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기업 한 목소리 “백신주권” 어떤 의미?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정치권과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코로나19 백신 개발을 언급하면서 빠지지 않는 단어가 있다. 바로 ‘백신 주권’이다. 국내 개발이 너무 늦었다는 일부 쓴소리에도 백신 개발을 놓지 않는 이유이기도 하다.

백신 주권은 단어 그대로 백신의 개발이나 생산, 유통 등을 자체적으로 결정하고 처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변이 등 또 다른 바이러스에 따른 펜데믹을 예측하고 있는데, 국내에서 코로나19 백신 자체개발에 성공하면 기술력 확보로 향후 전염병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백신 주권이 갖는 의미 중 하나다.

이번 코로나19 팬데믹에서는 해외 글로벌 기업에서 백신을 공급받아야 했다. 정부가 작년 초 선구매 계약을 통해 일정량의 백신을 확보했으나, 수급 문제가 생기면서 제때 백신이 도입되지 않았다. 선진국 등에서 백신 접종에 속도를 올리는 동안 국내에선 불안감이 고조됐다.

백신에 대한 안전과 수급 문제에 대해 해외 정부와 기업 발표를 기다릴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

백신 주권을 강조하는 것은 이처럼 글로벌 빅파마의 생산 계획이나 공급 여부 등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필요에 따라 백신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정부에서도 백신 주권을 목표로 두며, “글로벌 제약사에 휘둘리지 않고”라는 표현을 썼다.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백신 주권을 확보하지 못했다. 현재까지 국내 허가된 코로나19 백신은 모두 해외 백신이다. 모더나, 화이자, 얀센, 아스트라제네카, 노바백스 등 총 5종이 있다.

질병관리청은 지난해 백신 구매비로 총 소요예산 3조8067억원 정도 추정했다. 백신 구매비용에만 3조원 넘게 사용된 셈이다. 구매 계약을 체결한 백신은 총 9900만명분, 회사마다 비용은 다르지만 1도즈당 10달러 안팎이며 최대 25달러(약 3만원) 정도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기간 다국적 제약사들의 매출은 폭증했다. 코로나19 백신 판매로 한국화이자제약은 지난해 1조7000억원 매출을 올렸다. 전년 매출인 약 4000억원과 비교하면 4배 이상 폭증했다. 매출 순위도 다국적 제약사 1위로 껑충 뛰어올랐다.

이 때문에 백신 기술 전쟁은 전세계에서 치열하다. 바이오협회에 따르면 2020년 1월부터 작년 9월까지 코로나19 백신 관련 특허출원은 전세계에서 417개 였다. 코로나19 치료제 특허도 1465개에 달했다.

백신 특허출원국은 중국(276개), 미국(72개), 러시아(21개), 영국(9개), 한국·독일·인도(5개) 등의 순이었다. 치료제 특허는 중국, 미국, 인도, 한국 순으로 이어졌다.

코로나19 백신과 관련된 특허출원 중에 기존 백신기술은 단백질 기반과 불활성화 백신이, 신규 백신기술로는 바이러스 매개와 RNA 백신이 대다수였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에서 강조하는 것은 지속적인 정부 지원이다. 새정부에서도 바이오산업을 미래 먹거리로 정하고, 백신개발 역량을 가진 백신 주권 국가가 되는 것이 중요한 목표라고 언급했다.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 지원금을 아끼지 않겠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장봄이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