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백인-흑인 표정 못 읽는 까닭 규명

가톨릭대 연구진 “뇌의 타인종 얼굴 분석과정 복잡”

대부분의 사람들은 외국인의 나이를 가늠하거나 표정을 해석하는데 어려움을 느끼지만

같은 인종의 표정을 해석하거나 나이를 추정하는 데는 별 어려움을 느끼지 않는다.

이는 같은 인종의 표정을 이해할 때는 뇌의 감정적 기능 부위가 활성화 되고, 다른

인종의 표정을 이해할 때는 뇌의 논리적 기능 부위가 활성화되기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다.

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정신과 이경욱 교수팀이 기능성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를

이용해 같은 인종 또는 타인종에 따라 얼굴 감정처리 과정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경욱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근 외국인과의 교류가 점차 많아지는 가운데 인종

간 대인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정적 심리과정을 뇌의 기질적 현상으로 설명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특히 문화 정신의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교수팀은 2006년 이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국인과 서양인의 표정 사진을 보여주면서

뇌의 반응을 fMRI로 측정했다. 이번 연구에는 ‘채리 한국인 얼굴 표정 (ChaeLee

Korean facial expressions)’이 사진으로 사용됐다. 이는 이경욱 교수와 성모병원

정신과 채정호 교수가 한국인 감정표현을 구현해 개발한 것으로 지난 2004년 한국

최초로 표준화됐다.

연구결과, 같은 인종의 행복 또는 슬픈 표정을 볼 때는 편도, 해마 등 감정 처리

과정에 관여되는 뇌 부위가 강하게 활성화됐다. 반면, 다른 인종의 표정을 볼 때는

전두엽, 후두엽 및 두정엽 등 논리적 기능을 담당하는 뇌 부위가 활성화됐다.

같은 인종의 표정을 볼 때는 감정과 관련된 뇌 부위들이 즉각적으로 활성화돼

공감적 반응을 자동적으로 불러일으키지만, 외국인의 표정에 대해서는 어떤 감정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뇌가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이차적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드러났다.

즉, 같은 인종의 표정은 감정적, 자동적으로 이해하고 외국인의 표정은 논리적인

과정을 거쳐 이해하게 되어 머리가 더 많이 쓰인다는 것.

이번 연구 논문은 ‘동종 및 타인종의 얼굴 감정 처리 과정의 차이’라는 제목으로

뇌과학 연구 전문 저널인 “뉴로리포트(Neuroreport)” 7월호에 발표됐다.

    정은지 기자
    정은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