) 모델이 개발됐다. 심혈관질환의 대표적인 증상인 가슴 통증 발생 시 수집 가능한 정보에 따라 질병의 위험도를 평가한 결과를 맞춤형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연구팀(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나승운 교수, 고려대 심장혈관연구소 최병걸 교수)이 한양대 노영균 교수, 을지대…

혈중 염증 수치와 연관...서울대병원, 심혈관 관리 중요 지표 제시

학계 정설과 달라…나쁜 콜레스테롤 적어도, 심혈관질환 위험 ↑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는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높아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심혈관질환 병력이 없고 LDL 콜레스테롤 수치가 낮아도 혈중 염증 활성도가 높으면 심혈관질환 위험이 증가한다는 내용이다. 서울대병원 양한모 교수·박찬순 임상강사,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연구팀이 2009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식품안전정보원, 'WHO 글로벌 나트륨 섭취 저감 보고서' 번역·발간

나트륨 덜 먹으면, ‘이것’ 사망자 700만 명 감소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전 세계인의 나트륨 섭취가 줄어들면 2030년까지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자가 700만 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식품안전정보원이 WHO가 발표한 '글로벌 나트륨 섭취 저감 보고서(WHO GLOBAL REPORT ON SODIUM INTAKE REDUCTION)'를 번역해 발간한 내용이다. WHO 회원국…

국내 20~39세 성인 650만 명 국가건강검진 데이터 분석 결과

우울증 등 정신질환, 젊은층서 ‘이것’ 위험 58% 높여

우울증 등 정신질환 병력이 있는 20~30대 성인은 또래 대비 심근경색, 뇌졸중 등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최의근 교수·박찬순 임상강사, 숭실대 한경도 교수 공동연구팀이 2009~2012년 국가건강검진을 받은 20~39세 성인 655만 7727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다. 정신질환 유무에 따른…

고혈압 환자 20년 추적? 이것 따라 합병증 위험 ‘차이’

고혈압 환자가 혈압을 관리하면 심·뇌혈관질환 위험이 최대 6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환자들을 최대 20년간 추적 관찰해 내린 결론이다. 고려대구로병원 심혈관센터 연구팀은 2007년부터 2014년까지 질병관리청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등록된 18세 이상 성인 3만 8천여 명의 고혈압 유병률 과 심·뇌혈관질환 위험변화를 추적했다. 그 결과…

30대 환자, 60대 환자보다 1.73배 발병 위험...건강한 생활습관 필요

젊을 때 당뇨병 걸리면, 심혈관질환 위험 더 커져

30대 젊은 나이에 성인 당뇨병이 발생하면, 유전적 요인의 영향으로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대사내과 곽수헌·박경수 교수와 이현석 전문의 연구팀이 30~60대 성인 당뇨병 환자 1만 3486명을 대상으로 당뇨병 진단 연령에 따른 심혈관질환의 유전적 위험을 비교한 결과다. 생활습관에 따른 유전적 위험의 차이도…

심장병에 위험이 되는 요인이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

약한 심장, 치매 부른다? 개선하는 습관 3

뇌가 기능하기 위해서는 연료가 필요하고, 그 연료는 심장이 산소와 혈액을 공급함으로써 채운다. 하지만 뇌는 이 중요한 자원을 비축해두지 않는다. 미국 웨일 코넬 의대 콘스탄티노 아이아데콜라박사는 심장과 혈관은 곡물 저장고가 없는 외딴 도시로 이어진 보급로이며, 이 보급로로 식량이 전달되지 않으면 그 도시의 사람들은 먹지 못해 굶주리게 된다고 설명했다.…

2가지 항목 이상 줄이면, 관상동맥석회화 위험 절반으로 줄어

젊어도 ‘대사증후군’ 방심 말아야…심혈관질환 위험 ↑

대사증후군은 대표적인 생활습관 질병이다. 복부 비만, 높은 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콜레스테롤(HDL), 혈압 상승, 공복혈당장애 등 5가지 항목이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대사증후군이 있으면 젊은 사람도 심혈관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최수연, 이희선 교수팀이 젊은층의 대사증후군이 관상동맥석회화 진행에 미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