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감소증 환자도 골절 고위험군 선별해 치료해야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예방 치료의 필요성 연구

[사진=게티이미지뱅크]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골감소증 환자에서 약제 효과를 분석하고 골절 위험 예측모형을 개발해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고령화가 진행되면서 골감소증과 골다공증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환자의 골밀도를 젊은 성인의 평균값과 비교한 것을 T-값이라 하며, -1.0 이상이 정상이고 –2.5에서 –1 사이일 때 골감소증으로 진단한다. 골다공증은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골절 위험이 높은 상태로, T-값이 –2.5 이하인 경우 골다공증으로 진단한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골감소증 환자에서 골절 예방 치료의 필요성’ 연구를 수행하고 결과를 발표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생애전환기 건강검진을 받은 만 66세 여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07년 이후 골감소증 환자는 계속 증가했으며, 2019년 골감소증 환자는 66세 여성 절반을 차지했다. 골밀도 수준에 따라 골절 발생률을 분석한 결과, 골밀도가 정상인 군에 비해 골감소증, 골다공증 환자군의 골절 발생률이 높았다.

연도별 골밀도 수준에 따른 골감소증 환자 추이 [자료=한국보건의료연구원 제공]
2008~2009년 생애전환기 건강검진 수검자 중 골감소증인 만 66세 여성 환자에서 골절위험인자를 확인하고 예측모형을 구축한 결과, 낙상, 당뇨병, 뇌혈관질환, 천식, 과거골절력이 유의한 골절 위험 인자로 포함됐다.

골감소증 환자 중 골다공증 약제 치료군이 약제를 치료하지 않은 군보다 골절 발생 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고, 골밀도가 유의하게 증가했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골밀도가 골다공증 수준으로 낮지 않더라도 골절 고위험군인 환자를 선별해 치료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이번 연구가 향후 골감소증 환자에게 골다공증 약제 투약 여부를 결정하는 임상진료지침에 중요한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성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