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혈류량’…‘혼합형 치매’ 진단법 찾았다

뇌 속 단백질 종류따라 달라

알츠하이머병, 루이소체병 등 두 가지 원인 질환이 같이 나타나는 혼합형 치매의 발병 기준이 제시됐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혼합형 치매를 더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기법을 선보였다. 혼합형 치매란 두 가지 이상의 원인 질환이 같이 나타나는 상태로, 단독형 치매보다 몸과 인지기능이 더 빨리 저하한다.

치매를 일으키는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루이소체병, 뇌혈관질환 등 50가지가 넘는다. 혼합형 치매 환자는 전체의 50% 정도이며, 주로 알츠하이머병과 루이소체병이 동시에 발병한다. 하지만 이들 중 대부분은 혼합형 치매가 아닌 알츠하이머병으로만 진단받는다. 루이소체병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 침착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가 없기 때문이다.

세브란스병원 신경과 예병석 교수, 강석우 강사, 연세대 의대 뇌연구소 전세운 교수 연구팀은 뇌 혈류량의 증감에 따라 알츠하이머치매와 루이소체치매가 동시에 나타나는 혼합형 치매를 진단하는 기법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알츠하이머병은 뇌 속 단백질인 베타-아밀로이드가 뇌에 쌓여 측두엽 등 기억력을 담당하는 부분의 기능을 떨어뜨린다. 루이소체병은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이 뇌 안에 쌓이면서 신경세포를 공격해 도파민 분비를 줄이고 환시, 인지기능 문제 등을 유발한다. 환시는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것이 보이는 것처럼 느끼는 환각 현상이다.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 등록된 치매 환자 99명을 대상으로 PET 검사를 진행했다.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의 침착과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로 인한 도파민 분비 저하가 뇌 혈류량 증감 및 치매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다.

그 결과 두 단백질은 각각 다른 뇌 부위의 혈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베타-아밀로이드 단백질이 쌓이면 내측두엽의 혈류가 감소했고, 알파시누클레인 단백질로 인해 도파민 기능이 떨어지면 해마 부위의 혈류가 늘어난 것이다.

연구팀은 이러한 혈류 변화가 특정 증상으로 이어진다고 밝혔다. 내측두엽 혈류 감소는 기억력 저하 등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떨어뜨렸다. 반면 해마의 혈류 증가는 집중력을 낮추고 시공간 기능을 떨어뜨려 인지기능 변동, 환시를 일으켰다.

연구팀은 각 단백질에 의한 혈류량 변화 차이가 혼합형 치매 발병을 확인할 수 있는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예병석 교수는 “혼합형 치매 환자가 보이는 증상이 다양해 정확히 진단을 내리는 것은 매우 어렵다”며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혼합형 치매 환자의 조기 진단과 치료를 진행해 예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알츠하이머병 협회 학술지 《알츠하이머병과 치매’(Alzheimer’s & Dementia, IF 16.655)》 최신 호에 게재됐다.

    최지혜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