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피해 아동, 자살 시도 위험 높아 (연구)


[사진=eranicle/shutterstock]
최근 3년간 아동 성폭력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된 가운데, 아동 성폭력 예방 조치와 함께 성폭력 피해 아동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는 연구가 발표됐다.

이화여자대학교 김수정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성폭력 피해 아동은 자살 고위험군에 속할 확률이 23.24배까지 높았다.

자살 행동은 3개의 잠재 계층으로 구분된다. 자살 저위험형, 자살 실행위험형, 자살 사고형이다. 자살 저위험형은 자살 위험 수준이 가장 낮은 정서적으로 건강한 유형에 해당되며, 전체 아동 중에서 91.4%가 이 유형에 속했다. 자살 고위험군은 실행위험형과 자살 사고형으로 각각 1.2%와 7.4%가 속하며, 사고형이 가장 자살 생각이 높은 유형이다.

자살 위험군은 최근 12개월 동안▲ 심각하게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는지 ▲ 자살하기 위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운 적이 있었는지 ▲ 자살을 시도한 적이 있었는지 ▲ 자살을 시도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적이 있었는지 등 총 4문항으로 측정됐다.

성폭력 피해 경험이 있는 아동은 피해 경험이 없는 아동보다 자살 저위험형에 비해 자살 사고형에 속할 확률이 23.24배, 자살 실행위험형에 속할 확률이 2.84배 증가했다.

여아는 남아보다 성폭력 피해 경험에 따른 자살 생각 위험이 더 높았으며, 나이가 많을수록 학업 성적이 높을수록 영향이 덜했다.

부모 학력과 부모 동거 여부도 영향을 미쳤다. 부모가 모두 대졸이거나 한 명이 대졸 이상이라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자살 실행위험형에 속할 확률이 1.17배 증가했다. 부모 둘과 모두 같이 살고 있는 경우에는 자살 생각을 할 위험이 줄어들었다.

전체 성폭력 피해자 연령에서 20세 이하는 2014년 35.1%, 2015년 32.6%, 2016년 31.6%로서 지속적으로 30% 이상을 차지한다. 2017년 보건복지부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의 자료에서도 2014년 447건에서 2016년 753건까지 급증했다. 연구팀은 2014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제정 이후 처벌 및 신고를 강화한 데서 기인한 결과로 보고 있다. 연구팀은 드러나지 않는 성폭력 사건을 발견할 수 있게 하는 법적·제도적 노력이 함께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논문을 통해 “교사 및 학부모에게 우울증 등의 자살 행동 전에 보일 수 있는 증상들을 안내하여 가정이나 학교에서 성폭력 피해 아동이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일 때 민감하게 대처할 수 있는 준비가 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보건사회연구지 최신 호에 게재됐다.

    연희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