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클 페달 거꾸로 돌리면 어떤 일이? (연구)
새로운 연구에 의하면 사이클 운동에서 전통적 방법으로 페달을 밟는 대신 페달을 역방향으로 돌리는 것이 대퇴직근의 신경근육이 활성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퇴직근은 넓적다리 앞면에 위치한 긴 근육으로 주요 기능은 다리를 굽혔다 펴는 동작과 고관절 굴곡을 용이하게 하는 것. 이 근육은 격렬한 운동과 스포츠, 신체적 외상 후에 쉽게 취약해질 수 있다.
연구 저자인 일본 시즈오카산요대 에마 료이치 교수에 따르면, 대퇴직근은 운동선수의 경기력과 노인의 신체 수행에 중요한 근육이다. 그러므로 운동과 관련된 활동을 할 때 대퇴직근의 강화를 목표로 해야 한다는 것.
에마 교수는 다양한 근육의 관여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해 에르고미터를 사용했다. 에르고미터는 운동 중 사용하는 작업능력과 에너지를 측정하는 특별한 장치로서, 신장성 사이클 에르고미터는 페달이 자동으로 뒤로 회전한다.
그는 대퇴직근의 근위와 원위부, 외측광근, 대퇴이두근 등 3개 근육에서 표면근전도(EMG)의 신호의 제곱평균제곱근(RMS)을 얻었다. EMG 신호는 근육 수축 중 발생하는 전류를 측정하며 다양한 유형의 신경근육 활동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그런 다음 단축성 사이클 운동을 신장성 사이클 운동과 정량적으로 비교했다. 이전 연구들은 계단을 내려가는 것이 올라가는 것보다 더 쉬운 것과 마찬가지로 신장성 운동이 단축성 운동보다 피로감이 덜하고 효율적이라고 주장했지만, 대퇴직근에 대한 정확한 영향은 밝혀지지 않았다.
이번 실험 결과는 단축성 사이클 운동보다 신장성 사이클 운동에서 대퇴직근의 RMS-EMG가 더 크다는 것을 명확히 보여준다. 에마 교수는 “신장성 사이클 운동은 단축성 사이클 운동과 비교하여 더 적은 노력으로 할 수 있다”면서 “게다가 신장성 운동을 할 때 대퇴직근의 신경근 활성화가 더 활발한 만큼 신장성 사이클이 대퇴직근 기능을 향상시키는 데 좋다”고 설명했다.
그는 “신장성 사이클 운동은 운동 성적이나 노인 삶의 질을 높이고 격렬한 운동과 스포츠로 인한 심각한 손상을 예방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고 결론지었다. 그는 신장성 사이클링 에르고미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운동장비는 아니지만, 특히 훈련과 재활에 큰 이점을 가져올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구는 《근전도검사와 운동요법 저널》에 실렸다. 원제는 ‘Unique neuromuscular activation of the rectus femoris during concentric and eccentric cycl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