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콩팥병, 고령층도 ‘투석치료’가 생존율 높여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노인 만성콩팥병환자 투석치료 vs 보존적 치료 연구 발표

투석치료군이 보존적 치료에 비해 생존율이 높고 사망위험이 낮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는 투석치료를 받는 편이 증상이 호전되고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투석치료와 보존적치료의 임상 효과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만성콩팥병이란 신장 기능이 떨어지거나 소변검사에서 혈뇨, 단백뇨와 같은 신장 손상이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질환이다. 70대 이상 인구의 10명 중 1명 이상은 중증도 이상의 만성콩팥병 환자다. 콩팥을 대신해 인위적으로 체내 노폐물을 걸러주는 투석치료에는 2가지가 있다.

인공신장기를 이용해 혈액 내 노폐물을 제거하고 체내 전해질 균형 유지와 과잉 수분을 제거하는 혈액투석과 복강에 특수한 도관을 삽입해 관을 통해 깨끗한 투석액을 받는 복막투석이다. 말기신부전이지만, 투석이나 이식을 하지 않고 적절한 돌봄과 치료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보존적 치료는 환자의 삶의 질에 중점을 두면서 병의 진행을 늦추는 것이 목적이다.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이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한 문헌 21편을 분석한 결과 투석치료가 보존적 치료에 비해 전체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사망위험은 낮았다. 투석치료군의 ▲1년 시점 생존율은 85% ▲2년 시점 73% ▲3년 시점 58%였으며, 보존적 치료군의 ▲1년 시점 생존율 69% ▲2년 시점 43% ▲3년 시점 25%였다. 생존기간도 투석치료군 38개월, 보존적 치료군 20개월로 차이가 났다.

1년 이상 투석치료군 중에서는 사전 계획에 따라 투석을 결정하고 치료한 환자의 사망위험이 낮았다. 임상적으로 투석이 급하게 필요한 상황에서 중심정맥도관 삽관으로 투석을 시행한 경우 초고령 환자의 사망위험은 계획된 투석치료군 대비 3.98배 높았다.

계획되지 않은 투석치료를 받은 경우 연령 이외에 혈액 검사에서 혈청 칼륨 농도가 정상치의 하한치인 3.5mmol/L 미만인 저칼륨혈증, 혈액투석을 할 수 있도록 동맥과 정맥을 연결하는 동정맥루 수술 여부 등이 생존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저칼륨혈증에서 혈중칼륨수치가 증가할수록, 동정맥루를 만들어 투석을 지속한 경우 사망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복막투석과 혈액투석은 효과 차이를 입증하는 근거가 명확하지 않았다. 다만 계획되지 않은 혈액투석의 사망위험이 계획되지 않은 복막투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연구책임자인 동국대 의대 신성준 교수와 연세대 원주의대 양재원 교수는 “말기신부전 노인 환자도 투석치료를 적극적으로 시행해야 생존율이 높고 삶의 질도 차이가 없다”고 말했다. “투석치료가 보존적 치료보다 나을 수 있다는 결과를 제시한 첫 연구”라며 “초고령 환자나 연명의료결정법에 따른 말기 또는 임종기 환자는 투석치료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고 했다.

만성콩팥병은 연령대가 높을수록 발병이 증가하고 있지만, 노인 만성콩팥병 또는 말기신부전 환자에 대한 국내 진료지침은 마련되지 않았다. 공동 연구책임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박동아 연구위원은 “국내 노인 만성콩팥병 환자의 투석치료와 관련해 근거기반 임상진료지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