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하지 말고 바라만 보세요”

1. “마음챙김의 어머니” 라고 불리는 하버드 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앨런 랭어에 의하면 사람들은 평생 대부분의 시간을 “마음 놓침” 상태로 보냅니다. 2. “마음 놓침”이란 삶이 지루하고 스트레스가…

피에로를 보면 소름 돋는 나, 비정상인가요?

1. ‘피에로 공포증’ 이란 말 들어본 적 있나요? 2. 외국에선 드라마 주인공의 인물설정에 쓰일 정도로 유명한 공포증입니다. 조니 뎁과 다니엘 래드클리프 같은 연예인들도 이 증상을 호소했죠. 3. 그렇다면 ‘피에로…

휴가계획 없다면 ‘집에서’ 이런 건 어때요?

요즘 휴가 트렌드는 ‘스테이피케이션’ 혹은 ‘호캉스’다. 스테이피케이션은 집에서 보내는 휴가, 호캉스는 호텔과 바캉스가 합쳐진 신조어다. 여행을 떠나기보다 집이나 호텔에서 휴식 취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을 말한다. 템플스테이를 하며 마음의 안정을 찾는 사람도 늘고 있다. 휴가를 떠나긴 해야겠는데 계획을 세우긴…

더위, 비협조적인 태도 유발한다 (연구)

여름철 더위는 사람을 지치게 할 뿐 아니라 비협조적으로 만든다는 연구결과가 유럽사회심리학저널(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에 발표됐다. 미국 리하이대학교와 노스웨스턴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더위와 비협조적 행동의 상관관계를 알아내기 위해 세 개의 실험을 진행했다. 첫 번째 실험에서 연구팀은 기온이…

미세먼지 가장 심한 지하철은 몇 호선?

서울에 사는 여성 A씨(29)는 지하철을 잘 타지 않는다. 미세 먼지 때문이다. 실제로 서울 지하철의 미세 먼지는 세계보건기구 (WHO) 하루 기준치를 넘는 심각한 수준이다. 서울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지하역사 278곳의 공기질 자료를 분석한 결과 미세먼지(PM-10) 평균농도는 81.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친구따라 강남간다? 진짜 간다 (연구)

여러 사람이 모여 의사결정을 내릴 땐 자신감을 서로 비슷하게 맞춰나가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미국 온라인 저널 자연인간행동(Nature Human Behavior)에 실린 내용이다. 사람들은 집단 내에 자신감 있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의 의견에 따르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맞게 자신의 자신감도 조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자신감…

속삭이는 소리 안 들린다면 ‘최소난청’ 의심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3.7명은 최소난청이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문일준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교수팀은 2010년부터 2012년까지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바탕으로 최소난청 유병률을 조사했다. 플로스 원(Plos one) 최근호에 게재된 이번 연구의 대상은 12세 이상 국민 1만6630명이다. 최소난청은 청력 역치가 15dB…

소개팅 전 ‘수면’이 중요한 이유 있다(연구)

수면이 부족하면 부은 얼굴과 생기 없는 표정 때문에 거울이 보기 싫다. 그런 날은 하루 종일 외모에 신경이 쓰이는데, 다른 사람들에겐 어떻게 보일까? 수면부족은 외모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호감도도 떨어뜨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스웨덴 캐롤린스카 연구소 연구팀은 25명의 남녀에게 4시간에서 8시간 수면을 취하게 하고 이들과 친분이…

슈퍼히어로, 아이들 폭력성에 영향 (연구)

슈퍼히어로물에 자주 노출된 아이들은 육체적, 관계적 측면에서 공격적이며, 괴롭힘을 당하는 다른 아이를 도울 가능성이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브리검영 대학 연구팀은 부모와 자녀 240쌍을 대상으로 자녀가 슈퍼히어로 문화에 참여한 수준에 대해 질문했다. 부모들은 자녀가 슈퍼히어로물을 얼마나 자주 보는지, 자녀가 얼마나 많은 슈퍼히어로들을…

“더 높은 학업성취 위해 등교시간 늦춰야”(연구)

중학교와 고등학교는 오전 8시 30분 이후에 수업을 시작해야 한다는 미국수면의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AASM)의 성명이 나왔다. 의사들은 빠른 수업 시작이 10대 학생들의 수면을 방해하고 있으며, 이는 건강과 학업성취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학술지 임상수면의학저널(Journal of…

1시간 달리면 7시간 수명 연장 효과(연구)

