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단맛 중독’ 일까?

어느 순간 단맛에 푹 빠져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면 건강에는 빨간불이 깜빡이게 된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어느 순간 단맛에 푹 빠져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면 건강을 돌아볼 필요가 있다. 입맛이 바뀌었다고 가볍게 넘길 일이 아니다. 당분은 장점도 많다. 당분은 주로 과일 음료, 설탕, 빵, 과자, 떡 등에 함유돼 있다. 설탕은 체내에서 빠르게 에너지원인 당으로 전환돼 운동 후 피로회복에 좋다. 스트레스 해소에도 도움이 된다. 당분을 먹으면 세로토닌이 분비되기 때문이다. 세로토닌은 사람의 기분을 좋게 만드는 신경전달물질이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단맛의 중독성이 크다는 것이 문제다. 단 것을 자꾸 먹을수록 맛의 역치가 증가한다. 역치란 감각을 느낄 수 있는 최소한의 자극량이다. 간단히 말해 더욱 더 단 것을 먹어야 달다고 느끼게 된다.

 

우리 몸은 신진대사를 위해 포도당을 필요로 한다. 당분은 탄순화물의 일종이다. 설탕처럼 체내에서 빠르게 당으로 전환되면 갑자기 혈당이 높아진다. 이를 분해하려고 인슐린도 과다분비된다. 인슐린 과다분비는 저혈당으로 이어져 결국 단맛 중독을 초래한다.

 

당분을 많이 먹으면 세로토닌도 과다분비된다. 이 상태에 맞춰 당분을 섭취하지 않으면 오히려 우울증이 심화된다. 이 역시 단맛 중독이다. 일종의 악순환이 이어져 시간이 갈수록 더 달게 먹고, 성격도 안좋아졌다는 사람들이 적지 않은 이유가 여기에 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단맛에 지나치게 빠져들면 심장병이 생길 위험이 높아진다. 미국 질병예방통제국에 따르면 설탕 등 당류를 하루 60g 이상 섭취한 사람은 심장병으로 사망할 위험이 1.3배, 150g 이상 섭취하면 2.8배나 높았다. 설탕 4g은 티스푼 1개 분량이다.

 

또 당분을 지나치게 먹는 사람은 지방간이 생긴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이라고 한다. 에너지원으로 쓰이고 남은 당분이 중성지방으로 바뀌어 간에 쌓이는 것이다. 중성지방은 간뿐만 아니라 내장과 혈관에도 쌓여 비만, 고지혈증, 동맥경화로 이어진다.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비만인 경우 비알코올성 지방간 유병률은 58~74%에 달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성인도 문제지만, 우리나라는 청소년의 당분 과다섭취가 문제가 되고 있다. 초중고생 등 청소년의 하루 평균 당류섭취량은 69.6g으로 전체 연령대 중 가장 많았다. 국민 전체 하루 평균 섭취량은 61.4g이었다. 청소년들은 주로 청량음료와 과자 등 가공식품을 즐겨 먹어 당류 섭취가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희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