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병 앓은 母子의 두번째 심장…엄마는 ‘이식’, 아들은 ‘인공’

확장성 심장병 앓은 모자, 서울 아산병원서 각각 심장이식·인공심장삽입술 받아

(왼쪽 두 번째부터) 서울아산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정철현 교수, 인공심장삽입술을 받은 이 씨, 동 병원 심장내과 김민석 교수를 비롯한 의료진들이 성공적인 치료를 기념하며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서울아산병원]
심장 근육 이상으로 심장이 비정상적으로 커지는 확장성 심장병증을 앓던 엄마와 아들이 서울아산병원에서 각각 두 번째 심장을 받았다.

4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어머니는 2009년 이 병원에서 심장이식을, 아들은 지난해 말 인공심장을 이식받아 최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지난해 11월 말 확장성 심근병증을 앓던 이모 씨(30대, 아들)는 서울아산병원 심부전·심장이식센터에서 인공심장을 이식하는 좌심실보조장치 삽입술을 받았다. 어머니인 김 씨 또한 같은 병을 앓아 14년 전 이 병원에서 심장이식을 받은 적이 있다.

2009년 6월, 김 씨(당시 40대)는 이 병원 심장이식센터로부터 뇌사자 심장을 이식받을 수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 이후 김 씨는 심장혈관흉부외과 정성호 교수의 집도 아래 성공적으로 심장이식 수술을 받았다.

기쁨도 잠시 김 씨는 본인과 같은 심장병으로 아들도 치료가 필요한 것을 알게 됐다. 여전히 심장이식 기증자가 부족한 상황이었지만, 심장이식을 받기 전까지 건강하게 대기할 수 있는 인공심장을 삽입하는 수술적 대안이 있었다.

이 씨는 심장펌프기능을 대신해 혈액순환을 돕는 좌심실보조장치를 삽입하는 수술을 받기로 했다. 지난해 11월 같은 병원 심장혈관흉부외과 정철현 교수의 4시간에 걸친 수술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좌심실보조장치 삽입술을 받은 이 씨는 지난해 말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이 씨는 “수술 전에는 가만히 있어도 숨이 차고 피로했는데, 수술 후 자연스럽게 숨이 쉬어져 만족스럽다”며 “이제는 가볍게 유산소 운동을 하거나 가까운 곳으로 여행도 다닐 수 있어 건강하게 갑진년 한 해를 보내면서 심장이식을 기다리겠다”고 말했다.

심부전은 심장의 펌프 기능이 떨어져 심장이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상태다. 관상동맥질환이나 확장성 심근병증, 선천성 심장질환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부전 초기에는 약물로 치료가 가능하지만 말기라면 심장이식이 최선이다.

하지만 심장 기증자가 적어 대기기간 중에 사망하거나 급격히 상태가 악화될 수도 있다. 또한 고령이거나 동반 질환이 많은 환자는 심장이식을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때 심부전 환자의 심장펌프기능을 대신하는 기계 장치인 좌심실보조장치 삽입술이 시행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은 2015년 6월 3세대 좌심실보조장치를 국내 첫 시행한 이후 지난해만 26건을 진행해 100례를 달성했다. 그중 41명은 이 장치를 삽입한 이후 대기하다가 심장이식을 받았다.

서울아산병원 김민석 심부전·심장이식센터장은 “높은 심장이식 수술 성공률에도 기증자가 부족해 이식 대기 중 사망하거나 상태가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며 “본원에서는 심부전 환자 생존율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좌심실보조장치 삽입술을 시행해 성공적 결과를 보였다”고 말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