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몸 속 비만 치료제?…세포 생성물질 식욕억제 효과

항상성 기여하는 펩타이드 식욕 억제, 혈당 낮추는 효과

항상성을 유지하는 펩타이드 SHLP2가 항비만, 항당뇨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항상성을 유지하는 펩타이드의 비만, 당뇨 등 대사질환 치료 효과를 확인했다.

연세대 치과대학 구강생물학교실 김기우 교수, 김슬기 학생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에서 유래된 펩타이드 ‘SHLP2’가 식욕을 억제하고 혈당을 낮추는 항비만, 항당뇨 효과가 있다고 13일 밝혔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고령화로 인해 비만, 당뇨병 등 대사질환 발병이 증가하고 있지만, 현재 임상에서 사용 중인 치료제는 어지러움, 복통, 구토 등 부작용이 있을 뿐만 아니라 질환을 완전히 치료하기엔 어렵다.

김 교수는 “비만, 당뇨병과 같은 대사질환의 유병률이 늘고있지만 현재 FDA에서 승인된 치료제는 질환을 완전히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이에 연구팀은 현재 상용 중인 대사질환 치료제의 부작용을 줄이고 안전성을 높인 치료제 개발을 위해 미토콘드리아에 주목했다. 세포 소기관인 미토콘드리아는 우리 몸의 에너지 생산을 담당하고 펩타이드를 자체적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펩타이드 중 대사질환 조절에 탁월한 기능이 있는 SHLP2를 찾아냈다. 이 펩타이드는 체내 세포 상태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항상성 조절을 돕는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팀은 대사질환을 앓던 쥐의 복부에 SHLP2를 주입했다. 그 결과 혈당이 정상 수치로 돌아오며 항비만 효과가 나타났다. 또 주입한 SHLP2가 뇌로 이동하는 것을 확인한 연구팀은 뇌에 SHLP2를 직접 넣은 쥐의 인슐린 민감성이 높아지며 체중이 줄고, 혈당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이 효과는 대사질환을 유발하는 고지방 식단을 섭취한 쥐에서도 똑같이 나타났다.

연구팀은 SHLP2가 뇌 부위 중 시상하부에서 키모카인 수용체와 결합해 혈당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며 항비만, 항당뇨 효과를 높이는 것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SHLP2의 항비만, 항당뇨 효과를 밝힌 이번 연구 결과가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IF 16.6)》 최신 호에 게재됐다.

    최지혜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