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도 계속 늘어나는데"...성병 '매독', 언제 처음 나타났을까?

9000년 된 아메리카 대륙의 유골에서 매독균 유전체 발견돼

학자들 사이에서는 매독의 기원에 대한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국내 2024년 8월까지 매독 감염 환자 수는 1천 881명으로 확인됐다. 이 중 1기 환자는 679명, 피부 발진이 나타나는 2기 환자는 316명, 특히 매독이 전신으로 퍼져 장기 손상이 일어나는 3기 환자도 39명이었다.

끔찍한 성병으로 간주되는 매독은 언제부터 사람들 사이에 퍼져 나가게 됐을까? 아메리카 대륙의 9000년 된 유골에서 매독 계열의 박테리아 게놈이 발견되면서 아메리카대륙에서 기원했다는 학설에 힘이 실리게 됐다.《네이처》에 발표된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연구진이 주도한 국제적 논문을 토대로 영국 가디언이 최근 보도한 내용이다.

1494년 프랑스 왕 샤를 8세가 이탈리아를 침공한 뒤 프랑수군 진지에서 알려지지 않은 전염병이 발생해 이듬해 그들이 프랑스로 돌아온 뒤 유럽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 매독에 대한 최초의 역사적 기록이다.

이후 학자들 사이에서는 매독의 기원에 대한 치열한 논쟁이 벌어졌다. 한쪽에선 매독이 아메리카 대륙에서 발생해 1493년 콜럼버스에 의해 유럽으로 옮겨졌다고 주장한다. 다른 한쪽에선 콜럼버스의 출항 이전에도 매독균이 이미 유럽 대륙에 잠복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아메리카 대륙 곳곳에서 발굴된 유골에서 나온 고대 DNA가 그 미스터리를 풀어줄 단초를 제공했다. 콜럼버스의 신대륙 항해 이전에 매독균 균주에 감염된 그 뼈들에 매독병 계열의 박테리아 게놈이 숨겨져 있었으며 이는 매독이 아메리카 대륙에 뿌리를 두고 있음을 시사한다.

매독균(트레포네마 팔리둠)은 3가지 아종이 있다. 이들 아종은 각각 매독과 열대피부병인 매종(yaws) 그리고 주로 어린이에게 발병하는 비성병성 매독인 베젤(bejel)의 원인균이다. 매독은 세계 곳곳에서 발병하는 반면 매종과 베젤은 주로 적도 지역에서 볼 수 있는 열대성 질환이다.

독일 라이프치히에 있는 막스플랑크 진화인류학연구소의 분자 고생물병리학그룹의 리더인 커스틴 보스 박사는 “이들 뼈로부터 다섯 개의 게놈을 재구성할 수 있었고, 오늘날 인간에게 유통되는 매독균 균주의 자매 계통이란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3종 모두 아메리카대륙에서 출현한 것으로 보인다”고 강조했다.

보스 박사와 동료들은 아르헨티나의 엉덩이뼈, 칠레의 아래 대퇴골, 멕시코의 윗다리뼈와 아랫다리뼈, 페루의 치아에서 고대의 트레포네마 팔리둠 DNA를 추출하고 재구성했다. 그들은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통해 뼈의 나이를 알았기 때문에 이들 균주의 최대 9000년 전에 살았던 공통 조상까지 추적할 수 있었다.

보스 박사는 “이 시기는 인류가 이미 아메리카 대륙에서 잘 자리 잡았고 다른 지역의 인구와 교류하지 않았던 시기”라면서 “그들은 기본적으로 지리적, 생물학적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 고립돼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는 매독과 그 자매들이 아메리카 대륙에 뿌리를 두고 있었지만 초기 전염병 발병 이후 수십 년에서 수세기 동안 인신매매와 유럽인들의 진출로 인해 아메리카 대륙과 아프리카를 거쳐 전 세계적으로 확산됐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나 보스 박사는 “아직 답해야 할 중요한 질문이 너무 많기 때문에 반드시 미스터리를 풀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그는 “우리는 매우 제한된 데이터 소스를 살펴 본 것이기에 열린 마음을 가지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논쟁은 아직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해당 논문은 다음 링크(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4-08515-5)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건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