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어깨 주사치료로 양쪽 오십견 증상 좋아져
어깨 통증 중 흔히 오십견이라 불리는 질환은 주로 40~50대 중년부터 발생하는데 어깨 관절주머니(관절낭) 주변에 생긴 염증으로 인해 어깨 관절이 굳어지고 통증이 생기는 현상이다.
아주대병원 재활의학과 윤승현 교수는 최근 연구에서 오십견이 양쪽 어깨에 생기더라도, 먼저 한쪽 어깨를 주사치료 후 양쪽 어깨의 증상이 호전되는지 살피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통상 약물과 운동치료에도 오십견이 호전되지 않으면 주사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다. 아주대병원 연구팀은 양측성 오십견 환자 165명(남자 69명, 여자 96명)을 대상으로, 한쪽 어깨에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치료를 시행하고 6-8주 후 증상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확인했다.
그 결과 주사를 맞은 어깨는 통증 63%, 어깨를 바깥쪽으로 펴는 외전 각도 37% 등 통증정도 및 관절 수동 운동범위가 호전된 것을 확인했다. 흥미로운 연구결과는 주사를 맞은 어깨보다는 효과가 적지만, 주사를 맞지 않은 반대편 어깨에서도 통증이 45%, 외전 각도가 15% 호전됐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한쪽 어깨에 주사된 스테로이드의 일부가 전신으로 흡수되면서, 반대편 어깨의 염증을 감소시킨 것이며, 이에 오십견이 양쪽 어깨에 생기더라도 우선 증상이 심한 어깨 먼저 치료 후 양쪽 어깨의 호전 정도를 살펴볼 것을 권한다고 밝혔다.
양쪽 어깨 주사에 의한 스테로이드 과량 투여로 인한 국소 및 전신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고, 필요 용량을 반으로 나눠 양쪽 어깨에 주사하는 것보다 한쪽 어깨 주사시 더 높은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십견 환자의 20%가 양쪽 어깨에 발생하며, 특히 당뇨병 환자에서 양쪽 발생이 흔하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주는 오십견 환자들의 스테로이드 주사치료에 대한 부담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2021년 11월 SCIE 국제 저널 Journal of International Medical Research(국제의학연구)에 ’Functional improvement of bilateral frozen shoulder by unilateral intra-articular corticosteroid injection: a retrospective study(편측 관절 내 스테로이드 주사에 의한 양측 오십견의 통증과 기능적 개선: 후향적 연구)’란 제목으로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