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서 유행 중인 매독, 한국에 전파?...환자 수 전년比 4.5배
초기 환자는 페니실린으로 치료... "콘돔 사용 등 안전 신경써야"
10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질병관리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수감시 전환된 올해 1월부터 8월까지 신고된 환자는 1881명으로 지난해 416명 대비 4.52배 증가했다.
병기 별로 구분했을 때 △1기 환자 679명 △2기 환자 316명 △3기 환자 39명 △선천성 환자 9명이었다.
매독 환자 수는 △2020년 330명 △2021년 339명 △2022년 401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이 병은 4급 감염병으로 표본감시 대상이었지만, 올해 1월부터 3급 감염병으로 상향 조정돼 전수감시 대상이 됐다. 장기간 전파될 수 있고, 적시에 치료하지 않으면 중증 합병증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전수감시 질병은 모든 의료기관에서 감염병(1·2·3급) 환자를 진단했을 때 당국에 신고해야 한다. 그러나 표본감시는 국가에서 정한 일부 의료기관에서만 환자 발생(4급 감염병) 때 신고하게 돼있다. 주로 중등도가 낮거나 발생률이 높은 감염병이 표본감시 대상에 해당된다.
매독 환자가 늘어난 것은 전수감시로 바뀌면서 늘어난 것도 있겠지만 현재 이 병이 유행 중인 이웃 나라 일본의 영향도 크다는 분석이다.
전날 후지뉴스네트워크에 따르면 도쿄 내 매독 감염 환자 수는 지난 1일 기준 2460명에 달했다. 과거 감염자 수가 가장 많았던 지난해 3701명과 비슷한 수준의 증가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감염자는 남성이 70%, 여성이 30%로, 남성은 20~50대, 여성은 20대에서 증가가 두드러졌다.
서 의원은 "올해 새로 시행되는 전수감시 체계를 통해 매독 감염의 정확한 규모와 역학관계를 파악하고, 매독 확산 시 신속한 예산 마련의 근거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매독, 방치하면 신경계 이상..."안전한 성생활이 최선의 예방"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교수는 "전수감시로 바뀌면 신고 강제성이 생기고 감시 의료기관도 늘어나 환자 수가 당연히 늘 수밖에 없다"면서도 "일본에서 유행 중인 만큼 절대적인 환자 수도 늘어났을 것으로도 보이며 안전한 성관계 인식이 떨어진 것도 한 몫 한다"고 분석했다.
엄 교수에 따르면 1기 매독 상태에서는 성기 혹은 그 주변부에 무통성 궤양이 발생하며 2기로 발전하면 전신에 발진이 발생한다. 드물지만 3기 매독으로 이어지면 신경계 이상 또는 척추뼈 등 골격계 변형이 나타날 수도 있다.
치료는 페니실린(항생제) 주사가 1차 치료다. 1·2기 혹은 초기 잠복 단계 매독은 페니실린 근육주사를 한 번 맞는 것만으로 치료가 가능하다. 다만 3기 이상 후기 매독은 중추신경계로 침범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1회 씩 3주 간 주사 치료를 시행한다.
엄 교수는 "예방은 결국 안전한 성생활이 가장 중요하다"며 "상대의 건강 상태를 모르고 성 접촉을 하거나 성관계 때 콘돔 같은 안전망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감염 위험이 높아진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