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진

정의

습진(eczema)은 임상적으로 가려움․홍반․부종․진물 등의 증상을보이면서 조직학적으로 표피의 해면화(spongiosis), 염증세포 침윤, 진피의 혈관 증식과 확장, 혈관 주위의 염증세포 침윤을 특징으로하는 피부질환입니다. 습진은 일반적으로 피부염(dermatitis)과동의어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피부염이 조직학적인 용어라면 습진은 임상적인 용어로, 피부염가운데 앞에서 기술한 홍반․부종․진물 등과 같은임상 소견이 보일 경우를 습진이라고 합니다. 한편 피부과 의사들을 포함한 대부분의 의사들은 습진과 피부염을구별해 사용하지 않고 아토피피부염/아토피습진, 접촉피부염/접촉습진 등과 같이 혼용합니다.

 

습진은 피부염증의 정도와 시기에 따라 급성, 아급성, 만성습진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급성습진은 심한 부종, 홍반, 진물 등을 특징으로 합니다.만성습진은 두꺼운 피부와 각질이 특징입니다. 아급성 습진은 급성과 만성의 중간 정도로서두 가지 특성이 함께 나타날 수 있습니다.

 

습진은 임상조직학적 특징을 보이는 피부질환을 통틀어 부르는 용어입니다. 여기에는다양한 세부질환이 있습니다. 질환마다 원인, 악화요인, 병변의 발생 부위 등 임상 양상이 다릅니다. 각각의 치료와 예후도다릅니다.

종류

습진의 이름은 발생 원인에 근거를 두어 접촉피부염, 아토피피부염, 자가감작피부염 등이 있습니다. 화폐상피부염, 지루피부염 등과 같이 습진의 모양이나 발생 부위에 따라 이름이 붙여지기도 합니다. 습진은 크게 내인성과 외인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병의주원인이 주위 환경에 있으면 외인성, 개인의 특성에 있으면 내인성으로 각각 일컫습니다. 그러나 두 가지를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외인성의 대표적인 습진은 접촉피부염, 내인성의 대표적인 습진은아토피피부염입니다. 습진에는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 여기에서는가장 흔한 접촉피부염, 아토피피부염, 지루피부염, 화폐상피부염, 건조피부염에 대해서만 설명하고자 합니다.

 

1.접촉피부염

접촉피부염은 외부물질에 접촉해 생기는 피부염입니다. 크게 자극접촉피부염과알레르기접촉피부염으로 분류합니다.

 

1) 자극접촉피부염

 

2) 알레르기접촉피부염

자극접촉피부염이 자극물질에 노출됐으면 누구에게나 발생할 수 있는 피부염인데 반해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은 특정접촉항원에 감작된 사람이 그 접촉알레르기항원(알레르기 반응을 유발시키는 물질)에 다시 접촉했을 때 생기는 피부염입니다.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이 발생하기위한 조건으로는 접촉 항원, 감작 과정, 유발 과정이 필요합니다.

 

ㆍ접촉 항원 분자량이 400 이하인 친지질성의 화학물질인 경우가많습니다. 4,000가지 이상의 접촉 항원이 존재합니다.

ㆍ감작 접촉항원이 피부를 통해 흡수된 뒤 피부에 존재하는 항원제시세포에 의해 주변 림프샘으로 이동해 T세포에 이 항원을 기억시키는 과정을 말합니다.

ㆍ유발 특정 항원에 감작돼 있는 사람이 다시 그 항원에 접촉하면 그 항원을 기억하는 T세포가 활성화돼 피부염이 발생합니다. 이 과정을 유발과정이라고 합니다.

 

임상적으로 홍반, 부종, 진물이나타나는 병변을 보입니다.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을 잘 일으키는 물질로는 니켈, 크롬, 코발트 등의 금속 종류가 있습니다. 주로 여자들의 귀금속과 장신구가 해당됩니다. 시계, 안경 등에도 이 물질이 있어 접촉하면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청바지의 금속단추에 의해 배꼽 주변에 반복적으로 습진이 발생합니다. 휴대전화에 포함된 금속에 의한 피부염도 보고되고 있습니다. 또한화장품에 포함된 성분에 의한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이 많아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람에게 얼굴이나 목 부위에 피부염이 발생했을 경우 환자가 사용한 화장품과화장품의 성분을 가지고 첩포검사를 시행해 원인 항원을 찾아야 합니다.

