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실 전공의, 尹에 편지… “사직서 왜 냈는지 보시길”

수기집 '응급실, 우리들의 24시간' 2권도 전달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가운데)과 사직전공의들이 22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앞에서 윤 대통령에게 전달할 ‘응급의학과 사직전공의들이 윤석열 대통령께 드리는 글’과 ‘응급실, 우리들의 24시간’책을 들어보이고 있다. 2024.5.22/뉴스1

응급의학과 사직 전공의 54명이 윤석열 대통령에게 공개 편지를 부쳤다. 이들 전공의는 젊은 의사들이 왜 지금의 의료환경에서 가장 먼저 사직서를 제출했는지 살펴달라고 촉구했다.

22일 대한응급의학의사회는 ‘응급의학과 젊은 의사 54인’의 명의로 작성한 공개 편지(상소문) 2통과 수기집 ‘응급실, 우리들의 24시간’ 2권을 용산 대통령실 민원실을 통해 윤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전공의 중에선 응급의학과 3년차와 2년차 전공의를 각각 사직한 김찬규 씨와 전호 씨가 대표로 발언했다.

이들 전공의는 편지에서 “최일선에서 환자를 보기를 선택하고 한국의 의료 발전에 기여해온 젊은이들의 목소리를 들어달라”면서 “환자의 생명과 직결되는 응급의료의 최전선에서 자긍심을 갖고 일해 나가던 젊은 의사들이 왜 가장 먼저 사직서를 제출했는지 살펴달라”고 호소했다.

이어 “밤과 낮을 가리지 않고 환자와 대면해왔던 젊은 의사들이 사직 의사를 밝히고 병원을 떠난지도 100일이 가까워지고 있다”며 “이런 환경에서는 더 이상 스스로를 혹사하며 일할 수 없고, 최선을 다해 환자만을 진료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또한, 전공의들은 “사태 이전 의료 현장에서 직접 뵙고 말씀드릴 기회가 없었다는 것에 깊은 유감을 느낀다”면서 “의료 현장은 (의료개혁 완수 관련 정부 광고를 띄운) 전광판 위가 아닌 환자 곁에 있다. 환자와 의료진이 쌍방 신뢰할 진료와 교육 환경,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지 않는다면 정부가 지향하는 의료 개혁의 방향대로는 이루어질 수 없다”고 제언했다.

한편, 이들 전공의들은 최근 출간한 ‘응급실, 우리들의 24시간’이라는 제목의 수기집도 윤 대통령에게 전달했다. 응급실에서의 경험을 수필·시·만화 등으로 풀어냈다.

이와 관련해 “전공의들은 낙수과라는 낙인이 아닌, 필수 의료의 자부심을 가지고 일해 왔다. 평소 응급실에서 환자만을 생각하며 일하던 전공의들의 삶을 담았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꼭 읽어 주시고 현장의 아우성에 귀 기울여달라”며 “대통령님만큼 우리도 국민건강과 행복을 위해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이야기를 전하고 싶었다. 이 작은 책 하나가 우리의 진정성을 조금이나마 전할 수 있다면, 그곳에서부터 이 일이 해결될 수 있으리라 믿는다”고 부연했다.

이형민 대한응급의학의사회 회장은 “전공의들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미래에 대한 희망으로 필수의료 현장에 종사해왔지만, 미래가 없어서 현장으로 돌아오지 못하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전공의들에게 목줄을 채워서 현장에 데려다 놓아도 제대로 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 전달하는 책과 편지를 통해 전공의들이 바라는 게 무엇인지 숙고해주시고 타협의 여지가 있는지 생각해주시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