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도 살 수 있다!’… 암유전자 맞춤 항암, 치료성적 ‘3배’↑

'췌장암 유전자' 첫 규명... 암 유형 세분화로 '맞춤 치료법' 가능해져

최근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췌장암을 유발하는 유전요인을 발견했다. 이에 맞춘 항암요법을 시행한다면 치료 성적이 3배 이상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0% 남짓한 낮은 생존율을 보였던 췌장암의 치료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최근 국내 연구진이 찾아냈다. 세계 최초로 췌장암을 유발하는 유전요인을 발견했는데, 이에 맞춘 항암요법을 시행한다면 치료 성적이 3배 이상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는 고려대 유전단백체연구센터 이상원 교수팀이 서울대, 서울대 의대, 서울대병원, 아주대학교 등과 공동 연구를 진행한 결과다. 연구팀은 췌장암을 유발할 것으로 추정되는 7종의 변이 유전자를 찾아내 췌장암의 유형을 6가지로 세분화했다.

연구팀은 췌장암 환자 150명에게서 채취한 암 조직과 혈액 시료에 대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기반 유전체 분석과 질량분석기반 단백체 분석을 진행했다.

이 결과 1만 2000여 개의 체세포 변이 중 △KRAS △ TP53 △CDKN2A △SMAD4 △ARID1A △TGFBR2 △RB1 등 7개의 변이 유전자가 췌장암 발병과 관계가 있다고 추정했다. 이들 변이 유전자가 췌장암 발병과 관련한 중요한 세포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했기 때문이다.

동시에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췌장암의 유형을 6가지로 세분화했다. 기존에는 최초 암 발병 위치를 중심으로 췌장암 환자의 90%를 ‘췌관 선암(腺癌)’으로 분류했다. 췌장에서 만들어진 소화 효소를 십이지장으로 전달하는 통로인 췌관 내 세포에서 변이가 시작해 악성종양과 암으로 발전한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연구진은 동일한 췌관선암이라도 항암보조요법 등 임상치료 성적과 변이 유전자 차이 등 발병 원인에 따라 췌장암의 ‘정체’를 더욱 상세히 분류할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러한 새 분류법에 맞춰 적합한 치료법을 사용했을 때 치료 성적에서도 3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했으며, 이를 생쥐 실험을 통해 재차 검증했다.

이번 연구 결과를 임상에 적용할 경우 향후 췌장암 진단과 치료에 획기적인 전환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췌장암은 대표적인 치료 불응성(치료법이 잘 듣지 않음) 질환으로 여겨지며 실제 생존율도 10% 수준으로 극도로 낮다. 췌장암에 대한 의학 지식과 기술의 한계 때문이다.

이 탓에 지금까지 췌장암에 대한 항암 치료는 대체로 각 환자의 종양 특성과 치료 반응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 현재로선 완치법은 수술이 유일한데, 여러 장기에 둘러싸인 췌장의 특성상 암 발견이 늦기 때문에 80%의 환자가 이미 완치가 불가능한 상태(주요 혈관·전신 전이 등)에서 진단을 받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90% 이상의 췌장암 환자는 사실상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항암치료를 진행한 것이다.

연구를 주도한 고려대 이상원 유전단백체연구센터장과 서울대병원 간담췌외과 장진영 교수는 “췌장암에서 기존의 치료법이 듣지 않았던 여러 가지 이유를 광범위한 유전단백체 분석을 통해 밝혀냈다”면서 “이번 연구 결과가 조만간 췌장암 정밀진단법과 맞춤형 치료법으로 발전한다면 그간 효과와 의미가 미미했던 현행 치료법 대신 생존과 완치율을 높이는 효과적인 췌장암 치료법을 앞당길 것”이라고 기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 해당 연구는 암 연구 분야 국제 최상위 학술지인 지난 연말 ‘네이처 캔서(Nature Cancer, IF=23.19)’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세부 연구 데이터는 국가바이오데이터스테이션(K-BDS)에서도 공개할 예정할 예정이다.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