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허혈증 충격을 회복시킨 전화 한 통

[유영현의 의학 논문 속 사람 이야기]

논문 10: Lee TJ, Kim EJ, Kim S, Jung EM, Par JW, Jeong SH, Park SE, Yoo YH, Kwon TK. Caspase-dependent and caspase-independent apoptosis induced by evodiamine in human leukemic U937 cells. Mol Cancer Ther 2006;5:2398-2407.

■사람: 권택규 계명대 의대 교수(미생물학교실)
■학문적 의의: Evodiamine에 의한 케스파제 의존성 및 비의존성 세포사

권택규 교수는 2004년 ‘보문학술대회’에서 처음 만났다. 연구책임자급 이상의 생화학분자생물학회 정회원들이 모여 생명과학 분야 연구 관심사를 심도 있게 파악하고 토의하는 학술대회다.

이날은 해부학 전공자로 이 학회에 초청되어 내 연구를 소개한 영예로운 날이었다. 우리는 서로의 연구와 관련된 이야기를 밤늦게까지 나누며 연구 동역자가 되었다.

몇 살 아래인 권 교수는 그날 이후 나를 형님이라 부른다. 세포사 연구라는 공통분모가 있어 수도 없이 전화하면서 연구와 관련하여 겪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서로에게 도움이 되었다.

최근 계명대 의대에서 ‘동역자’ 권택규 교수(사진 왼쪽)를 다시 만났다. [사진=유영현]
국내 심포지엄과 인도 트리반드룸에서 개최된 국제심포지엄에서는 함께 연자로 무대에 서기도 하였다.

권 교수와 인도 학회를 다녀오고 얼마 되지 않아, 2006년 초 나는 일과성 뇌 허혈로 연구실에서 쓰러졌다. 45분간 바닥을 뒹굴다 응급실로 옮겨져 “중뇌 동맥이 막혔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 상황에 기가 죽었다.

소식을 들은 권 교수는 몇 번이나 전화하며 내 건강을 걱정하여 주었다. 한동안 나는 매사에 자신감을 잃었다. 출근 후 즉시 컴퓨터를 켜지 않고 전화를 줄이며 당분간 일에서 멀어져 지냈다.

이처럼 위축되어 있던 어느 날, 권 교수가 다시 전화하여 진행 중인 연구에 대하여 내게 의견을 구하였다. 될 수 있는 대로 전화 통화를 줄이려는 내 마음 때문에 나는 건성으로 답하였다.

권 교수는 내 반응에도 개의치 않고 이후에도 몇 번 더 전화를 걸어 평소 때와 다름없는 밝은 목소리로 집요하게 질문하고 내 의견을 구하였다.

연구 중단 위기에서 날 구해준, 진정한 동역자 권택규 교수

연구를 거의 중단하고 헤매던 나는 권 교수 덕에 이 연구에 스멀스멀 참여하게 되었다. 뒤돌아보면 권 교수는 이 연구에 나를 참여시켜 침체에 빠져있던 내게 연구로 복귀하는 중요한 전기를 제공하였다.

마침내 연구를 마치고 논문을 작성하는 시점에 이르렀다. 권 교수는 내게 공동교신저자를 제안하였다. 연구 자료 산출에 실제 역할이 크지 않아 나는 권 교수 제안을 사양하여야 마땅하였다. 하지만 연구를 거의 중단하고 있던 내 형편을 생각하고는 공동교신 제안을 뿌리치지 못하였다.

대신 논문 작성에는 제대로 역할을 하였다. 오랜만에 컴퓨터 앞에서 집중하였다.

이렇게 간행된 이 논문은 연구 업적이 텅 빌 수도 있었던 2006년 한 해를 채워 준 고마운 논문이다. 이 논문은 2009년 SRC 유치 경쟁 시, 내 대표 논문의 하나로 크게 이바지하였다.

“어려울 때 친구가 진짜 친구”이듯 어려울 때 동력자가 진짜 동력자다. 이 논문 이후 나는 점차 몸도 회복하고 마음도 회복해 연구로 복귀하였다.

지금도 내 귀에는 내 관심을 연구로 돌려준 당시 권 교수의 전화 속 목소리가 생생하게 울린다.

    에디터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