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상핵적핵담창구시상하핵위축증
정의
특징적인 병리 증상이 있는 아주 드문 퇴행성 신경계 병입니다. 주로성인기에 나타나는 진행성 병으로 dentatorubral-pallidoluysian의 dentro는 소뇌를 의미하며, rubro는 중뇌, pallidoluysian은 대뇌기저핵을 의미합니다. 티티카(Titica)와 반 보게르트(Van Bogaert)가 1946년에 무도병(신체 여러 부분의 근육이 불규칙적·불수의적·무목적적인 운동을 하는 것이 특징인 신경계 질환), 실조증, 구음장애를 보인 47세의남자 환자를 보고하면서 처음 기술했습니다.
다른 나라에 비해 일본에서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일본의유병률(어떤 시점에 일정한 지역에서 나타나는 그 지역 인구에 대한 환자수의 비율)은 약 0.6/10만명으로 조사되고 있습니다. 1970년대에 일본에서 산발적으로 보고됐고, 1982년 나이토(Naito) 등이 다섯 가계를 보고했습니다.
이후 DRPLA는 가족성의 근간대발작, 간질, 소뇌 실조, 무도무정위운동(choreoathetosis, 근위부나 원위부 관절 부위의 춤추는 듯한 이상운동 장애), 치매 등의 증상들이 다양한 조합으로 발현하는 독립적인 병으로 알려졌습니다.
상염색체(생물의 염색체 가운데 성염색체가 아닌 보통 염색체) 우성유전으로 나타나며 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 이상은 염색체 12p13의부호 결정(coding) 부위에 CAG(유전학에서 염기를나타내는 말. 지구상의 모든 생물은 C A T G 4가지염기서열로 유전자로 이뤄져 있습니다) 3핵산 반복서열 증가 때문에 생깁니다. 정상 대립인자는 대부분 CAG 염기 서열이 35번 이내로 반복되는데, 병을 가진 환자는 병적으로 40~100 CAG 반복 서열을 나타냅니다.
병리적인 증상으로 볼 때 소뇌 치상핵, 담창구, 적핵, 시상하핵 등의 신경세포 소실과 신경교증(gliosis, 신경이 죽으면 생기는 일종의 상흔)이 관찰됩니다. DRPLA 유전자의 발현은 증상이 나타나는 뇌에만 한정돼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콩팥, 허파, 심장, 태반, 근육에서도 보입니다.
원인
염색체 12p13의 부호 결정 부위에 CAG 3핵산 반복서열 증가가 DRPLA의 원인입니다. DRPLA 환자에게서는 CAG 염기 서열이 비정상적으로 계속해서반복돼 보통 40~100 CAG 반복을 나타냅니다. 이 때문에폴리글루타민(polyglutamine)이 길게 늘어서며 이를 포함하는 비정상적인 돌연변이 단백질이 세포핵내로 이동하고 핵 내의 응집(aggregate)이 형성되면서 신경세포가 괴사하는 것이 주요 원인으로보고되고 있습니다.
최근 한 연구에서는 세대가 거듭될수록 반복서열 증폭의 수가 증가하며 임상 양상의 정도가 심해지는 ‘예기현상(anticipation)’을 분명하게 관찰됐습니다. CAG 염기서열이 증폭된 숫자 크기와 증상 발현 시기가 잘 연관돼 있다고 알려지고 있습니다. 어린 나이에 임상 증상이 발생하는 환자는 진행성 간대성 근경련간질과 많은CAG 염기서열 증가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증상
임상 증상은 매우 다양합니다. 소뇌 실조, 간대성 근경련발작, 무도무정위 운동, 간질, 치매 등의 증상이 아주 다양하게 조합돼 나타납니다. DRPLA는 세 가지의 임상 양상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제1형: 소뇌 실조, 무도무정위형으로 소뇌에 관계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제2형: 헌팅턴 유사형으로주로 대뇌기저핵에 해당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제3형: 근간대 발작형으로소뇌와 대뇌기저핵 이외의 대뇌피질에 해당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증상은 한 가계 내에서조차도 소아기에 발병하는 근간대성 발작을 보이는 환자와 성인기에 소뇌 변성을 보이는환자가 혼합될 수 있습니다. 이런 연령별 분포에 따른 증상의 발현 양상이 한 가계 내에서도 다양하게나타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 각막내피세포 변성을 동반한 DRPLA 환자한 명이 알려졌습니다. 드물게는 정신병적 증상을 보이는 환자도 알려졌는데, 정신분열증과 매우 흡사한 임상 증상을 보인 환자도 일본에서 알려진 적이 있습니다. 일부 환자는 말초신경병증의 임상 증상과 전기생리학적 증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진단
유전자 검사가 필수적입니다. 임상 양상이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병이 의심되는 환자에게서는 DRPLA 유전자 검사를 해서 다른 병과 감별 진단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별 진단을 필요로 하는 병으로는 척수소뇌위축증, 헌팅턴병, 양성 유전형 무도병, 다른 원인에 의한 발작성 질환, 미토콘드리아 질환 등이 있습니다. 뇌 자기공명영상(MRI)에서 소뇌의 위축이 특징적으로 관찰되며 간혹 약간의 대뇌 위축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뇌실의 확장된 증상도 관찰됩니다.
치료
특별한 치료법은 없습니다. 다만 최근에 글루타민 전이효소(transglutaminase) 억제제가 세포핵 내의 응집과 세포자멸사(apoptosis)를억제한다는 실험 결과가 보고돼 글루타민 전이효소 억제제가 치료제로 개발되는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