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벽주의 아냐” 최상위 서울대 의대생들…의외의 특성은?

서울소재 대학 학생들과 비교

서울대 의과대학 학생들은 완벽주의 성향이 덜하고 시험에 덜 불안해했으며 예민도도 낮았다. [사진=뉴스1]
성적 최상위권  학생들이 진학하는 서울대 의과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은 어떤 심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을까?  이들은 완벽주의 성향이 덜하고 시험에 덜 불안해했으며 예민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오상훈 교수팀은 학업성취도가 높은 집단으로 서울대 의대생(이하 의대생) 102명을 선정하고 비교군으로 서울 소재 대학생 120명을 모집했다. 학업성취도는 수능 성적과 현재 학점으로 평가했으며, 심리요인으로 △스트레스 대처 방식 △성격 특성 △시험불안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의대생들은 비교군보다 시험불안과 신경증적 성향(예민함·노이로제)이 낮았고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성향도 덜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선생님이나 부모님 등 다른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엄격한 평가와 완벽함을 기대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을 말한다. 즉, 완벽주의 성향이 덜하다는 건 외부 기대에 크게 개의치 않는다는 뜻이다.

반면 의대생들의 자기효능감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란 어떤 상황에서 적절한 행동을 할 수 있다는 스스로에 대한 믿음을 뜻한다. 이에 학업성취의 동기에 있어 외부 기대보단 내면의 자신감이 더 크게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심리요인 중 학업성취도와 직접 연관이 있는 요소로는 △시험불안 △완벽주의 △신경증이 꼽혔다. 오 교수는 “예민한 성격은 성격 특성이므로 바꾸기 어렵지만 시험불안이나 완벽주의는 인지행동치료 등을 통해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한다면 학업성취도를 향상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시험불안이나 완벽주의는 아예 없애기보단 적절한 수준으로 관리해야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학업 스트레스를 관리하지 않고 방치한다면 결국 학업소진(공부 번아웃)이 오고 학업성취의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며 “높은 학업성취를 위해서는 학생에게 좋은 교육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뿐 아니라 마음 관리도 함께 신경 써야 한다는 뜻”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오 교수는 이러한 근거가 실제 변화로 이어질 수 있도록 디지털 인지행동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 연구와 영재학생들의 스트레스 검사도구 표준화 연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비엠시 심리학(BMC Psychology)》에 실린 최근 논문에서 학업성취도와 관련 있는 심리적 요인에 대해 분석했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