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대후반 20대 뚱뚱한 남성, ‘이 암’ 사망 위험 커져
스웨덴 연구진 25만명 데이터 분석
전립선암은 전 세계적으로 남성에게서 두번째로 가장 흔한 암이며 연간 140만건 이상의 남성들이 전립선암 진단을 받는다. 전립선암은 연구 진행된 스웨덴에서는 남성에게서 가장 흔한 암으로 1년에 1만건이 발생하며 남성의 암 사망 원인 중 가장 흔한 것으로 연간 2000명이 사망한다.
스웨덴 말뫼 룬드대 번역의학과 마리사 다 실바 박사는 이번 연구의 핵심은 무엇이 전립선암을 유발하는 지를 파악해 예방법을 알아내는 것이라고 밝혔다.
실바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체중과 전립선암의 연관성을 더욱 자세하게 알아보기 위해 스웨덴의 비만 및 질병 개발(ODDS) 연구의 일환으로 17세에서 60세 사이에 체중이 최소 3회 측정된 25만 8477명의 남성의 데이터를 분석했다.
1963년부터 2014년까지 ODDS에 등록했을 때 전립선암이 없었던 이 남성들은 2019년까지 추적 조사를 받았다(평균 43년). 그 기간 동안 전립선암 진단과 이로 인한 사망이 기록되었다.
25만8477명 중 2만 3348 명의 참가자가 전립선 암 진단을 받았고 진단 평균 연령은 70세였으며 이 중 4790명의 남성이 전립선 암으로 사망했다.
참가자들은 처음 체중 관찰부터 마지막 체중 관찰까지 평균 매해 0.45kg의 체중 증가를 보였다.
체중 증가는 나이 대 별로 17~29세에는 평균 0.73kg/년, 30~44세에는 0.34kg/년(0, 45~60세에는 0.22kg/년으로 10대에서 20대 사이에서의 변화가 가장 컸다.
결과적으로 체중 증가는 전립선암의 발달과 전립선암의 공격성과 관련이 있었다. 체중이 꾸준히 증가할수록 (연간 0.5kg) 그렇지 않았던 사람에 비해 전립선 암의 위험이 10%, 치명적인 전립선 암의 위험은 29%나 더 높았다.
추가 분석 결과, 17세에서 29세 사이에서 나타나 체중 변화와 전립선암의 연관성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17세에서 29세 사이에 1년에 1kg의 체중이 증가하는 경우 전립선암의 위험이 13% 증가하며 치명적인 전립선암의 위험이 27%나 늘었다.
이 때문에 연구진은 10~20대에 체중 증가를 막는 것이 공격적이고 치명적인 전립선암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실바 박사는 “이러한 전립선암의 발병률 증가는 체중 증가가 원인인지 체중 증가로 인한 무게 때문인지 아직 확실히 모른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결론적으로 실바 박사는 급격한 체중 증가를 예방하는 것이 전립선 암 예방을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전립선 암 중 큰 비중은 성장이 느려 평생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공격적인 전립선 암은 빠르게 퍼져 치료하기가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