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우징 태그
심리
식음 전폐하게 만드는 이별…몸 망치지 않게 현명하게 극복해야
“이별이 최고의 다이어트?”…헤어지면 왜 살 빠질까
“고맙다, 전 남친아! 너와 헤어진 덕분에 3주 동안 거의 아무것도 먹을 수 없어 살이 쭉쭉 빠지더라. 3주간 7kg 빠지다니, 몸이 상한 건 덤이지만 내 인생 최고의 다이어트였다!!”
'웃픈(웃기고도 슬픈)' 이야기지만 연인을 잃고 체중도 잃은 경우가 많다. 사랑하는 사람과 이별을 하면 한동안 슬픔에 빠진다. 참담한 그 마음을 치유해가는 방법은…
최후통첩게임 활용한 연구 결과
사람은 자기와 비슷한 사람을 신뢰한다 (연구)
인간 행동에 대한 이전 연구는 사회적 규범이 개인의 의사 결정을 이끄는 주요 요소라는 것을 시사한다. 주변의 모든 사람들이 이기적이면, 사람들은 이를 받아들이고 이기적으로 행동하는 법을 배운다는 의미다. 미국 어바나샴페인일리노이대 연구팀은 사회적 동조에 대한 지배적 견해와 조금 다른 연구를 내놨다. 우리가 어떻게 행동하는지 결정짓는 것은 바로 타인의 행동에…
나르시시스트의 3가지 유형 중 자기애성 인격장애는 병
주변에 꼭 한명은 있다…관심 끌려는 ‘관종’도 병일까?
주위를 둘러보면 세상은 자기위주로 돌아가고, 척척박사에, 이목을 끌려고 애쓰는 사람을 볼수 있다. 나르시시스트의 면모를 가진 이들은 일반적으로 감탄의 대상이 되고 싶은 과도한 욕구, 특권의식, 타인보다 잘나야 한다고 끊임없이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미국 심리치료사인 폴 호크마이어 박사는 나르시시즘에 대해 “타인과의 친밀감을 방해하는 자기 집착”이라고 …
연인 간 상대방이 싫어하는 행동... 거울 치료 기회
여자가 은근히 싫어하는 남자의 행동 6가지
연인 혹은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더 넓게는 성별이 다른 친구와의 관계에서도 상대방이 하는 행동 중 은근히 싫어하는 것들이 있다. 어떤 경우에는 도저히 못 참아 싸움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는 상대로부터 싫어하는 행동을 보더라도, 인내하면서 상대 그대로를 인정하거나 싫어하는 행동이니 자제를 해달라고 정중히 부탁하는 등의 교감을…
부정적인 상호작용, 자존심 깎아내리기 등
독이 되는 인간관계를 알 수 있는 징후 6
연인 혹은 배우자와의 관계에서 때때로 의견이 엇갈리고 갈등이 생기는 것은 정상이다. 이때 서로가 편안하게 의견을 나누고 경청하면서 갈등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이 건강한 관계의 신호다. 이러한 상호작용이 지속적으로 이뤄지지 않는다면 독이 되는 인간관계가 될 수 있다. 이는 연애만이 아니라 친구 혹은 동료와의 관계에서도 해당될 수 있다.
해로운 관계는…
자녀가 실패 부적응 강박 가질 위험 높아
이런 부모 가진 자녀, 게임 중독 위험 크다
완벽을 추구하는 부모일수록 자녀가 게임 중독에 빠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학술지 ‘인간 행동의 컴퓨터(Computers in Human Behavior)’에 발표된 최근 연구를 인용한 ‘사이포스트(PsyPost)’의 26일 보도에 따르면 완벽주의적인 부모의 태도는 실패에 대한 자녀의 부적응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강박적인 게임 중독의…
싸움만 하면 말 못하고 우는 이유는?
살면서 어쩔 수 없이 겪게 되는 타인과의 갈등. 하지만 갈등이 생겼을 때 건강한 논쟁을 통해 해결할 수 없는 사람들이 있다.
자신의 생각을 명확히 표현할 수 없거나, 얼어붙어 한마디도 못하거나, 말하려고 하면 눈물부터 나는 사람들도 있다. 싸움에서 정확한 말로서 감정을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고 상황만 모면하게 되면 또다른 앙금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의식적 혹은 잠재의식적으로 현 상황을 있는 그대로 유지하려는 경향
가까운 사람들이 체중감량 방해한다?(연구)
체중 감량의 여정은 멀고 험하다. 여기에 만약 가족과 친구 등 가까운 사람들이 방해꾼으로 등장한다면 목표 달성은 더욱 어려워진다. 사랑하는 사람들의 지원이 살을 빼려는 이들에게 긍정적 결과를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의도적이든 아니든 가까운 사람들이 체중 감량을 방해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영국 서리대 연구팀이 관련 문헌을…
친구 관계 좋으면 연인 관계도 좋다?
