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영의료보험이 주된 미국과 달리 우리나라는 전국민을 대상으로 단일한 공적의료 보험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제도 아래서는 미국과 같이 의료보험에 가입하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는 없지만 저효율과 저수가, 낮은 보장성이라는 고질적인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특히 저수가 문제는 의료기관의 경영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는데 이러한 저수가문제를…
한번 손상된 각막은 다시 되돌릴 수 없을까? 눈의 검은자위를 덮고 있는 각막은 눈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빛이 눈에 들어오는 첫 통로여서 시력에 중요하다. 외상, 세균 등으로 각막이 손상되면 시야가 흐려지거나 시력이 떨어진다. 자칫하면 실명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각막은 화학 물질, 화상 등 다양한 원인으로 손상된다. 구조적으로 각막이 뾰족이 올라온…
최근 청년층의 탈모 치료비를 지원하는 지방자치단체들이 속속 나오고 있다. 조기 탈모가 20~30대의 스트레스를 가중하는 사회 문제라는 이유에서지만, 지원 정당성을 놓곤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 성동구는 오는 3월부터 만 39세 이하 구민에게 연간 20만 원까지 탈모 치료비를 지원한다. 경구용 약제비를 기준으로 1인당 구매금액의 50% 한도다.…
진료실에 앉아 있으면 나이 드신 분들이 꽤 많이 찾아오신다. 한국인의 평균 수명은 2020년 현재 83.5세다. 대한민국은 OECD 2위의 장수 국가다. 90세 이상의 노인 인구는 2021년 현재 약 140만 명이고,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70, 80대에 실명 위기에 놓인 분들을 보면 진료에 앞서 안타까움이 앞선다. 다행히 치료가 되더라도 제…
초여름 열기에 바싹 마른 대지를 적시는 단비 내린다. 어제 제주와 전라에서 시작한 비구름, 전국으로 번지겠다. 영서지방을 제외한 중부지방과 전북 동부, 경북 북부는 오후에, 영서지방은 저녁까지 곳곳에서 비 내린다.
기상청은 예상 강수량 5㎜ 안팎으로 예보했다. 강원 중·남부 동해안과 경북 남부는 여전히 메마른 대지의 목마름 풀리지 않아 여전히…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2020년 주요수술통계연보에 따르면 인구 10만 명당 수술 건수 1위는 백내장이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탁해져 빛 통과가 줄고, 안개에 갇힌 듯 시야가 뿌옇게 변하는 질환이다. 지금까지 백내장은 60대 이상 발병률이 높은 '노인성 질환'으로 여겨졌다.
최근 스마트폰 같은 전자기기 사용이 늘며 40·50대 백내장 발생이 급증하고…
코로나19로 인해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재택근무와 학생들의 온라인학습으로 스마트폰과 컴퓨터 등 디지털기기 이용시간이 급격하게 늘었기 때문. 이와 함께 마스크를 장시간 착용하는 것도 안구건조증의 한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눈이 뻑뻑하고 피로한 일이 잦다면 안구건조증 증상을 완화하는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좋겠다.
중앙대병원에 따르면,…
노안인구가 증가하면서 노안교정술 관심도 상승했다. 노안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안구 내 수정체 기능이 점차 약해져 발생한다.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꾸준히 노안인구는 증가하는 추세다. 2020년 기준으로 노안(노년시) 진료 환자 수는 10만 명, 백내장 환자 수는 142만 명(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의료빅데이터개방시스템)이었다.
◆ 노안교정술이란…
나이가 들면 자연스럽게 시력이 떨어진다. 고령화로 백내장 환자도 늘어나는 추세다. 이로 인해 노안교정술인 '다초점 인공수정체 시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최근 그 효과와 안전성이 평가돼 주목된다.
노화가 진행되면 안구 내 수정체도 늙는다. 수정체의 기능이 떨어져 노안이 발생하는데, 이로 인해 책이나 휴대폰을 보는 등의 일상생활에 어려움이…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를 사용하는 생활이 일상화되면서 눈 피로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눈이 뻑뻑하고 건조하다는 느낌이 들고 벌겋게 물드는 충혈이 나타나기도 한다.
늘어난 모니터 사용 시간과 함께 수면 부족, 콘택트렌즈 착용 등도 눈의 피로도를 높이는 원인이다. 모니터를 쳐다보는 동안에는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들고, 콘택트렌즈 착용 시에는…
새벽 세 시, 문득 요의를 느낀다. 화장실에 다녀오니 잠이 달아난다. 누구든 간혹 겪는 일이지만 잦아진다면, 그래서 이튿날 컨디션까지 망가진다면 건강의 적신호다.
