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결핍 영양소 1위는 무엇일까?

[송무호의 비건뉴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지난 2006년, 저명한 의학저널 ‘내과학(Journal of Internal Medicine)’에 비타민D 연구 논문이 하나 발표됐다. 유럽, 남미, 중동, 아시아 및 호주 등 18개국의 ‘폐경 후 여성’ 약 2600명을 대상으로 ‘비타민D 부족’(30ng/ml 이하)으로 진단된 인구 빈도를 측정해보니, 한국이 92%로 단연 1위였다 [1].

*그래프 출처: P Lips, e tal.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6

그로부터 약 20년간 우리나라 언론은 아래와 같은 그래프를 보여주며 그 심각성을 반복해서 알려주었다.

"비타민D 부족 빈도, 세계 1위"

2018년 국립암센터에서 발표한 ‘한국인의 혈청 비타민D 수치 추이: 2008∼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도 우리나라 사람의 평균 비타민D 수치는 16.1ng/ml로 정상(30~50ng/ml)에 한참 못 미치는 ‘결핍’ 수준이었다 [2].

지금도 여전히 거의 모든 국민이 "비타민D 결핍"이며, "골다공증 예비 환자"라고 겁을 준다. 어떻게 이런 일이 생길 수 있을까? 무엇이 문제일까? 정말 심각한 것일까? 뼈를 전공하는 정형외과 전문의로서 궁금하지 않을 수 없었다.

비타민은 3대 영양소인 탄수화물, 지방, 단백질 같은 주(主) 영양소는 아니지만, 우리 몸의 기능 유지에 꼭 필요한 물질이다. 비타민은 극소량으로도 신체의 주요 기능을 조절하기에 호르몬과 유사하다. 하지만 호르몬은 우리 몸 내부에서 합성되는 반면 비타민은 우리 몸 외부, 즉 음식 섭취를 통해 공급돼야만 한다.

그런데 비타민D는 사실 비타민이 아니고 호르몬이다. 비타민D가 처음 발견됐을 무렵만 해도 음식에서 섭취해야 하는 것으로 알았지만, 그 뒤 우리 피부에서 햇빛을 받아 비타민D를 스스로 합성할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로이 밝혀졌다. 그래서 서구에서는 이를 '햇빛 비타민‘(Sunshine vitamin)이라고도 부른다 [3].

햇빛이 건강에 중요한 이유다. 따라서 요즘같은 겨울철엔 일조량이 줄어들고, 추위 때문에 실내 생활이 증가하면서 비타민D 합성 기회도 줄어들기에 많은 매체에서 “비타민D 보충제를 복용하라”고 부추긴다 [4, 5].

비타민D는 피부 세포에 있는 콜레스테롤이 자외선 B(UVB)를 쬐어 비타민D 전구물질로 변한다. 그 뒤 여러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신장에서 활성 비타민D로 만들어진 후 신체 각 부위로 이동하여 작동한다.

또한, 비타민D는 물에 녹지 않고 기름에 녹는 지용성이다. 따라서 지방 조직에 오랜 기간 저장된다.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고, 신장에서 칼슘 재흡수를 증가시켜, 혈중 칼슘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뼈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적정 비타민D 농도, 어느 정도여야 할까?

비타민D가 부족해지면 뼈가 약해져 어린이에겐 구루병(ricket), 성인에게는 골연화증(osteomalacia)이나 골다공증이 생겨 골절 위험이 증가한다. 따라서 적정한 비타민D 농도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과거 많은 전문가가 혈중 비타민D 농도 최소 30ng/ml 이상을 칼슘 흡수와 뼈 건강을 위한 최적의 농도라고 주장했었다 [6, 7, 8, 9]. 미국 내분비학회에서도 정상 기준을 30ng/ml 이상으로 했고, 21~29ng/ml는 부족(insufficiency), 20ng/ml 이하는 결핍(deficiency)이라고 했다 [10].

하지만 30ng/ml 이상을 정상으로 보는 기준은 너무 많은 환자를 양산한다는 비판이 나왔다. 실제 16~24ng/ml로 진단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비타민D 보충제를 투여해 인위적으로 30ng/ml 이상으로 만들어도 칼슘 흡수율에는 별 차이가 없었다 [11].

일광욕 부족도 비타민D 결핍의 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나, 과도한 햇볕에 노출되는 하와이의 젊은 서퍼(surfer)까지 그 절반이 비타민D 부족으로 진단되는 어처구니없는 문제점도 함께 제기됐다[12].

이처럼 비타민D 기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자 2011년, 미국 정부의 의료자문을 담당하는 의학단체인 미국의학원(Institute of Medicine)은 “비타민D 농도 20ng/ml 이상이면 건강한 사람에게 충분한 상태”라고 공언했다. 더 나아가 “30ng/ml 이상이 건강에 더 좋다는 증거는 없다”라고도 했다 [13].

이후 비타민D 농도 기준을 기관마다 조금씩 조정하기 시작했다. 2013년 유럽 골다공증학회는 폐경 후 여성은 20ng/ml 이하, 골절 위험이 있는 고령자는 30ng/ml 이하를 ’부족’이라고 하향 조정했다 [14]. 하지만 20ng/ml 이하를 기준으로 비타민D 부족을 진단해도 유럽 인구의 40%가 여기에 해당한다는 주장도 함께 나왔다 [15].

