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큰시큰 내 무릎…언제, 어떤 치료 받을까?

퇴행성 골관절염, 병의 진행 상황에 맞춘 최적 치료법

벌써 두 달째다. 지하철 계단 오르내릴 때면 무릎이 시큰거리기 시작했다. 약간 과(過)체중이긴 하지만, 그래도 평소 산도 열심히 오르고, 한 번씩 마라톤도 하며 하체 근육을 단련해왔는데….

그러고 보니 요즘 들어 바닥에 앉았다 일어설 때면 무릎이, 컴퓨터 자판 두드리려면 손목이 뻣뻣하다. 가끔 통증도 느낀다. 병원에선 엑스레이 찍어보더니 '퇴행성(degenerative) 골관절염' 초기라 했다. “그런 골관절염 환자가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15%나 된다”고도 했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최소 700만~800만 명이 이 질환으로 고통받고 있다는 얘기다. 그렇다고 무턱대고 수술을 할 수도 없다. 심한 정도에 따라 치료하는 방법에도 차이가 있을 터.

부산성모병원 노수인 주임과장(정형외과)은 “골관절염은 보통 4단계로 나눈다”면서 “물론 엑스레이 결과도 중요하지만, 다른 신체검사 결과나 환자 인터뷰 내용까지 종합해 판정 내린다”고 했다.

무려 700만~800만 명이 '퇴행성 골(骨)관절염'

1단계. 관절염은 있는지 의심해볼 만한(doubtful) 상태다. 미세한 연골 마모와 염증이 있을 수 있고, 관절 뼈 표면이 약간 납작해진 정도다. 하지만 기능은 제대로 작동하고 있고, 보통은 통증도 거의 없다. 하지만 이 단계에서조차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도 있다.

2단계는 가벼운(mild) 경증 상태. 엑스레이로 보면 뼈의 변화가 조금 더 보이고, 몸을 움직일 때 가벼운 통증이 있다. 그다음(3단계)은 중간(moderate) 단계. 뼈에 손상이 더 많이 가 있어 통증에다 뻣뻣함까지 느낀다. 특히 무릎 구부릴 때 뻣뻣한 것은 뼈와 뼈 사이 관절 공간이 그만큼 줄어들었다는 증거. 여기다 '골극'(osteophyte) 또는 '뼈 돌기'가 있냐 없냐에 따라서도 병기가 달라진다.

4단계는 골관절염이 심각한(severe) 상태. 관절 공간이 매우 좁아졌고, 자주 아프다.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 때 무척 불편하고, 다른 관절에도 이상이 와 있다. 이 정도 되면 일상생활이 어렵다.

이런 퇴행성 골관절염은 환자 중에 50세 이상이 12.5%나 된다고 하니, 나이 드는 게 가장 큰 원인. 65세 이상만으로 따지면 척추~손~무릎~어깨~엉덩이 순으로 환자가 많다. 특히 갱년기 지나고 골 밀도 떨어지는 여성 환자(18.9%)가 남성 환자(5.1%)보다 훨씬 더 많다.

과체중, 직업적 특성, 유전적 요소나 인종적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 근력 감소도 원인이 된다. 노 과장은 “예전에는 골관절염을 단순 노화 현상의 일부로만 봤지만, 최근에는 그보다 '관절 연골의 변화를 보이는 질환' 정도까지 더 넓게 본다”고 했다.

골관절염 진단에 엑스레이 외에 MRI(자기공명영상) 검사를 추가로 해보는 이유이기도 하다. 국소 부위에 나타나는 연골 손상 진단에 유용한 데다, 관절염의 초기 변화 또는 인대 등 주변 조직의 이상까지 두루 찾아낼 수 있다.

이처럼 퇴행성 골관절염은 그 원인이 생각보다 다양하다. 증상도 사람마다 천차만별이다 보니 치료법도 여러 가지. 대개 1~3단계까진 비(非)침습적 치료와 침습적 치료를 병행한다.

관절엔 운동, 생활방식 변화가 중요...증상에 따라 약, 주사 처방

비침습적 치료로는 운동이 대표적. 어떤 종류의 운동이든 무릎 관절을 건강하게 유지할 뿐 아니라 통증을 줄이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또 강력한 무릎 근육은 관절이 더는 퇴화하지 않도록 보호한다. 해당 부위의 피 흐름을 촉진해 몸의 자연 치유를 돕고, 관절 굳어가는 것도 예방한다.

때론 온찜질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그 외 활동량 조절이나 체중 감량 등 관절 부담을 덜어줄 수 있는 생활방식의 변화도 필요하다.

증상에 따라선 항염증제(NSAID)나 마약성 진통제 같은 약을 쓰게 된다. 관절운동을 부드럽게 해주는 히알루론산, DNA 주사라고도 부르는 PDRN, 스테로이드 주사를 쓸 수도 있다. 최근엔 연골 재생을 도와주는 (자가 골수) 줄기세포 주사를 시술하기도 한다. 이는 '신의료기술'로도 지정됐다.

그래도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수술로 방향을 틀 수밖에 없다. 관절경(관절 내시경)으로 세척을 하는 것부터 유리체나 골극 제거, 연골 이식, 관절 성형까지 다양하다. 노 과장은 “약물치료에 효과가 없고, 관절 기능이 나빠져 일상 활동에 제한이 있는 경우, 그리고 관절에 심각한 변형이 있거나 진행성 근육 퇴행이 예상되는 경우라면 수술을 하는 것이 맞다”고 했다.

당장 치료도 치료지만, 앞으로 더 심각해질 상황을 미리 막는 효과도 있다. 관절 변형을 미리 교정하여 더 이상의 관절 손상을 막고, 관절의 안정성이나 운동성을 유지할 수 있어서다. 특히 관절이 더는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는 판정이 내려진 경우라면 인공관절로 바꾸는 수술도 많이 한다.

3~4기엔 수술이 선제적 치료 효과까지...로봇이 인공관절 수술 정밀도 크게 높여 

최근엔 관절 수술 로봇이 등장하면서 이에 대한 수술 정밀도까지 크게 나아졌다. 환자의 엑스레이 이미지를 3D로 전환하여 정밀하게 환자 맞춤형 수술을 설계할 수 있어서다. 0.5mm 단위로 움직이는 로봇이 수술 오차 범위를 줄여줄 수 있기에 뼈를 최소한으로 절제하고, 관절 주변의 인대와 신경 손상도 크게 줄여준다.

노수인 주임과장이 퇴행성 무릎 관절염 환자에게 수술로봇 '로사'로 인공관절 치환술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부산성모병원]
노 과장은 “로봇 수술의 장점은 수술 과정의 출혈을 줄여주어 회복을 빠르게 하는 것 외에도 인공관절을 환자의 다리 축 정열(alignment)과 좌우 균형(balancing)에 맞게 정확히 장착하게 도와준다”라면서 “이는 수술 후 재활 과정에서 관절의 운동 범위를 확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했다.

하지만 퇴행성 관절염은 그 어떤 치료도 환자의 손상된 연골을 원래대로 되돌려놓을 수는 없다. 환자의 통증을 줄여주고, 위축된 관절 기능을 되살려주고, 그렇게 해서 환자가 일상생활을 좀 더 편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게 게 최선의 목표라는 얘기다.

    윤성철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 bjh*** 2024-07-22 18:46:11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최고의 명의 . 다른 어떤 의료진 보다 친절하고 아주 상세하게 설명해주십니다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