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사자 한 명이 아홉 생명 살린다”

뇌사는 그 당사자와 가족에겐 큰 불행이다.

하지만 그가 되살아날 가능성이 없을 때, 장기를 기증한다는 건 사회적으로 새로운 희망이 될 수 있다. 여러 사람을 살릴 수 있어서다.

이론적으론 눈의 각막 둘, 폐 둘, 심장 하나, 간 하나, 췌장 하나, 콩팥 둘 등 모두 아홉 명 만성질환자에게 건강을 되찾을 기회를 준다. 바로 그게 장기 기능의 특별한 가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더 나아가 피부나 다른 장기, 뼈 등 나머지 신체조직 기증까지 합하면 총 99명까지 도움을 줄 수 있다고들 한다. 이들 환자 가정의 회복에다 국민건강보험 재정에도 크게 이바지한다.

예를 들어 만성 신부전증의 경우, 우리나라 환자만 26만 명(2020년)을 넘는다. 이들의 치료를 위해 들어간 진료비는 2조2000억 원 이상. 연평균 7.3%씩 늘고 있다.

실제로 환자 개인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은 그보다 훨씬 많다. 만성 신부전 환자는 매달 12~15번 정도 혈액 투석을 받는데 한 번 할 때마다 17~18만 원 정도가 든다. 한 달이면 250만 원, 1년이면 3000만 원에 육박한다.

이 비용만 전국적으로 매년 7조8천억원씩 들어간다. 신장을 이식 받아 다시 건강을 회복할 수 있다면 이만큼의 사회적 비용을 줄일 수 있다는 얘기다.

청소년들은 장기 기증을 어떻게 받아들이나?

한국장기기증협회(회장 강치영)가 지난 9월 우리나라 청소년(15~19세) 1000명에게 물었더니, ‘동의한다’가 36.2%, ‘동의하지 않는다’가 19.4% 나왔다. ‘잘 모르겠다’는 대답도 44.4% 나왔다.

만일 가족 중에 뇌사자가 생겼다면 어떨까? 그때도 ‘동의한다’는 비율이 39.0%로 조금 더 높게 나왔다. 그 외 ‘동의하지 않는다’는 19.1%, ‘잘 모르겠다’는 41.9%. 거의 비슷한 분포다.

같은 질문을 일본 청소년 500명(보호자 포함)에게도 해봤다. 그랬더니 자기 몸의 장기 기증에 대해 일본 아이들은 ‘동의한다’가 48.0%가 나왔다. 우리나라 청소년보다 훨씬 높았다.

반면, 가족 뇌사자의 장기 기증에 대해선 ‘동의한다’가 28.8%에 불과했다. 일본 청소년이 자기 자신과 가족을 대하는 태도가 우리나라 청소년의 그것과 크게 다른 것이다.

강치영 회장은 9일 오후 부산시교육청 국제회의실에서 연 ‘제2회 아시아 장기 기증 국제심포지엄’을 통해 이런 한일 청소년들의 인식 차를 발표했다.

그는 “한일 양국 청소년 모두 50% 이상(한국 55.2%, 일본 53.2%)이 장기 기증에 대해 알고 있었으나, 장기 기증에 대한 동의 여부는 서로 조금씩 달랐고, ‘잘 모르겠다’는 유보하는 태도가 아직은 모두 높았다”고 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장기기증학회 김순은 회장(서울대 명예교수, 전 지방분권위원장)이 좌장을 맡았고, 고메야마 쥰코 대표(일본 장기기증자 모임), 김홍석 소장(부산사회문화연구소), 김희진 교수(부산대)가 토론자로 나왔다.

제2회 아시아 장기 기증 국제심포지엄. [사진=부산시 보건위생과]
한편, 한국장기기증협회는 이날 저녁 부산 서면 롯데호텔에서 장기 기증자의 숭고한 뜻을 기리고 유가족을 예우하는 ‘제3회 장기기증자 유가족 초청 힐링의 밤’도 개최했다.

여기서 박형준 부산시장은 “장기 기증은 인간이 할 수 있는 가장 고귀한 나눔”이라며, “이를 위해 우리는 ‘장기 기증 활성화를 통한 다시 사는 세상, 건강한 부산’ 사업을 계속 벌여나갈 것”이라 했다.

    윤성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