연애를 시작할 때는 모든 시간을 함께 하고 싶은 생각이 들기 마련이다. 하지만 처음의 흥분되고 행복한 시간이 지나고 나면, 연인과의 관계 그 이상이 필요하다는 걸 새롭게 깨닫는 순간이 온다. 바로 친구다. 좋은 친구 관계는 우리 삶에 행복감을 높일 뿐 아니라 연인 관계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좋은 친구 관계가 연인 관계에 도움이 되는 이유, 미국…
불안수치 낮아지고 범죄 감소
도심 속 녹지 공간이 건강에 좋은 이유
도심 속 녹지 공간은 신체 및 정신 건강을 비롯해 시민들의 행복감을 전반적으로 증진시킨다. 숲, 산책로나 자전거 길이 있는 공원, 나무가 즐비한 주택가, 공동체 텃밭 등 모두가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도심 내 녹지 공간은 혼잡한 도시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자 깨끗한 공기를 마시고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녹지 공간이…
운동하면 우울증 치료? 어떤 운동이 좋을까
가벼운 운동으로 하는 우울증 치료가 약물이나 심리상담만큼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독일, 벨기에, 영국 등 국제 연구팀이 최근 «영국 스포츠 의학 저널(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에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총 226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41건의 실험을 분석했다. 운동의 효과를 다른 우울증…
의사도, 정치인도..이럴 땐 ‘가스라이팅’ 주범?
세계적 영어사전 메리엄 웹스터가 2022년 올해의 단어로 ‘가스라이팅’을 선정한 적이 있다. 가스라이팅은 개인 간의 문제를 넘어선 사회적 이슈다.
이 단어는 1938년 ‘Gas Light(가스등)’라는 연극에서 비롯됐다. 1944년에 영국에서 가스라이트(Gaslight)란 영화로 만들어졌다. 아내에게 그녀가 환각을 보고 상상을 한다고 주장해 자신의…
감사하는 마음, 급성 심리적스트레스 영향 완충
마음 가짐이 혈압을 낮춘다?
피할 수 없는 삶의 일부인 스트레스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아일랜드 연구팀에 따르면 감사를 실천하면 급성 심리적 스트레스의 영향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새로운 연구는 감사하는 마음의 상태가 이런 스트레스의 초기 반응과 회복에 독특한 완충 효과가 있어 심혈관 건강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을…
한림화상재단, 31일까지 다이어리 전시회
화상 입은 자녀 둔 엄마들의 ‘일기 전시회’
"힘이 안 나는 하루도 있다.....밤에 20~30번은 기본으로 깨는 아이를 보면 그 날로 어김없이 되돌아간다."
화상을 입은 아이를 둔 부모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우울, 불안 등의 고통을 겪는다. 아이의 치료와 회복 과정에 함께 하기에 심리적 안정이 매우 중요하지만, 이들이 관심을 받은 적은 많지 않다.
이런 어머니들이 직접 쓴 일기를…
좋은 형제 관계, 외로움 줄이고 건강에도 유익
피는 물보다 진할까?..형제 갈등 푸는 법
설 연휴에는 형제자매가 모여 가족의 정을 나눈다.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걸 새삼 느낀다. 피가 물보다 못할 때도 있다. 갈등이 벌어지면 ‘피를 나눴기 때문에’ 배신감을 더 느끼고 ‘원수’가 되는 수도 있다. 이럴 때 어찌해야 하는가.
미국 건강매체 ‘에브리데이헬스(Everyday Health)’가 영국 왕자 해리의 회고록 ‘스페어(Spare)’ 출간을…
공감이 부족하고, 계산적이며, 강한 자신감이 특징
마키아벨리적 연인?…”차이기 전에 차야”
처음 만났을 때 매력적이고, 똑똑하고, 자신감 넘치는 사람으로 보였다. 사귄 지 몇 달이 지나면서 사람을 조종하고, 권력에 집착하며, 심지어 잔인한 면모까지 또 다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런 남친이나 여친은 ‘마키아벨리적 성격’의 사람일 수 있다.
미국 남성잡지 ‘멘즈헬스’ 온라인판에서 ‘마키야벨리적 성격’의 유형과 대처 방법을 소개했다.…
‘신체긍정’ 보여주는 소셜미디어 노출, 다른 사람과 외모 비교 줄어들어
하루 한 번만 ‘이것’ 봐도 외모 불만 감소 (연구)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는 아름다운 이상형을 보여주는 사진들이 넘쳐 난다. 호주 시드니의 뉴사우스웨일즈대(UNSW) 연구팀에 따르면 이들 이미지와 약간의 거리만 둬도 자신의 신체 만족감에 큰 차이가 난다. 다양한 신체 사이즈와 형태 혹은 ‘신체 긍정’을 보여주는 소셜 미디어를 팔로우하면 일상 생활에서 젊은 여성들이 자신이 신체에 대한 안정감을 느끼는 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