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반대했지만’…부산·충북·강원대 학칙 개정 통과

제주대 오는 23일 학칙 개정 재심의...정부 "의대생 복귀 설득해 달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모습. *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 없습니다. [사진=뉴스1]
2025년도 학칙 개정을 부결하거나 확정하지 않던 대학들이 하나둘 의대 증원을 확정짓고 있다.

앞서 의료계가 고등법원에 청구한 증원 집행정지 항고심이 기각되고, 오는 24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대입전형 시행계획 변경 사항 심의를 앞뒀다는 이유에서다.

22일 의료계에 따르면 국립대 최초로 의대 증원 학칙 개정안을 부결하며 의대 증원을 강력히 반대했던 부산대가 전날 증원을 확정했다. 이 대학 의대는 당초 정원 125명에서 내년도 163명으로 38명 증원한다. 정부의 의대 증원 배정 규모는 75명이었으나 자율적으로 약 50% 줄여 모집하는 것이다.

다만, 의대생과 교수진들 사이 증원 반대 기조는 여전했다. 개정안 재심의 전 이 대학 의대 학생과 교수들은 대학본부 로비에서 교무위원들에게 “눈앞의 작은 이익에 매몰돼 날림으로 의사를 양성하는 곳이 되지 않도록 올바른 결정을 내려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가장 많은 증원을 배정 받은 충북대 역시 부산대와 같은 날 증원을 확정했다. 이 대학은 기존 49명이던 정원을 200명으로 늘리되 부산대와 마찬가지로 2025년도는 50%만 반영해 125명을 모집할 예정이다.

충북대 역시 학칙 개정안을 두고 교무위원들이 논의했고, 회의에서 일부 반대의견도 있었지만 개정안이 통과했다. 다만 회의에 앞서 배장환 충북대병원·의대 비상대책위원장은 “‘안 된다’가 아니라 ‘된다’는 쪽으로 설명해드리겠다. 의대 정원이 200명으로 늘어나면 병원을 4배로 지으면 된다. 우리 병원에 2조4000억원만 주면 된다”고 정부 정책을 돌려 비판한 바 있다.

의대 증원에 반대해 교수진 삭발식을 강행했던 강원대도 개정을 확정했다. 강원대는 대학평의원회를 열고 관련 학칙 개정안을 통과해 기존 49명에서 정원을 91명으로 늘린다. 정부가 배정한 132명보다는 정원을 줄였다.

경상국립대는 학무회의를 통해 138명으로 내년 입학정원으로 정했다. 이 역시 정부가 증원한 200명보단 축소한 규모다.

40명 정원을 보유했던 차의과학대는 정부가 배정한 인원대로 총 80명을 뽑는 방향으로 학칙을 개정했다. 지난 20일 학교법인 성광학원은 이사회를 열고 이 같이 개정했다. 단 차의과대는 의학전문대학원만 운영하므로 대교협 심의를 받지는 않는다.

부산대에 이어 학칙 개정안을 내부에서 부결했던 제주대(현 정원 40명)는 오는 23일 재심의를 예고했다. 충남대도 같은 날 학무회의, 오는 30일 대학평의원회 심의가 예정돼 있고, 순천향대도 이달 안에 학칙 개정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충남 권역 대학인 △건양대 △을지대 △단국대는 이미 학칙을 개정한 상태다. 건양대는 49명에서 100명으로, 을지대는 40명에서 100명으로, 단국대는 40명에서 80명으로 증원한다.

정부는 각 대학에 신속한 학칙 개정을 요청하면서도, 학교로 돌아오지 않은 의대생들을 설득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주호 교육부장관은 “사법부에서도 의료 개혁과 의대 정원 확대의 필요성을 공공복리의 측면에서 인정하고 있는 만큼 개별 대학에서도 이를 반영해 학칙을 개정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학생 한 사람 한 사람에 대한 상담을 통해 이번 1학기 수업에 참여하지 않고 다음번에 뒤늦게 복귀할 때 직면하게 될 어려운 상황을 세심하게 안내해 학생들이 복귀할 수 있도록 이끌어 달라”며 “정부도 대학과 협력해 학업에 복귀하는 학생들에게 불이익이 최소화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