 

화장품의 성분 가운데 흔한 접촉항원은 향료와 방부제 종류들입니다. 머리염색약에의한 알레르기접촉피부염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이 밖에 고무제품이나 접착제 성분에 의한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이발생할 수 있습니다. 풀밭이나 숲에 다녀온 뒤 피부염이 발생했을 경우 식물에 의한 접촉피부염을 의심할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식물은 옻나무, 은행나무, 국화과 식물 등입니다. 알레르기접촉피부염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환자의병력이 가장 중요합니다. 피부염이 발생된 부위와 접촉한 물질 간의 상관관계, 의심되는 물질이 접촉한 시기와 피부염이 발생한 시기의 전후 관계, 환자의알레르기접촉피부염의 과거 병력과 주변에 비슷한 병변이 있는 사람의 유무 등을 고려해 아토피피부염 또는 지루피부염 등과 함께 감별합니다.

 

접촉피부염이 의심될 경우 원인물질을 찾아내기 위해 의심 물질을 가지고 첩포시험을 시행해야 합니다. 첩포검사는 의심되는 물질을 주로 환자의 등에 붙인 뒤 48시간과 96시간 지나고 나서 그 물질에 반응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검사입니다. 물질을붙인 자리에 습진성 병변이 나타나면 그 물질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것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2.아토피피부염

 

3.지루피부염

 

4.화폐상피부염

 

5.건조피부염

건조피부염은 피부 표면의 지질 감소와 연관된 습진입니다. 홍반, 건조증, 피부 표면의 균열과 미세한 각질이 특징입니다. 건조하고 찬 공기에 노출됐을 때 발생합니다. 피부가 건조한 노인에게잘 발생합니다.

 

목욕을 자주하거나 때를 심하게 미는 습관이 있는 사람, 목욕후 보습제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의 경우 피부가 건조해져서 건조피부염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증상은팔다리, 특히 정강이 부위에서 미세한 각질로 시작되며 가려움증이 동반됩니다. 병이 더 진행되면 피부 표면에 균열이 발생합니다. 더 진행되면 화폐상피부염과유사한 병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주거환경의 가습과 잘못된 목욕 습관을 바꿔야 합니다. 목욕후 즉시 보습제를 바르고, 증상이 심하면 약한 스테로이드 도포와 항히스타민제 사용이 필요합니다.

진단

습진의 진단은 환자의 병력, 발생 부위, 모양 등으로 1차적 진단을 내립니다. 습진의 진단을 위한 조직검사는 습진과 다른 질환 간의 감별에는 도움이 되지만 습진 간의 감별 진단에는 도움이되지 못합니다.

 

접촉피부염과 아토피피부염의 진단에는 첩포검사, 피부단자검사가도움이 됩니다. 이 밖에 세균배양검사, 창크 검사, 진균배양검사, KOH 도말검사 등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 또는 진균감염질환과도 감별이 가능합니다.

치료

습진은 하나의 병변 모양은 임상과 조직학적으로 비슷합니다. 그러나각 습진에 따라 다양한 모양과 분포를 보일 수 있으며, 국소적일 수도 있고 전신적으로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치료도 치료기간, 치료강도나 그 예후가 질환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일반적인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1) 급성습진

진물이 나거나 물집이 잡히는 급성 병변에서는 우선 시원한 생리식염수나 소독작용이 있는 KMnO4 용액(1:5000), 알루미늄 아세테이트인 부로프 용액(1:20~40)으로 하루 3~4회15~20분씩 물찜질(습포)을 하거나 목욕을하여 급성염증을 가라앉힙니다.

 

진물이 나는 경우는 진물이 마른 뒤 국소도포제를 바릅니다. 국소도포제는기름기가 많은 연고제보다 수분이 많은 크림이나 로션제가 좋습니다. 염증이 심하면 전신 스테로이드나 항히스타민제를사용합니다. 2차감염이 의심될 경우에는 치료에 앞서 세균검사를 먼저 시행해야 합니다. 이때에는 항생제의 국소도포보다 전신적인 항생제의 사용이 추천됩니다.

 

2) 만성습진

만성습진의 치료에는 국소 스테로이드제의 도포와 함께 피부 건조를 막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바닥, 발바닥 등의 피부가 두껍거나 태선화 병변에서는 강한 스테로이드제를도포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기간 스테로이드제 국소도포 후 비닐이나 랩 등으로 밀봉하기도 합니다.

 

이런 스테로이드제 국소도포 치료가 효과가 없으면 병변 내 스테로이드 주사요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을 경감시키기 위해 경구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며, 국소 치료로치유가 안 되는 심한 경우나 전신적인 경우에는 경구 스테로이드를 단기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구 스테로이드를 사용하기 어렵거나 스테로이드에 부작용이 발생하면 다른 전신적인 면역조절제나 면역억제제로대체 치료해야 합니다.

기타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