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 끊을 수 없다면?… ‘이렇게’만 해도 뇌심혈관병 위험 ↓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강동오 교수팀 연구

술을 지속해서 많이 먹는 ‘만성 과음자’가 술을 조절해서 먹을 시 심근경색증·뇌졸중 등 뇌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술을 지속해서 많이 먹는 ‘만성 과음자’가 술을 조절해서 먹을 시 심근경색증·뇌졸중 등 뇌·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만성 과음은 뇌·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높이는 위험 인자로 지적돼 왔다. 그러나 이전 연구 중 적정 수준의 일상 음주가 오히려 뇌·심혈관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어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못했다. 또 알코올 섭취량 변화에 따른 예방 효과를 직접적으로 입증하지 못하는 한계도 있었다.

이에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강동오 교수 연구팀은 만성 과음주자를 대상, 음주량 변화를 기반으로 위험도 예측 모델을 이용해 음주량 감소의 심·뇌혈관 질환 예방 효과를 분석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40~79세 성인 중 1차 기간(2005~2008년)과 2차 기간(2009~2012년)에 연속 검진을 받은 과음주자 2만1011명을 두 그룹(만성 과음 지속 그룹, 음주 습관 조절 그룹)으로 분류했다. 이어 그들의 뇌·심혈관 질환 발생률을 10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이때 과도한 음주자 기준은 남성은 하루 4잔(56g) 이상 또는 주당 14잔(196g) 이상, 여성은 하루 3잔(42g) 이상 또는 주당 7잔(98g) 이상으로 정의했다.

그 결과 음주 습관 조절 그룹이 만성 과음 지속 그룹에 비해 주요 뇌·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약 23%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맥이 좁아지는 협심증과 허혈성 뇌졸중 발생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알코올 섭취 감소의 예방 효과는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 동반 질환과 신체활동·사회경제학적 수준에 기반한 다양한 연구 대상자 하위그룹에서 일관되게 관찰됐다.

강동오 교수는 “이번 연구는 음주량과 뇌·심혈관 질환 발병 간의 병리적 연관성을 특정 단일 시점이 아닌 생활습관 변화라는 새로운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라며 “만성 과음주자에서 뇌·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해 음주량을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학술적 근거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논문은 ‘만성 과음주자에서 알코올 섭취량 감소에 따른 주요 심혈관 사건 위험도 분석(Reduced Alcohol Consumption and Major Adverse Cardiovascular Events Among Individuals With Previously High Alcohol Consumption)’라는 제목으로 국제 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 호에 게재됐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