미국 ‘멘스 헬스’가 자다 말고 화장실에 가는 야뇨증의 원인을 정리했다.
◆불면증 = 요의 탓에 깨는 게 아니라, 잠을 제대로 못 자기 때문에 화장실을 가는 경우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19 때문에 공공장소나 버스, 지하철 등 대중교통에서 마스크 착용이 의무사항이 되면서 시력이 나빠 안경 쓰는 사람들이 괴롭다. 마스크를 쓰면 안경에 김이 서려서 앞이 잘 안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안경을 벗을 수도 없고, 마스크를 벗을 수도 없으니 불편하기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이 때문에 삶의 질이 떨어진다는 사람도 있다.
서울 종로구에 사는…
전국이 흐리고 충청도와 남부지방, 제주도는 비 내린다. 경기 남부와 강원 남부는 저녁부터 비 온다. 아침 최저 16~22도, 낮 최고 23~29도.
☞공기와 자외선=공기는 맑다. 자외선은 오전에 전국이 ‘보통’이고, 수도권과 강원은 오후 ‘한때 나쁨.’ 수도권과 강원은 선글라스, 자외선차단제 준비해야겠다.
☞오늘의 건강상식=시력이 같아도…
젊은 노안(老眼)이 늘고 있다. 40대 초중반 벌써 노안교정술을 고려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것.
노안을 노인성 안질환과 혼동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둘은 엄연한 차이가 있다. 노안은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생리적인 현상이고, 노인성 안질환은 백내장, 녹내장 등의 질환을 의미한다.
가톨릭대학교 인천성모병원 안과 황형빈 교수는 "노안은 영문명인…
하루 반짝 하늘이 맑았다가, 오늘(18일) 오후부터 주말까지 다시 미세먼지 나쁨 상태로 접어든다. 최근 미세먼지가 연일 최악의 농도를 보이며 병원은 환자들로 붐볐다. 안과도 예외는 아니다.
"눈이 너무 건조해요. 요즘 특히 심해진 것 같아요." (라식수술을 받은 경험이 있는 안구건조증 환자)
원래 겨울은 건조한 날씨 때문에 안구건조증 환자가…
눈은 세상을 보는 창이라는 말이 있다. 우리가 얻는 정보의 90% 이상은 눈을 통해 들어오는 만큼 눈은 우리 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상계백병원 안과 최진 교수가 눈과 시력에 대해 자주 묻는 질문들에 대답했다.
나쁜 시력 반드시 유전되지는 않아
나쁜 시력은 유전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대부분 눈이 나쁘다고 하면 근시,…
요즘 같은 한여름, 햇빛이 강하면 외출할 때 자연스레 선글라스를 챙긴다. 하지만 소나기가 오락가락하면서 구름이 끼거나 흐린 날에 선글라스를 쓰는 사람은 많지 않다.
보통 자외선 지수는 맑은 날보다 흐린 날에 감소하는데, 의외로 햇빛이 나지 않더라도 자외선 지수가 높을 때가 있어 눈 건강을 위한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기상청 자료를…
날이 어둑어둑해져도 실내조명을 잘 켜지 않는 사람들이 있다. 성격이 어둡고 침울하다는 오해를 받지만 사실상 빛을 두려워하는 ‘광선공포증’ 때문이다. 보다 정확한 표현은 빛을 무서워한다기보다 빛에 민감하다고 볼 수 있다. 실내조명뿐이 아니다. 대낮의 밝은 햇빛도 불편해한다. 심지어 빛 때문에 통증이 느껴진다는 사람들도 있다.…
여름에는 자외선 차단과 눈 보호를 위해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사람이 많다. 하지만 겨울이라고 안심은 금물이다. 흙이나 콘크리트, 아스팔트는 자외선의 10% 정도만 반사하는 데 비해 겨우내 내린 눈은 80%나 반사하기 때문이다. 이는 여름철 자외선보다 4배 이상 높은 수치다.
눈(雪)에 반사된 자외선이 눈(目)에 오래 노출되면 일시적 혹은…
중년여성의 스트레스 및 우울이 미용성형수술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한 논문이 나왔다. 정서적 우울이 큰 여성이 가장 많이 선택하는 미용성형은 필러-보톡스로 나타났다.
호남대 뷰티미용학고 전현진 교수팀이 광주시에 거주하는 40-59세 중년여성 200명을 대상(2015년 4월)으로 스트레스-우울 정도와 미용수술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