뼈만 30년 전공한 의사도 심각한 '비타민D 결핍'으로 나왔다

반면, 우리나라에서는 2011년 골다공증학회, 산부인과학회, 내분비학회가 공동으로 ‘한국인을 위한 비타민D 섭취 권고안’을 발표했다 [16]. 국민건강영양조사에 근거해 한국인의 비타민D 부족을 남성 86.8%와 여성 93.3%가 해당하는 30ng/ml 이하로 규정하고, “적절한 비타민D 농도는 최소 30ng/ml 이상”으로 규정한 것이다.

그러나 기준점을 30ng/ml에서 20ng/ml로 낮추는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대한골다공증학회는 2016년, 가이드라인을 통해 정상치를 20~30ng/ml로 하향 조정했다. 2017년 대한내과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에서도 골다공증 예방을 위해서는 20ng/ml 이상, 골다공증 치료나 골절 예방을 위해서는 30ng/ml 이상을 권장했다 [17].

비타민D는 건강에 대단히 중요한 영양소다. 뼈 건강뿐만 아니라 당뇨병, 심장병 및 암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고 했다 [18]. 게다가 코로나 팬데믹으로 면역의 중요성이 주목받으면서 면역 기능을 도와주는 비타민D는 더욱 더 큰 관심을 끌게 되었다 [19].

전술한 대로 우리나라 인구 90%가 비타민D 부족증이라고 하니, 필자도 걱정이 되어 실제로 피검사를 한번 해 보았다. 결과는 16.4 ng/ml. 정상 수치가 30 이상이라는데 고작 16.4라니 심각한 비타민D 결핍인 셈이다.

충격이었다. 지난 30년간 뼈를 전공했고, 환자들의 뼈 건강을 지도해 온 정형외과 전문의가 정작 자신의 뼈 건강은 소홀했던 게 아닌가. 그렇다면 필자는 비타민D 결핍을 어떻게 해결했을까?

송무호 의학박사·정형외과 전문의

참고문헌
1. P Lips, D Hosking, K Lippuner, et al. The prevalence of vitamin D inadequacy amongst women with osteoporosis: an international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06;260(3):245-254.
2. SJ Jung, Y Hwangbo, JH Jung, et al. Recent Trends in Serum Vitamin D Levels among Korean Popula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14. Korean J Clin Geri 2018;19(1):55-62.
3. R Nair, A Maseeh. Vitamin D: The “sunshine” vitamin. Journal of Pharmacology and Pharmacotherapeutics 2012;3(2):118-126.
4. 서울경제 https://www.sedaily.com/NewsView/1S7AUAOZAR
5. 약사공론 https://www.kpanews.co.kr/article/show.asp?category=H&idx=238337
6. RP Heaney, MS Dowell, CA Hale, A Bendich. Calcium absorption varies within the reference range for serum 25-hydroxyvitamin D.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2003;22(2):142-146.
7. B Dawson-Hughes, RP Heaney, MF Holick, et al. Estimates of optimal vitamin D statu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05;16:713-716.
8. HA Bischoff-Ferrari, E Giovannucci, WC Willett, et al. Estimation of optimal serum concentrations of 25-hydroxyvitamin D for multiple health outcomes. Am J Clin Nutr 2006;84(1):18-28.
9. R Vieth, H Bischoff-Ferrari, BJ Boucher, et al. The urgent need to recommend an intake of vitamin D that is effective. Am J Clin Nutr. 2007;85(3):649-650.
10. MF Holick, NC Binkley, HA Bischoff-Ferrari, et al.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 Clin Endocrinol Metab 2011;96:1911-1930.
11. KE Hansen, AN Jones, MJ Lindstrom, et al. Vitamin D insufficiency: Disease or no disease? J Bone Miner Res 2008;23:1052-1060.
12. N Binkley, R Novotny, D Krueger, et al. Low vitamin D status despite abundant sun exposure. J Clin Endocrinol Metab 2007;92:2130-2135.
13.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calcium and vitamin D.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2011.
14. R Rizzoli, S Boonen, ML Brandi, et al. Vitamin D supplementation in elderly or postmenopausal women: A 2013 update of the 2008 recommendations from the European Society for Clinical and Economic Aspects of Osteoporosis and Osteoarthritis (ESCEO). Curr Med Res Opin 2013;29:305-313.
15. KD Cashman, KG Dowling, Z Škrabáková, et al. Vitamin D deficiency in Europe: pandemic?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16;103(4):1033-1044.
16. 의협신문 https://www.doctors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73258.
17. JH Lee. Pharmacologic supplementation of vitamin D. J Korean Med Assoc 2017;60(4):330-335.
18. MF Holick. Vitamin D: importance in the prevention of cancers, type 1 diabetes, heart disease, and osteoporosis.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2004;79(3):362-371.
19. DD Bikle. Vitamin D regulation of immune function during covid-19. Reviews in Endocrine and Metabolic Disorders 2022;23:279-285.

    송무호 의무원장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