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짝 넘어졌는데, 응급실…치명상 입는 노인 특징은?

낙상 무서워 집에 있기보단, 조금씩 자주 운동하는 습관 중요

날씨가 추워지면 몸의 근육과 관절이 위축돼 유연성이 떨어져 낙상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날씨가 추워지면 몸의 근육과 관절이 위축돼 유연성이 떨어져 낙상 사고 위험이 높아진다. 이때 골다공증이 있는 고령의 경우 뼈가 약해, 낙상의 경중을 가리지 않고 치명상을 입을 수 있다.

낙상의 원인에는 외부적, 내부적 요인으로 나뉜다. 외부적 요인으로는 겨울철 빙판길, 미끄러운 욕실 바닥 등이 있다.

낙상의 내부적인 요인으로는 고령에 따른 혈압, 당뇨 등의 기저질환을 들 수 있다. 조절이 안 되는 혈압이나 저혈당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낙상의 위험이 커진다.

특히 골다공증으로 뼈 강도가 많이 약해진 고령층은 골절을 입기 쉽다. 국내 70세 이상 여성 3명중 2명, 남성 5명중 1명이 골다공증을 겪고 있는 만큼 노인층에서는 골절 여부와 관계없이 예방 차원에서 골다공증 치료 등을 적극 고려해야 한다.

강동경희대병원 재활의학과 김동환 교수는 “뼈가 약하면 그만큼 골절의 위험성이 높아져 평소에 골다공증 검사를 통해 관리하는 것을 권한다”며 “골다공증 환자가 골절이 발생하면 주변 관절, 인대 등 근골격계 부위도 함께 손상되는 경우가 많아 치료 과정이 복잡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낙상을 당했을 때 대처 방법은?

낙상 직후에 스스로 몸을 일으키거나 움직이게 되면 이차적 부상이 생길 수 있어 주변에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좋다. 만약 주변에 도움을 받을 수 없다면 특별한 증상이 느껴지지 않을 때까지 기다린 뒤 천천히 몸을 움직여야 한다.

만약 의식을 잃거나 힘이 빠지는 증상이 동반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응급실을 통해 진료해야 한다. 낙상 이후 하루, 이틀 충분히 쉬었는데도 통증이 지속된다면 미세 골절이 숨어있을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서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고령의 경우, 가족이나 주위에 통증을 숨기고 누워만 있으려고 하는 경우가 많아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다. 만약 치료 시기를 놓친다면 합병증으로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기에 세심한 주의가 요구된다.

낙상, 위험 줄이려 ‘집콕하기’…오히려 독?

김 교수는 “고령의 어르신들은 낙상 사고에 대한 두려움으로 ‘집에만 있어야겠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며 “그런 경우 관절 상태가 더 나빠져 낙상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조금씩 자주 일어나서 움직이는 활동을 해야 근육과 뼈 건강에 좋다”고 강조했다.

일상생활에서 낙상을 유발 요인을 미리 확인하고 관리하시는 것도 중요하다. 계단이나 등산과 같이 오르막, 내리막이 있는 길은 되도록 피하고 운동을 위해 평지를 걷는 것이 좋다. 빠른 걸음으로 걷기보다는 천천히 속도를 유지하며 걸어야 한다.

특히 골다공증 등 본인의 기저질환을 잘 관리하는 것이 필수이다. 낙상 경험이 있다면 그 원인을 찾아내서 주기적인 관리를 해야 한다. 욕실의 물기 제거나 미끄럼 방지 장치를 까는 등 주변 생활 범위에 낙상 위험인자들이 있다면 찾아서 조정해야 한다.

운동은 자신의 눈높이에 맞게 조금씩 분산해서 하되 근골격계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자세(바닥에 앉기, 양반다리)를 피하고 가슴과 등을 펴는 운동을 수시로 하는 것이 좋다.

※일상 생활속 낙상 예방 습관 4가지

기저질환 관리는 꼼꼼하게! = 특히 골다공증이 있다면 전문가 상담을 통해 장기간 꾸준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생활 속 낙상 위험인자 체크 = 내 주변, 낙상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 물건 등을 미리 확인하고 조정한다.

운동은 조금씩 수시로 = 운동은 자신의 건강 상태에 맞게 조금씩 여러 번 하는 것이 좋다.

가슴과 등을 펴는 스트레칭 = 바닥에 앉거나 양반다리 등 근골격계에 무리를 줄 수 있는 자세는 피하고 가슴과 등을 펴는 운동을 자주 한다.

    임종언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