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뉴스] 좋은 마음으로 신장이식…돌아온 현실은 ‘사회경제적 불이익’

[그래픽=최소연 디자이너]

매년 국내 신장 이식 2,000건 이상, 절반은 생체공여자의 신장 기증으로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생체공여자가 신장기증하는 비율이 높다 국제장기기증 및 이식 등록기구(2019년) 기준 70개국 중 2위다.

신장이식은 말기신부전 환자에게 투석 외 유일하며, 이상적인 치료법이다. 생체공여자란 뇌사자가 아닌, 살아있는 혈연 또는 비혈연 관계의 기증자를 말한다. 문제는 이식 수요자는 급격히 증가하지만, 뇌사 공여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

생체 신장공여자의 단·장기 합병증, 예후, 공여 후 건강상태, 심리적‧사회경제적 문제 다룬 국내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말기신부전 환자를 위해 신장 기증한 공여자의 건강과 사회경제적 상황을 분석했다.

신장공여자 vs. 건강한 일반인 ‘대사 위험도‘ 차이 X
1979~2018 7개 국립대병원 신장공여자 2051명과 일반인 2,051명 자료 분석 결과 혈액 내 요산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아지는 고요산혈증은 신장공여자와 건강한 일반인 모두 급격히 상승했다.

▲ 고혈압 유병률은 신장공여자 11.3%p 일반인 13.9%p 증가했다.
▲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병률은 신장공여자 8%p 일반인 18%p 증가했다.
▲ 과체중&비만 유병률은 신장공여자가 일반인에 비해 환자 비율이 높았으나 두 군간 경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신장공여자, 건강한데 사회경제적으로는 차별?
신장 기증 후 아래와 같은 상황을 겪는 이들이 많다.
▲ 취업 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졌다.
▲ 새로 취업할 확률이 일반인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 소득분위 상승 확률은 일반인보다 0.5배 낮았다.
▲ 소득분위가 기증 전보다 떨어질 확률은 1.4배 높았다.

2003~2016 신장공여자 1,369명과 일반인 대상 조사 결과 신장 기증 후 2년간 고용불평등, 5년간 소득분위가 떨어지는 경향이 발견됐다. 신장공여자 34.2%가 “사회경제적 변화 경험했다”고 답변했으며 신장공여자 40.8%는 “수술비용 전액 부담”이라고 답했다.

서울대병원·동산병원 신장공여자 240명 대상 설문조사 결과 ▲수술비용으로 어려움(69.5%) ▲신장이식 수술 후 보험가입 및 유지에 제한(54.9%) ▲휴학이나 휴직으로 경력단절(42.7%) 답변이 나왔다.

신장공여자는 수술로 경제적 부담, 실직, 보험 차별, 정신건강까지 악화된 상황이다. 이식수술 후 우울감, 불안감, 두려움, 의욕 및 자신감 저하, 불면증, 스트레스, 감정조절장애 시달리는 공여자들.

이타심으로 신체 일부를 기증했고 대사위험도나 장기생존율은 일반인과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신장공여자에게 닥친 현실은 사회경제적으로 불리 & 경제적 피해.

국가 차원의 지원이 급선무다. 체계적인 국가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으로 공여자의 장기안전성과 사회경제적 안전성 확보가 필요하다.

    김성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2
    댓글 쓰기
    • 김*** 2022-01-15 15:02:07 삭제

      자비를 베푼 공여자 분들에게 큰 감사와 위로를 드립니다. 부디 좋은 흐름으로 이어지길!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 heu*** 2022-01-15 01:02:30 삭제

      생체유전자분석등치료기술새영과학이발젼하고있음니다백혈병등세포암등치료제개발등장기이식분야도 변화가올거임힘네세요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0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