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02월 20일 (목)

고지혈증약(스타틴) 먹었더니 당뇨병 생겼다?

[송무호의 비건뉴스] 64. 의사가 말하지 않는 고지혈증약의 4가지 부작용 ③ 당뇨와 간 기능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기 위해 먹는 고지혈증약의 부작용은 항상 과소평가되어 왔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근육통이며 어깨, 허벅지, 종아리 같은 큰 근육에 나타난다. 환자들이 약 복용을 중지하는 가장 큰 이유(60~70%)는 근육통이다 [1, 2, 3].

근육통 다음으로 중요한 부작용은 뇌 기능 문제다. 고지혈증약을 사용하면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이 저하된다. 뇌세포 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콜레스테롤이 부족해지기 시작하면, 뇌 기능에 서서히 문제가 생겨 인지 기능 장애, 즉 치매가 발생한다 [4, 5].

그다음으로 중요한 부작용에는 당뇨병 발생과 간 기능 저하가 있다. 먼저, 당뇨병 얘기부터 해보자.

고지혈증약은 당뇨병을 어떻게 악화시키는가?

미국에서 약 16만 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최소 3년간 스타틴 복용자와 비(非)복용자 간의 당뇨 발병률을 조사한 결과, 스타틴 복용 군에서 당뇨 발병률이 인종에 따라 50~70% 더 증가했다고 한다 [6]. 무려 2.2배 더 증가했다는 다른 보고도 있다 (아래 그래프) [7].

* VA Zigmont, et al. Diabetes Metab Res Rev 2019

 

당뇨병이 발생하는 이유는 콜레스테롤 결핍으로 인한 세포막 변성으로 인슐린 저항성 증가와 췌장 인슐린 분비 기능 저하가 원인으로 지목된다 [8]. 따라서 스타틴은 당뇨 조절을 힘들게 하여 당뇨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9].

당뇨 환자 중 고지혈증약(스타틴)을 많이 사용하는 분은 그렇지 않은 분에 비해 심장 동맥 석회화가 더 빨리 일어나는 것으로 보고된다 [10]. 알다시피 당뇨병은 심혈관 질환의 주요 위험 인자다.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기 위해 먹는 약이 당뇨병 발생을 증가시키고 또한 심장 동맥 석회화를 촉진한다니 아이러니하지 않은가? 따라서 당뇨 환자에게 스타틴 사용은 심각하게 재고되어야 한다 [11].

고지혈증약은 간 기능을 어떻게 떨어뜨리는가

다음, 간이 건강하지 않으면 삶이 힘들어진다. 스타틴 복용 중 이유 없는 피로감, 식욕감소, 황달 등 간 손상을 의심하게 하는 증상이 생길 수 있다.

스타틴의 간 독성은 오래전부터 잘 알려져 왔다 [12]. 그래서 스타틴을 시작하기 전에 간 기능 검사를 하고, 사용하는 도중에도 주기적으로 검사를 한다.

스타틴 복용자에서 간 수치가 증가하는 경우는 1~3% 정도라 흔치 않고, 그 정도도 심하지 않다는 보고도 있지만 [13, 14], 서울대 발표에 의하면 스타틴을 새로 먹은 환자에서 간 손상 발생률은 연간 100인당 17명으로 나타났다. 심각한 간 손상 발생률도 100인당 3.5명으로 나타남에 따라 한국인은 서양인의 간 손상 비율보다 훨씬 높다 하였다 [15]. 또 다른 한국 연구에서는 간 손상이 13%에서 나타났다고 하니 주의를 필요로 한다 [16].

여기다 간과 연관된 또 하나의 문제가 있다. 코큐텐(coenzyme Q10, CoQ10)이라는 물질이 있는데 이것은 세포 내 ‘에너지 공장’인 미토콘드리아에서 포도당과 산소를 이용하여 에너지인 ATP를 만들 때 꼭 필요한 효소다.

