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조 투입하는 미국 바이러스 정복 프로젝트 성공할까?

미국 백악관이 7년~10년간 653억 달러(75조5651억여 원)의 예산을 투입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지구적 대유행)이 재발하지 않도록 26개 바이러스군에 대한 백신 개발 및 신속한 실험과 생산을 위한 계획이다.

에볼라, 지카, 니파, 라사열 같은 팬데믹 후보 바이러스 20여개에 대한 선제적 백신개발을 추진하겠다는 앤서니 파우치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의 발언이 현실화한 것이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3(현지시간) 이를 발표한 에릭 랜더 백악관 과학기술정책국장은 1960년대 인간의 달 착륙을 목표로 했던 아폴로 프로젝트에 비견했다. 이는 현재 팬데믹 대응에 나서고 있는 모든 정부 부서의 업무를 통제하는 ‘미션 통제 센터’를 필요로함을 의미한다고 과학전문지 사이언스가 같은 날 보도했다.

27쪽 분량의 계획서에 따르면 거의 40%의 돈이 백신 개발에 쓰이고 20% 미만이 치료비로 투입될 예정이다. 나머지는 새로운 진단법 개발, 조기 경보 시스템 구축, 공중보건 개선 및 세계보건 협력에 쓰인다.

상세 내용으로 들어가면 백신의 경우 인간을 감염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26개 바이러스군을 겨냥하고 있다. 또 새로운 병원균이 발견될 경우 100일 이내에 백신 개발, 시험, 승인을 완료(코로나19 때에 비하면 3배나 빠른 속도)하고 130일 이내에 미국민에 대한 백신 공급, 200일 이내에 전 세계를 대상으로 백신공급에 나선다는 목표가 제시돼 있다.

임상시험에 들어갈 경우 몇 주 내에 10만 명이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사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는 코로나19 때의 임상시험 대상 3만 명에 비해 3배 이상 않은 숫자다. 이밖에 피부 패치나 비강 스프레이와 같은 새로운 백신투약 기술도 모색될 예정이다.

이 계획은 현재 의회에 상정돼 있는 35000억 달러 규모의 내년 예산안에서 150억 달러를 우선 책정했다. 나머지 503억 달러에 대해선 향후 6~9년간 추가 지원받을 수 있도록 의회의 협조가 요청된 상태다. 랜더 국장은 이 예산의 의회 통과를 “매우 낙관한다”고 밝혔다.

랜더 국장은 “미국 역사상 처음으로 이러한 유형의 과학 기술 발전으로 인해 우리는 축적된 데이터베이스를 업데이트하는 것을 넘어 우리의 능력 자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됐다”며 “5년 후의 우리는 이 같은 위기에 더 잘 대응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계획서도 코로나19로 미국이 치른 비용이 지금까지 16조 달러가 넘는다는 점에서 653억 달러의 예산은 미미한 수준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 의회가 어떻게 대응할지는 불확실하다. 이 제안은 미래의 전염병 예방 및 대비를 개선하기 위해 4년에 걸쳐 300억 달러를 지출하겠다는 이전 요청을 확대한 것이다. 그렇지만 정작 민주당의 내년도 예산안에는 이중 50억 달러만 포함됐다. 이 때문에 많은 공중 보건 전문가로부터 혼란스러운 대응으로 코로나19 위기를 확산한 미국 정부의 실수를 되풀이하고 있다고 비판 받았다.

이번 계획에 대해서도 야심 찬 계획이라고 하기엔 재원이 불충분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미네소타대의 역학자인 마이클 오스터홀름 교수는 “착수금은 괜찮지만 실행에 옮기게 됐을 때 충분한 자원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면서 “현실적이 되려면 우리가 정말 갖고 싶은 것을 뒤로 미룰 줄 알아야한다”고 말했다.

가시적 성과를 너무 앞세운 탓에 그를 뒷받침할 기초연구가 부실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다. 보스턴대 신종전염병정책·연구센터를 설립한 나히드 바델리아 교수도 이번 프로젝트가 약물과 신기술에만 초점을 맞췄을 뿐 그걸 구축하는데 필요한 인프라 투자는 부족해 보인다고 아쉬움을 밝혔다.

    한건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