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라 파는 과일, 안전할까?
그러나 바쁜 일상 속에서 철마다 과일과 채소를 챙겨 먹는 것은 쉽지 않다. 게다가 1인 가구라면 먹는 것보다 버리는 게 더 많을 수도 있다. 뚜껑만 열면 바로 먹을 수 있도록 잘라 포장한 과일과 채소가 인기를 누리는 까닭이다.
하지만 잘라 파는 과일과 채소를 사 먹는 건 현명한 일이 아니다. 가격이 비쌀 뿐더러 위생적으로도 문제의 소지가 있다는 것. 미국 ‘허프 포스트’가 전문가의 조언을 전했다.
◆ 세균 = 과일은 껍질에 의해 보호를 받는다. 그런데 잘라 파는 과일은? 일리노이 공과대학의 식품 안전 보건 센터의 밥 브라켓 소장은 “껍질을 벗기고 속살인 채로 놔두면 대장균이나 살모넬라 등 세균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한다. 채소를 조각내는 과정에도 마찬가지 위험이 존재한다. 과일이든 채소든 귀찮더라도 통으로 구입한 다음 직접 씻어서 잘라 먹는 게 위생적으로는 제일 바람직하다.
◆ 산화 = 과일이나 채소를 자르면 그 단면이 빛과 공기에 노출된다. 즉 산화가 진행되기 시작한다. 사과나 아보카도를 잘라 놓으면 바로 갈변하는 걸 볼 수 있다. 산화는 색깔이나 질감, 맛은 물론 영양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비타민 C, B 등 수용성 비타민과 몇몇 항산화 성분은 특히 산화에 민감하다. 그래서 잘라 파는 과일이나 채소를 구입할 때는 유통 기한에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환경 = 잘라서 파는 간식용 과일, 샐러드용 채소는 대개 플라스틱 통에 들어 있다. 일회용 플라스틱은 지구에 심각한 위해를 가한다. 플라스틱에 든 화학 물질 중 일부가 속살을 드러낸 상태의 과일과 채소에 스며들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문제다.
이용재 기자 youngchaeyi@kormedi.com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http://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