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 못 자 우울한 한국인…수면-우울 연관성 입증

분당서울대병원 윤창호 교수팀, 수면 특성 변화와 우울증 상관성 연구

잠이 부족하거나 많이 자는 사람은 적정 수면을 취하는 사람보다 우울증 발병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Alisa Zahoruiko/게티이미지뱅크]
수면의 질이 떨어지면 우울증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당서울대병원 연구팀이 10년 간 수면과 우울증의 연관성을 확인한 결과다.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윤창호 교수팀(순천향대 부천병원 신경과 윤지은 교수)은 한국인 대상 연구를 통해 수면이 부족한 사람은 적정 수면을 취하는 사람보다 우울증 발병 위험이 최대 3.74배 높다는 점을 확인했다.

잠을 잔다는 건 맥박, 호흡 등 생명 유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활동을 제외한 신체활동이 휴면에 들어간다는 의미다. 잠이 부족하면 신체가 충분한 휴식과 재정비 기회를 갖지 못하면서 신체적·정신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만성 수면 부족은 심혈관 질환, 대사 질환, 뇌졸중, 치매, 우울증, 불안증 등 여러 질환의 발병 위험을 높인다.

좋은 수면 습관은 건강을 유지하는 필수 요건이라는 것. 연구팀은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면 특성 변화를 연구해 현재 수면이 한국인의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확인했다. 연구팀은 2009년 2836명, 2018년 2658명 등 무작위로 추출한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기상 시간 △취침 시간 △총 수면 시간 △주관적인 잠 부족 경험 △수면의 질 △우울증을 조사했다.

그 결과, 우울증 유병률은 2009년 4.6%에서 2018년 8.4%로 증가했다. 평균 수면시간은 7시간 27분에서 7시간 8분으로 19분 감소했고, 수면이 부족하다고 인식한 사람의 비율은 30.4%에서 44.3%로 늘어났다.

수면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수면잠복기도 악화됐다. 수면에 도달하는 시간을 의미하는 수면잠복기는 10년 간 평일 8분(7→15분), 주말 7분(9→16분) 증가했다. 수면의 질을 평가하는 ‘피츠버그 수면 질 지수(PSQI)’는 3.6에서 3.8로 증가했다. 이 지수가 5를 넘으면 잠재적인 수면 부족 상태다.

2009년과 2018년 모두 7~8시간 적정 수면을 취한 사람의 우울증 유병률이 가장 낮았다. 5시간 미만으로 잔 사람은 7~8시간 잔 사람보다 3.08~3.74배 유병률이 높았다. 9시간 이상 잠을 자도 유병률이 1.32~2.53배 높아져 적정 수면을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윤창호 교수는 “부족한 수면 시간과 낮은 수면의 질은 우울증 외 뇌졸중, 심혈관 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며 “특히 5시간 미만, 9시간 이상 수면시간은 우울증 위험성을 높이므로 적정 수면시간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국민들의 수면시간과 수면의 질 등 잠과 관련한 대부분의 지표가 나빠졌다는 점에서 수면 행동의 중요성을 알리는 교육 또한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번 연구는 대한신경과학회가 발생하는 《임상신경학저널(Journal of Clinical Neurology)》에 게재됐다.

한국 성인의 2009년, 2018년 수면 특성 변화 [표=분당서울대병원]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