코큐텐은 인체의 모든 세포에 존재하나 특히 에너지를 많이 필요로 하는 심장, 뇌, 간, 근육 등에 많이 분포한다. 스타틴이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을 억제할 때 심장 기능에 중요한 코큐텐 합성도 동시에 억제한다 (아래 그림, Mevalonate pathway)[17].

심장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뛰는 기관이다. 쉼 없이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기에 코큐텐은 심장에 특히 많이 분포한다. 따라서 스타틴으로 인한 코큐텐 부족증은 심장 기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18, 19].

* AE Raizner, et al. J Am Coll Cardiol 2021

스타틴 복용 목적이 심장마비 예방인데, 스타틴 복용으로 코큐텐이 감소하여 심장 기능을 저해시키니 뭔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따라서 이걸 아는 의사들은 스타틴 처방 시 심장 보호를 위해 코큐텐 보충제를 항상 같이 처방한다.

코큐텐이 부족하게 되면 심장뿐 아니라 근육 및 각종 장기 내 에너지 생산에 차질을 빚어 기운이 없어지고 피로를 호소한다 [20]. 특별한 이유 없이 만성 피로를 호소하시는 분이 있다면, 스타틴 복용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 봐야 한다.

그 외 주요한 부작용을 몇 가지 더 소개하자면

코로나19 팬데믹 시대를 거치며 면역의 중요성이 강조되는데, 콜레스테롤은 면역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21]. 약으로 콜레스테롤 수치를 강제로 낮추면 바이러스 감염이나 암 발생에 취약해진다 [22, 23, 24]. 스타틴 복용 후 유방암 발생률이 스타틴군 4.2%, 위약군 0.34%로 스타틴군에서 무려 12배나 더 많았다는 최상위 의학저널인 NEJM 보고도 있다 [25].

남성 및 여성호르몬을 만드는 재료가 콜레스테롤인데, 약으로 콜레스테롤 생산을 방해하니, 발기부전을 비롯한 여러 성 기능 장애도 유발한다 [26, 27]. 스타틴 복용 후 백내장 발생이 더 증가했다는 보고도 있다 [28].

이런 각종 부작용에도 불구하고 스타틴 복용이 필요한 분들은 있다. 이미 심근경색이나 뇌졸중을 한 번이라도 겪은 고위험군 환자들은 약을 드시는 게 좋다 [29].

하지만 평소 건강한데 단지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이유로, 병원에서 권해서 고지혈증약을 복용하시는 분은 득과 실을 잘 따져보아야 한다. 고지혈증약은 될 수 있는 대로 안 드시는 게 건강에 이롭기 때문이다.