1시간 동안 달리기 운동을 하면 7시간 정도의 수명 연장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달리기를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약 3년 더 오래 사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아이오와 주립대학교의 운동과학 연구팀이 보건의료 및 피트니스 테스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학술지…

퇴근 시 피로를 덜 느낄 수 있는 방법(연구)

아침의 좋았던 체력을 퇴근 때까지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직업건강심리학저널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에 발표된 연구에 의하면 점심 시간의 산책이 그런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다양한 분야에서 일하는 10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그들의 일상적인 점심 시간을 조사한 뒤 10일 동안…

올빼미족도 즐길만한 아침 운동 6가지

침대에서 일어나기 싫은 마음은 누구나 같지만, 새벽 늦게 잠자리에 들었다가 이른 아침에 일어나는 것은 특히 더 힘들다. 대용량의 커피, 고카페인이 함유된 에너지 음료를 마시면 위통과 현기증 같은 부작용이 나타나는 사람이라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 그 방법은 바로 운동이다. 아침마다 이불을 벗어나기 힘든 올빼미 족을 위해 미국 여성지…

식중독과 위장염, 어떻게 구분할까?

봄이라기엔 아직 쌀쌀해 식중독 위험을 간과하기 쉬운 시기다. 그러나 봄나물을 채취해 먹거나 기온이 높은 날 음식을 잘못 관리하면 봄에도 식중독에 걸리기 쉽다. 게다가 위장염 같은 바이러스 질환도 봄철에 활동하기 좋은데 두 질환의 증상이 비슷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적절히 대응하기 어렵다. 미국 미시간 대학교 의대의 임상 전문의 마이클 라이스 교수는…

“모험적인 사람이 더 건강하게 먹는다”(연구)

주변을 보면 새로 생긴 음식점이나 카페에 먼저 가보고, 새로운 메뉴에 쉽게 도전하는 사람들이 있다. 항상 같은 음식을 고수하는 사람들은 그들을 신기하게 보기도 하고 유난을 떤다고 생각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런 개방적이고 외향적인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에 비해 과일과 채소를 더 많이 먹는다는 연구가 나왔다. ‘심리학…

기억력을 향상시키는 창의적인 취미 4가지

기억해야 할 것들은 늘어나는데 기억력은 감퇴한다고 느낄 때가 있다. 창의적인 취미활동으로 기억력도 높이고 즐거운 여가 시간도 보내는 건 어떨까. ◆ 색칠하기= 컬러링 북은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효과가 있어 인기다. 스트레스 해소는 기억력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 '신경심리약리학과 생물정신의학의 발달 저널'(Progress in…

온가족이 감기 앓는 이유 “옷 세탁해도 세균 남아”

꽃샘 추위가 기승을 부리고 이번 주 내내 일교차가 클 전망이다. 이럴 때는 면역력이 약해져 감기에 걸리기 쉽다. 가족 중에 노약자나 어린이가 있는 가정은 벌써부터 걱정이 크다. 가족 구성원 중 한 사람만 감기에 걸려도 가족 전체가 옮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감기는 왜 가족 전체에 옮는 것일까. 미국 애리조나 대학교의 환경 위생학과 켈리…

아이가 손 소독제 삼키면..”혼수상태 빠질 수도”

어린이가 무심코 손 소독제를 마실 경우 심하면 혼수 상태에 빠지거나 발작을 일으킬 수 있다는 보고가 나왔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12세 이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7만 건이 넘는 사례를 분석해 얻은 결과다. 질병이 돌 때 손쉽게 사용하는 손 세정제에는 60~95%의 알코올이 들어있다. 이는 맥주, 포도주 등 대부분의 주류보다 강한…

허리 통증, 어떻게 하면 좋을까?

허리통증을 호소하는 현대인이 많다. 장기간 앉아 업무나 공부를 하는 사람들부터 황혼 육아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허리통증은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다. 호주에서는 허리 통증에 사용하는 치료비만 연간 50억달러(호주달러기준)에 이르고 노년층의 조기 퇴직의 주요 이유가 되고 있다. 미국은 허리통증으로 인한 근무일수 감소로…

왜 우리는 가짜 뉴스에 빠지는가

최근 가짜 뉴스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어지러운 세계 정세 속에서 화두로 떠오르더니 국내에서도 가짜 뉴스에 관한 기사를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다. 정치계뿐만 아니다. 미국 워싱턴대학에서는 과학 교수 두 명이 합심해 과학계의 가짜 뉴스에 대항하는 의미로 정규 강의까지 개설했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가짜 뉴스에 빠지는 이유는 뭘까.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