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병 위험 100배까지 높아”…무섭게 뚱뚱해지는 ‘미래’

내년 학생건강검진 통합 관리...학교-병원-보건소 연계 비만관리체계 필요

지난 10년간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2012년 9.7%에서 2021년 19.3%까지 급등한 상황이다. 특히 남아는 25.9%까지 치솟은 상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율이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어린 시절의 비만은 성인기 만성질환으로 직결되는 만큼 적극적 예방 및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대한비만학회 박철영 이사장(강북삼성병원)은 18일 대한비만학회와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실이 개최한 ‘청소년 고도비만 조기치료 및 관리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소아·청소년 비만 문제 해결을 위한 관리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이날 박 이사장은 “지난 10년간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 추이를 그래프로 그려보면 엄청난 상승곡선에 무서운 느낌이 들 정도다”라면서 “위로 치솟는 선이 절대 꺾이지 않을 것 같다는 느낌에 막막하기도 하다”라고 말했다.

대한비만학회는 내년부터 학생건강검진과 국민건강검진을 통합 운영하는 전생애 주기별 건강검진 사업이 시작되는 만큼,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소아·청소년 비만 문제에도 각별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학회는 내년 중 개선되는 학생건강검진 제도와 연계해 비만 선별검사 고도화와 후속 관리 체계 등을 복지부 측에 제안했다. 소아·청소년 비만이 성인 비만으로 이어지는 고리를 끊기 위해선 교육계와 의료계 모두의 적극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는 이유에서다. 지난 10년간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2012년 9.7%에서 2021년 19.3%까지 급등한 상황이다. 특히 남아는 25.9%까지 치솟은 상태다.

2012~2021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 추이. [자료=대한비만학회]
순천향대 부천병원 소아청소년과 홍용희 교수(대한비만학회 소아청소년위원회 이사)는 “최근 연구에서 고도비만 청소년의 성인기 대사증후군 발병 위험도는 정상체중이었던 청소년보다 100배 이상 높았다”면서 “진료 현장에서 과체중 청소년 역시 신체 이상소견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비만을 치료하지 않고 성인기를 맞는다면 각종 합병증 위험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고 지적했다.

홍 교수는 이어 “문제는 비만이 단순히 개인 때문이 아니라 청소년 스스로나 부모의 관여로도 교정할 수 없을 정도로 복합적인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발병한다는 점”이라며 “청소년이 비만인 채로 청년기로 넘어가면 평생 합병증이 심하게 오기 때문에 성인이 된 후엔 건강 위험을 줄이기에 너무 늦을 뿐 아니라, 출산 과정에선 자녀에게 다시 비만을 대물림할 가능성도 높다”고 부연했다.

강류교 보건교사회장(서울 성수초) 역시 “학교 보건실에서 비만 치료를 권고해도 비만 치료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기에 가정에서의 대응은 소극적일 수밖에 없다”면서 “결국 체계적인 비만관리 시스템을 통해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부터 아동이 고도비만으로 유입하지 않도록 ‘1차 방어선’을 구축하고 이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영국 정부가 발간한 비만 보고서 중 비만을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을 지도화한 인포그래픽. 비만의 세부 원인은 큰 유형별로 묶여 있으며, 큰 유형들은 왼쪽 위 시계방향부터 사회적 영향, 개인 신체, 개인의 신체활동, 활동 환경, 생물학적 원인, 음식 소비, (사회의) 음식 생산 체계순이다. [자료=GOV.UK(영국 정부 블로그)]
내년 시작하는 ‘전생애 건강검진’과 연계한 비만 프로그램 필요

특히, 학교와 지역사회 보건소, 의료기관을 연계한 소아·청소년 비만관리체계 구축을 위해선 학생건강검진과 연계해 비만 위험군을 구체적으로 선별해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김재현 교수(대한소아내분비학회 보건이사)는 기존에 △정상 △과체중 △비만 등 3가지로 분류하던 비만 정도를 보다 세분화하자고 제안했다.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고도비만 등 5개로 분류하자는 안이다.

현행 검진에선 ‘성·연령별 체질량지수(BMI) 95 백분위수 이상’만을 비만으로 진단하고 위험군으로 분류한다. 반면, 김 교수는 해당 지수가 ’85 백분위수 이상’인 ‘과체중’ 학생부터 ‘비만 위험군’으로 선별하자고 말했다.

만성질환 합병증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다양한 추가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비만 예방과 건강 관리를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필요한 추가 검사 항목은 허리둘레와 혈압 측정, 혈당·간수치를 확인하기 위한 혈액검사, 정신건강(우울증) 선별검사, 수면무호흡증 검사, 다낭성난소증후군 검사(여성) 등이다.

아울러, 비만군은 ’95 백분위수 이상~95 백분위수의 120% 미만’을 ‘비만’으로, ’95 백분위수의 120 이상’을 ‘고도비만’으로 세분하고, 고도비만 학생은 곧바로 병원에 전문 치료를 연계할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소아·청소년은 성장기에 있기 때문에 성인과 같은 BMI 절대값이 아닌 성별, 연령별 BMI 분포(백분위수)의 상대적인 비율로 비만율을 판단한다.

이에 보건복지부 정연희 건강증진과장은 “시범 지역 선정과 검진 항목 등 논의할 것들이 있지만, 전생애 주기별 검진 체계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학생 건강검진을 건보공단이 맡는 시범사업을 내년(5~8월)에 진행할 예정”이라면서 “아직은 아이디어 단계이지만, 의료기관과 보건소, 학교 등 지역자원을 모두 동원하는 유기적인 아동형 비만 프로그램에 대한 구상 역시 필요하다”고 답했다.

한편, 토론회를 주최한 신현영 의원(더불어 민주당)은 “코로나19 사태 3년간 신체활동 저하 등 생활습관이 고착하며 늘어난 체중을 해결하기 어려운 아이들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비만이 만성질환이라는 인식 아래 학교와 의료계가 함께 제도적으로 진일보한 비만 예방-사후관리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18일 ‘청소년 고도비만 조기치료 및 관리를 위한 정책토론회’ 모습. 왼쪽부터 한양대병원 박정환 교수(대한비만학회 대외협력정책위원회 이사), 동아일보 이진한 기자, 분당서울대병원 김재현 교수, 순천향대 부천병원 홍용희 교수, 신현영 의원(더불어민주당), 대한비만학회 박철영 이사장(강북삼성병원), 강류교 보건교사회장, 교육부 정희권 학생건강정책과장, 보건복지부 정연희 건강증진과장. 사진=최지현 기자.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