송무호 의학박사·정형외과 전문의

참고문헌
1. DM Diamond, M de Lorgeril, M Kendrick, et al. Formal comment on “Systematic review of the predictors of statin adherence for the primary preven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PLoS ONE 2019;14(1):e0205138.
2. MY Wei, MK Ito, JD Cohen, et al. Predictors of statin adherence, switching, and discontinuation in the USAGE survey: understanding the use of statins in America and gaps in patient education. Journal of Clinical Lipidology 2013;7(5):472-483.
3. I Suliman, A Batarfi, H Almohammadi, et al. Prevalence of Self-Reported Muscle Pain Among Statin Users From National Guard Hospital, Riyadh. Cureus 2022;14(3):e23463.
4. W Dong, S Vuletic, JJ Albers. Differential effects of simvastatin and pravastatin on expression of Alzheimer’s disease-related genes in human astrocytes and neuronal cells. J Lipid Res 2009;50(10):2095-2102.
5. BJ Kelley, S Glasser. Cognitive effects of statin medications. CNS drugs 2014;28:411-419.
6. AL Culver, IS Ockene, R Balasubramanian, et al. Statin use and risk of diabetes mellitus in postmenopausal women in the Women’s Health Initiative. Arch Inter Med 2012;172(2):144-152.
7. VA Zigmont, AB Shoben, B Lu, et al. Statin users have an elevated risk of dysglycemia and new-onset-diabetes. Diabetes Metab Res Rev 2019;e3189.
8. E Climent, D Benaiges, J Pedro-Botet. Statin treatment and increased diabetes risk. Possible mechanisms. Arteriosclerosis 2019;31(5):228-232.
9. H Okuyama, T Hamazaki, Y Ogushi, R Hama. Risks of diabetes mellitus and cancer caused by cholesterol lowering medications. Lipid Technology 2014;26(3):55-58. )
10. A Saremi, G Bahn, PD Reaven, et al. Progression of vascular calcification is increased with statin use in the Veterans Affairs Diabetes Trial (VADT). Diabetes Care 2012;35(11):2390-2392.
11. Okuyama H, Hamazaki T, Ogushi Y, et al. Statins are contraindicant to diabetics-Urgent Proposal. J Lipid Nutr 2013;22(2):173-186.
12. SS Bhardwaj, N Chalasani. Lipid-lowering agents that cause drug-induced hepatotoxicity. Clin Liver Dis 2007;11:597-613.
13. P Sikka, KK Saxena, S Kapoor. Statin Hepatotoxicity: Is it a Real Concern? Heart Views 2011;12(3):104-106.
14. ES Björnsson. Hepatotoxicity of statins and other lipid-lowering agents. Liver international 2017;37(2):173-178.
15. Y Kim, NK Choi, YJ Kim, et al. Liver Injury Incidence and Risk after Statin Use. Journal of Pharmacoepidemiology and Risk Management 2010;3:64-73.
16. H Kim, N Kim, DH Lee, HS Kim. Analysis of National Pharmacovigilance Data Associated with Statin Use in Korea. BCPT 2017;121(5):409-413.
17. AE Raizner, MA Quiñones. Coenzyme Q10 for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 JACC Focus Seminar. J Am Coll Cardiol 2021;77(5):609-619.
18. GP Littarru, P Langsjoen. Coenzyme Q10 and statins: biochemical and clinical implications. Mitochondrion 2007;7:S168-S174.
19. MA Silver, PH Langsjoen, S Szabo, et al. Effect of atorvastatin on left ventricular diastolic function and ability of coenzyme Q10 to reverse that dysfunctio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4;94(10):1306-1310.
20. BA Golomb, MA Evans, JE Dimsdale, et al. Effects of statins on energy and fatigue with exertion: result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Intern Med 2012;172(15):1180-1182.
21. U Ravnskov, KS McCully. Ravnskov U, McCully KM. Vulnerable plaque formation from obstruction of vasa vasorum by homocysteinylated and oxidized lipoprotein aggregates complexed with microbial remnants and LDL autoantibodies. Ann Clin Lab Sci 2009;39:3-16.
22. Z Chen, A Keech, R Collins, et al. Prolonged infection with hepatitis B virus and association between low blood cholesterol concentration and liver cancer. BMJ 1993;306:890-894.
23. U Ravnskov, KS McCully, PJ Rosch. The statin-low cholesterol-cancer conundrum. QJM: An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ine 2012;105(4):383-388.
24. MR Goldstein, L Mascitelli. Do statins decrease cardiovascular disease at the expense of increasing cancer? Int J Cardiol 2009;133(2):254-255.
25. FM Sacks, MA Pfeffer, LA Moye, et al. The effect of pravastatin on coronary events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n patients with average cholesterol levels. N Engl J Med 1996;335:1001-1009.
26. G Corona, V Boddi, G Balercia, et al. The effect of statin therapy on testosterone levels in subjects consulting for erectile dysfunction. The Journal of Sexual Medicine 2010;7(4):1547-1556.
27. CM Schooling, SL Au Yeung, G Freeman, et al. The effect of statins on testosterone in men and wome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BMC Med 2013;11:57.
28. J Leuschen, EM Mortensen, CR Frei, et al. Association of Statin Use With Cataracts ; A Propensity Score–Matched Analysis. JAMA Ophthalmol 2013;131(11):1427-1434.
29. B Ziaeian, GC Fonarow. Statins and the prevention of heart disease. JAMA cardiology 2017;2(4):464.

댓글 0
댓글 쓰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