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는 어린이 날...연휴에 주의해야 할 안전 사고 1위는?

어릴수록 조심해야 하는 소아골절의 모든 것

아이들이 가장 많이 사고나는 유형은 넘어짐, 미끄러짐이 1위를 차지했다. 2위는 미끄럼틀, 공중 놀이기구 등 높은 곳에서 추락하는 사고로 나타났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어린이날인 5일이 전국에서 흐리고 비가 내리는 가운데, 강풍과 함께 강한 비를 내리는 곳이 있어 안전사고에 유의해야 한다.

질병관리청이 지난 4월에 발표한 ‘2018~2022년 응급실 손상 환자 심층조사’를 살펴보면, 어린이(4~13세) 손상 환자는 5월(10.6%)과 6월에(10.7%) 가장 높은 경향을 드러냈다. 아이들이 가장 많이 사고난 것은 넘어짐(약 30%)이다. 한국소비자원의 ‘어린이 안전사고 동향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22년 발생한 사고 총 2만1642건 중 미끄러짐·넘어짐 사고가 30%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추락사고(24%)가 2위를 차지했다. 놀이터나 키즈카페의 미끄럼틀, 공중 놀이 기구 등 높은 곳에서 추락했기 때문이다. 이처럼 넘어짐이나 추락사고를 당하면 ‘소아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 소아기 때 골절 사고는 큰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예방은 물론 응급 처치도 중요하다.

소아골절은 키와 연관되어 있어 주의해야

국민건강지식센터에 따르면, 소아기에는 뼈와 근육이 약해 조금만 다치더라도 큰 상처를 입는 경우가 많다. 만약 골절사고가 발생해 성장판 부위를 다친다면 성장장애를 일으킬 수도 있고, 뼈 길이가 짧아지는 등 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특히 활동량이 많아지는 봄부터는 산이나 계곡과 같은 휴가지에서 골절사고가 발생하면 의료시설까지 신속하게 이동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골절 손상을 악화시키고, 합병증 발생 가능성도 높아지기 때문에 올바르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소아골절 증상은?

성인과 달리 아이들은 통증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한다. 또 부모에게 혼날까 봐 아픈 걸 말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부모들의 세심한 관찰이 중요하다. 대표적인 소아골절 증상은 다음과 같다. △한쪽 팔다리를 사용하지 않거나, 걸을 때 다리를 절뚝거림
△통증 부위를 손으로 가볍게 누르기만 해도 심한 통증
△부상 부위가 점점 부어오름
△부상 부위를 손으로 가볍게 눌렀을 때 많이 아파해 부상 부위에 힘을 주기 어려워짐 등이다.

응급처치가 가장 중요한 소아골절

소아골절은 미리 예방하는 게 최선이다. 성장판 후유증은 길게는 1년 후에도 나타날 수 있다. 이 때문에 회복된 후에도 지속적으로 검사하며 지켜봐야 한다. 만약 이미 소아골절이 발생했다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응급 처치를 해야 한다.

골절이 의심되면 119에 신고하고, 부상 부위에서 피가 난다면 깨끗한 거즈나 천을 이용해 지혈해야 한다. 상처 부위를 생리식염수나 흐르는 물로 씻어낸 다음 소독한 거즈로 덮는다. 거즈를 덮은 채로 압박붕대를 감고 부목으로 고정한다. 이 때도 골절된 부위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골절 부위 뼈를 억지로 맞추려고 한다면 주변 근육, 혈관, 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으니 절대 삼가해야 한다. 골절된 부위를 가능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붕대로 고정하는 게 가장 좋지만 붕대가 없다면 두꺼운 종이, 나무판자나 책 등을 이용해 깨끗한 천이나 수건으로 감싸 고정하면 된다. 손가락에 골절이 발생했다면 바로 옆 손가락도 함께 고정하는 게 좋다.

냉찜질은 골절 부위의 염증, 부종, 그리고 출혈 등의 증상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부어 오르고, 열이 나는 골절 부위를 냉찜질하면 혈관을 수축시켜 부러진 뼈 주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출혈을 감소시킨다.

    정희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