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겔베르그-웰란더병

정의

쿠겔베르그 벨란더 증후군(Kugelberg Welandersyndrome)은 척추성 근육위축(Spinal muscular atrophy) 질환으로팔과 다리 근육이 쇠약해지고, 근육 경련이 일어나 보행 장애를 보이며,결국 신체 반사 능력을 상실하는 유전성 신경근육계 희귀 질환이다. 이 질환은 제 3형으로 청소년형 척수성 근육위축이라고도 불린다. 생후 12개월 이후로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걷기 시작한 후로 자주넘어지고 2∼3세경에는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근육이약해지는 현상은 팔보다는 다리에 더 많이 나타나며, 예후는 환자가 어렸을 때 배운 운동기술의 정도에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 질환은 5번 염색체에 있는 생존운동신경원(Survival motor neuron: SMN) 유전자의 돌연변이에 의해 발생하며, 상염색체 열성 형질로 유전된다. NAIP(neuronal apoptosisinhibitory protein) 유전자의 결손도 SMN 유전자와 근접해 있으며, 역시 척수성 근육 위축과 연관되어있다. SMN 유전자와 가까운 유전자내 특정 돌연변이와, 척수성 근육 위축의 강도 사이의 관계는 계속 연구 중이다. 쿠겔베르그 벨란더 증후군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척수성 근육위축을 합한 유병률은 100,000명의 신생아 중 약 7.8명의 비율로 발생한다고 추정되나쿠겔베르그 벨란더 증후군만의 유병률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원인

척수성 근육위축(Spinal muscular atrophy: SMA)은 SMN(Survival motor neuron)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겨 나타나며, 이 유전자는 5번 염색체(5q11-q13)에위치하고 있다. 또한 SMN(Survival motor neuron)유전자와 근접해 있는 NAIP(Neuronal apoptosis inhibitory protein)유전자도 이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척수성 근육위축은 상염색체 열성 형질(90%. Pearn et al. 1978)로 유전된다.

 

인간의 세포 핵 안에는 개인의 유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46개의염색체가 있으며, 이 46개의 염색체는 22쌍의 상염색체와 1쌍의 성염색체로 이루어져있다. 남성인 경우 성염색체인 X와 Y 염색체를가지고 있으며, 여성은 한 쌍의 X 염색체를 성염색체로 가지고있다. 각각의 염색체는 “p”라고 불리는 단완과 “q”라고 불리는 장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염색체는 염색대(띠 모양으로 되어 있어서 band라고 부른다)로 되어 있으며 각각의 부분에는 번호가 매겨져 있다. 따라서 5번 염색체의 장완의 11 “5q11”이라고 표기한다.

 

상염색체 열성 유전질환은 각각의 부모로부터 질병 유전자를 하나씩 물려받았을 때 생긴다. 만일 개인이 하나의 정상 유전자와 하나의 질환 유전자를 받았다면 그 사람은 그 질환의 보인자(Carrier)가 되나 질병의 증상은 대개 나타나지 않는다. 부모가모두 보인자일 경우 아이에게 질병이 유전될 확률은 25%이며 그 아이가 부모처럼 보인자가 될 확률은 50%이나, 일반적으로 질환의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아이가 각각 부모로부터 하나의 정상 유전자만 물려받아 특정 형질에 한해서 유전적으로 정상일 확률은 25%이다. 이 확률은 남녀 모두 동일하며, 각각의 임신에서 독립적으로 작용한다.

증상

근육 위축과 약화가 나타나 등이 굽고, 걷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데 어려움을 느낀다. 특히 등을 대고 누워 있다가 일어나는 것이 어렵다. 신체의 반사 능력이 떨어지고, 가끔 항문 괄약근이나 방광 조절 능력이감소하여 대변실금이나 요실금이 생긴다. 호흡근이 약해지면 호흡에 장애가 생길 수 있다. 가끔 눈 근육이 약해져서 아주 심한 근시가 생겨 시력이 떨어지기도 한다. 때때로심장의 근육도 질환에 영향을 받아 심장 박동의 리듬이 불규칙한 부정맥이 나타난다. 쿠겔베르그 벨란더증후군 환자의 약 50%에게 척추측만증(척주옆굽음증: Scoliosis)이 나타난다.

진단

쿠겔베르그 벨란더 증후군은 임상적인 평가, 신체적으로 나타나는증상, 환자와 가족의 과거력, 혈액을 통해 근육의 손상 정도를알려주는 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CK)의 농도,분자 유전자 검사, 근전도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혈액을 통한 진단 병리 검사로 크레아틴 키나아제(Creatine kinase: CK)를검사한다. 크레아틴 키나아제는 근육의 위축이 오기 전에 손상이 시작되면서 상승하는 것으로 이 질환의경우 상승하며, 혈청 알돌라아제(Aldolase) 수치도상승한다. 근육 초음파검사를 시행하여 신경성 위축(Neurogenicatrophy)을 평가할 수 있으나 질환의 진단에 별 도움은 되지 않는다. 근육 생검을통하여 신경성 위축(Neurogenic atrophy)을 확인할 수 있다.또한 분자생물학적 유전자검사를 통해 SMN 유전자의 이상을 확인할수 있다.

치료

목표 : 쿠겔베르그 벨란더 증후군과 관련된 증상을 조절하고, 질병 경과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합병증 및 기형, 기능장애를예방한다.

 

근육위축에 의한 형태 변형과 기능 장애를 줄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의 수동적, 능동적 물리치료가 처방될 수 있으며, 보행이나 기립을 위한 보조기구를 이용할 수 있다. 물리치료를 통해 관절 가동범위(Rangeof motion)를 유지시키며, 근육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구축(Contracture)을 예방할 수 있다. 이러한 운동은 통증을 유발하지 않는 범위에서 환자가 지치지 않을 정도로 시행한다. 또한 호흡과 관련된 근육이 매우 약해졌을 경우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여 호흡을 도울 수 있다.

 

연하곤란(dysphagia)이 발생하므로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지않도록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필요하다면 위관을 통해 영양 공급을 할 수 있다. 상기도 감염에도 쉽게 폐렴으로 진행될 위험이 있으므로 호흡기계 감염의 징후가 있을 경우 즉시 병원을 방문, 치료를받아야 한다.

 

척추 측만증이 있을 경우 정형외과적 기구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척추의굽은 정도가 아주 심각하여 50도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하다. 그리고 심장 근육이 위축되어 부정맥이 생긴 경우 약물 또는 심장 박동 조율기를 이식하여 치료할 수 있다.

 

유전상담이 환자와 가족에게 도움이 된다. 유전상담이란 유전질환을앓고 있는 환자와 가족에게 해당 유전질환이 무엇인지, 질환의 증상과 경과 과정, 어떻게 유전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통해 유전학 전문가로부터 질환과 관련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것을 바탕으로 환자 자신과 가족에대해 스스로 결정을 내릴 수 있다.

 

추가적인 치료로는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는 대증요법(Symptomatictreatment)과 각종 부작용과 합병증을 조절하고 완화시키기 위해 지지요법(Supportivetherapy)을 시도할 수 있다.

    코메디닷컴 관리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