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 받고 퇴원했는데…정신병 환자, 자살 위험 ↑

조현병, 불안장애 자살률 감소...우울증 환자 특히 위험

정신질환 퇴원 30일 내 자살률에 대한 표준화 사망비 [표=건강보험심사평가원]
정신질환으로 입원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 중 젊은 사람, 여성, 우울증 환자는 특히 자살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심평원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연구팀(일저자: 채송이 주임연구원, 교신저자: 김경훈 부장)은 2010~2018년 정신질환으로 입원한 15세 이상 환자 157만 명의 자살률을 분석했다. 2018년 표준화 사망비(실제 자살자 수와 기대 자살자 수의 비)를 계산해 일반 인구집단과의 자살률도 비교했다.

그 결과, 2018년 정신질환으로 입원 치료를 받고 퇴원한 환자 중 30일 내 자살한 사례는 10만 명당 198.1명이었다. 2010년 206.6명 이후 연간 1.2% 감소했지만 뚜렷한 변화는 없는 수준이다.

질환별로는 우울증 환자 자살률이 10만 명당 364.4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은 조현병이 167.8명, 양극성정동장애가 158.0명이었다.

조현병과 불안장애 환자의 자살률은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조현병은 연간 3.2%, 불안장애는 6.5% 줄어들었다.

2016~2018년 퇴원 후 30일 내 자살한 환자수는 일반 인구집단 자살 인구수보다 66.8배 많았다. 2010~2012년 74.9배보다 줄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연령대별로는 20~39세 환자의 표준화 사망비가 114.9로 가장 높았고, 80세 이상 환자는 27.3으로 가장 낮았다. 성별로는 여성이 107.5, 남성이 54.0으로 여성이 2배 높았다. 우울증 환자는 122.7로, 다른 정신질환 대비 높았다.

김경훈 부장은 “정신질환자는 퇴원 후 단기간 내 자살할 위험이 높으므로, 퇴원 후 조기에 외래 진료를 받거나 지역사회에서 지속적으로 관리 받을 수 있도록 철저한 퇴원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정동장애학회 학술지 《정동장애저널(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월호에 발표됐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