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 처진 뱃살 그대로 두면…대변 찔끔 나오는 ‘이 병’ 위험 높다

복부 비만 방치하면, 변실금 위험 높아져…환자의 3분의2가 여성

변실금은 보통 65세 이상에서 발생하며, 환자의 약 3분의 2는 여성이다. 많은 나이, 여성, 전신건강 불량, 신체활동 제약 등이 변실금의 위험 인자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복부 비만을 계속 방치하면 훗날 대변을 의지대로 조절하지 못하는 변실금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브리검여성병원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약 7500명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의 제1 저자인 브렌트 히라모토 박사(위장병 및 간장학, 내시경)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복부에 지방이 많은 경향이 있다. 이런 성별 차이가 변실금의 발병 메커니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변실금이란 대소변을 가리는 나이인 4세 이상이 딱딱한 대변, 묽은 대변, 가스 등을 본인의 뜻대로 조절할 수 없는 상태가 3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다. 변실금 환자는 적극적으로 진료를 받지 않는 경향이 있다. 변실금의 발병률을 정확히 알기 어려운 것은 이 때문이다. 변실금은 보통 65세 이상에서 발생하며, 환자의 약 3분의 2는 여성이다. 많은 나이, 여성, 전신건강 불량, 신체활동 제약 등이 변실금의 위험 인자다.

연구팀에 의하면 변실금은 미국 성인 수백만 명의 삶의 질과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비만은 장 기능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체질량지수(BMI)와 변실금 사이의 관계는 여전히 불분명하다. 체성분, 지방 분포 등 다양한 요인을 추가로 분석하면 비만이 변실금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연구팀은 복부비만의 지표인 ‘허리둘레 대 키 비율’(WHtR)이 체질량지수(BMI)보다 변실금을 더 강력하게 예측할 수 있는 지표임을 확인했다. WHtR가 0.43 미만이면 저체중, 0.43~0.53은 정상 체중, 0.53~0.58은 과체중, 0.58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된다. BMI는 체중(㎏)을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이며 20 미만이면 저체중, 20~24는 정상 체중, 25~30은 과체중, 30 이상은 비만으로 분류된다.

연구팀은 미국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2005~2010년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참가자 7500명 이상에 대한 ‘허리둘레 대 키 비율’과 BMI를 계산하고 변실금의 유병률과 위험도를 평가했다. 참가자의 9% 이상이 변실금에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높은 변실금 유병률은 특히 ‘허리둘레 대 키 비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BMI와도 관련이 꽤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인구통계학, 대사성 동반질환, 식이, 신체활동 등 요인을 조정한 뒤에도 높은 ‘허리둘레 대 키 비율’이 변실금과 일관되게 상관관계를 유지했다. 남성의 경우 ‘허리둘레 대 키 비율’과 변실금 사이의 연관성이 더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의 공동 제1 저자인 월터 챈 박사는 “높은 ‘허리둘레 대 키 비율’은 골반저(골반 안의 장기를보호해주는 부위)나 항문 괄약근에 영향을 미치는 복강 내 압력 증가나 관련 염증, 산화 스트레스와 함께 내장 지방을 증가시켜 변실금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Centrally Distributed Adiposity as a Modifiable Risk Factor for Fecal Incontinence: U.S. Population-Based Analysis)는 ≪임상 위장병학 및 간장학(Clinical Gastroenterology and Hepatology)≫ 저널에 실렸다.

    김영섭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