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환자, ‘빅5’ 상경해 연 2조 지출…의정대화, 형식-의제 제한無”

중대본, 필수의료 특별회계 및 지역의료발전기금 신설 계획

24일 중대본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는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사진=뉴스1]
정부가 지역 환자가 서울의 주요 상급종합병원인 ‘빅5 병원'(서울대·세브란스·서울아산·서울성모·삼성서울병원)에 상경해 의료비만 연 2조원을 쓰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역의료 정상화를 위한 의료개혁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24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은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지역 간 의료격차가 심화하면서 상급종합병원 환자의 36.3%가 거주지가 아닌 다른 시·도에서 진료를 받고 있다”며 “서울의 5대 대형병원을 이용한 지방환자의 진료비는 2022년 기준 연 2조원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이어 “산부인과의 경우 전공의들이 선택을 기피하고 있으며 서울 대형병원에서도 몇 년째 전임교수나 전임의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역의 분만 취약지는 매년 증가해 1시간 이내 분만실 접근이 어려운 지역이 전체 시군구의 43%에 이른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이 장관은 의료 개혁을 필수·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한 ‘미룰 수 없는 과제’라며 강조했다. 그는 “의료개혁 4대 과제는 의대 정원을 확대해 부족한 의사 수를 확충하고, 무너지는 지역의료를 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필수·지역의료 활성화를 위해 별도의 회계와 기금을 신설해 투자할 계획이다. 이 장관은 “정부는 지역완결적 필수의료 확립을 위해 필수의료 특별회계와 지역의료발전기금을 신설해 과감한 재정투자를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의료계와 형식과 의제의 제한 없이 적극 대화하겠다는 입장도 표명했다. 앞서 대한의사협회는 의료계 연석회의를 마치고 “정부와 대화할 준비가 됐다”고 말한 바 있다. 다만, 원점 재논의 등 대화 전제조건의 유무를 두고 정부와 의료계의 입장차는 여전하다.

이 장관은 “형식과 의제에 제한없이 의료계와 적극적으로 대화하겠다”며 “의료계는 이제 대화의 장으로 나와서 우리나라 의료시스템의 큰 틀을 개혁하는데 함께해 주길 바란다”고 했다. 또한 전공의를 향해서는 “환자의 곁으로 조속히 돌아와달라”며 “의료의 미래 주역인 여러분께서 의료개혁 논의에 적극 참여해서 현장의 의견을 충분히 말해 달라”고 호소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