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9살인데 ‘암’이… ‘소아 백혈병’ 이렇게 관리하세요

림프구성 백혈병 완치율 85%...정기적 진찰과 혈액검사 필요해

소아청소년 시기에 걸린 암은 고액의 치료비와 긴 기간이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도 문제를 입힐 수 있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소아청소년 시기에 걸린 암은 고액의 치료비와 긴 기간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도 문제를 입힐 수 있다.

그중에서도 소아청소년 백혈병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암이다. 이 병은 대부분 급성으로 나타나, 증상이 발현됐을 시 신속한 대처와 치료가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18세 미만 청소년까지 걸린 암을 소아암 혹은 소아청소년암이라고 부른다. 우리나라는 1년에 대략 1200~1500명에서 소아암이 발생한다. 그 중 소아청소년 백혈병은 2020년 기준 총 372명이 새롭게 진단됐다. 9세 이하에서 193명, 10~19세에서 179명으로 나타났다.

백혈병 세포는 대부분 혈액이 만들어지는 골수에서 기인한다. 세포 내 유전 물질인 DNA의 돌연변이나 염색체 구조, 수 이상 등으로 혈액세포의 정상 분화 과정에 이상이 발생한다. 이후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이 이뤄져, 정상 혈액세포가 암세포로 전환된 것이다.

성인암은 담배나 식습관과 같은 요소에 영향을 받는 것과 달리 소아청소년암은 원인이 불명확하고 발병 예측이 어렵다. 다만 △유전적 소인 △방사선 △중금속 △화학약품 등이 발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혈병 세포는 조절되지 않고 끝없이 증식해 정상 혈액세포가 자라날 골수 공간을 차치한다. 이에 따라 정상 혈액 기능이 감소해 △빈혈로 인한 창백, 운동 능력 감소 △혈소판 감소로 인한 출혈 경향, 멍이 쉽게 듦 △백혈구 감소로 인한 면역 기능 저하, 감염 등이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증식된 백혈병 세포가 뇌·척수와 같은 중추신경계, 간, 비장, 림프선, 고환 등에 침범해 관련된 증상을 일으키기도 한다.

이 병의 진단은 성인 백혈병과 마찬가지로 골수검사가 필수다. 골수는 딱딱한 뼈 안에 있는 조직이다. 조혈작용을 하는 골수가 많은 부위는 두개골, 척추뼈, 갈비뼈, 골반뼈 등이 있다. 이 중 골수를 채취하기에 가장 안전한 부위는 골반뼈다.

골수 검사는 골반뼈의 성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통증도 비교적 수일 내 회복된다. 다만, 소아 환자는 진정제 사용 시 생길 수 있는 호흡 관련 문제가 일어나지 않도록 각별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소아청소년 백혈병 치료는?…완치율 85%↑

이 병은 암세포가 혈액을 따라 퍼지는 전신 질환이기 때문에 수술로 제거하는 다른 고형암과는 치료 접근이 다르다. 초기 응급상황이 많아 발견과 동시에 신속히 치료해야 한다.

주된 치료 방법은 항암제를 투여하는 항암화학요법이다. 침범 여부에 따라 항암제가 잘 통과하지 못하는 중추신경계나 고환 등 국소적인 부위에 방사선 치료를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 병의 70~80%를 차지하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초기 약 6~10개월 정도의 집중치료 이후 높지 않은 강도로 유지 치료를 진행한다. 전체 기간을 2~3년 지속하는 것이 기본적인 치료 방법이다.

다만 백혈병 특성이 나쁘거나 초기 치료 반응이 좋지 않아 예후가 나쁠 것으로 판단되면 약물을 더 강하게 쓰거나 골수 이식이라 하는 조혈모세포이식을 통해 치료한다.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은 완치 비율이 약 85% 이상으로 높다.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경우도 약 60% 이상 완치가 이뤄지고 있다.

소아 백혈병 재발율 15%…올바른 관리법은?

소아청소년 백혈병은 약 15%에서 치료 중 또는 후에 재발이 될 수 있다. 주로 골수로 재발하며 중추신경계 혹은 고환으로도 재발이 가능하다.

따라서 치료를 마친 후에는 정기적인 진찰과 혈액검사를 통해 재발 여부를 감시하고, 치료로 인한 합병증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아울러 건강한 식사가 매우 중요하다. 급성 림프모구 백혈병 환자는 스테로이드 사용으로 비만이 생길 수 있어 관리가 필요하다. 조금씩이라도 나눠서 자주 먹는 것이 영양 상태 유지에 도움이 된다.  충분한 수분 섭취와 걷기 등의 운동을 통해 근육을 유지하는 것도 중요하다.

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홍경택 교수는 “소아청소년암은 아이나 그 가족의 잘못이 아닌 우리 사회가 함께 도와주고 치료해야 하는 병이다”며 “치료 관련 약제들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아이의 성장·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더 건강하게 완치시키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