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암 환자, ‘매년 3000명’이나 줄일 수 있는 방법 있다?

B형 간염, 간수치 아닌 '바이러스' 기준으로 조기 치료해야

국내 중년 암 사망률 1위인 간암은 발생원인의 70%는 만성 B형간염이다. 하지만, 제한적인 건강보험 급여기준 문제로 국내 B형 간염 환자 중 약제 복용 등으로 조기에 치료하는 경우는 18%에 불과하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중년 암 사망률 1위인 간암은 발생원인의 70%는 만성 B형간염이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약 2.5~3%가 B형 간염 바이러스를 보유하고 있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다. 하지만, 제한적인 건강보험 급여기준 문제로 B형 간염 환자 중 약제 복용 등으로 조기에 치료하는 경우는 18%에 불과하다.

이와 관련해 의학계는 현행 기준 대신 바이러스 수치에 근거해 B형 간염 약제 치료를 선제적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다는 대안을 제안하고 있다. 최신 국내 연구도 이런 주장을 뒷받침한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임영석·최원묵 교수팀은 만성 B형간염 성인 환자 9709명을 대상으로 간암 발생 위험을 평균 7.6년 동안 추적관찰했다. 이 결과, B형 간염의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mL당 100만 단위(6 log10 IU/mL) 수준인 환자들에서 간암 발생 위험이 가장 높았다. 반면, 바이러스 수치가 100만 단위에서 멀어질수록, 즉 매우 적거나(1만 단위 미만) 매우 많은(1억 단위 이상, ≥8 log10 IU/mL) 환자들은 간암 발생 위험이 가장 낮았다.

연구팀은 추가적으로 B형 간염 치료 유무에 따른 간암 발생 위험도도 비교했다. 간염 치료를 시작한 성인 환자는 4693명이었는데, 관찰 기간 193명에게서 간암이 발생했다. 반면, 간염 치료를 받지 않은 5016명 중에선 322명에게서 간암이 발생했다. 이를 감안하면 간염 치료가 간암 발생 위험도를 절반 가까이 감소시키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

다만, 장기간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중에서도 B형 간염 바이러스 수치가 혈액 1mL당 100만 단위였던 경우엔 간암 발생 위험도가 50% 정도만 낮아질 뿐 여전히 가장 높은 위험도를 유지했다.

이는 그동안의 학계 인식을 뒤집는 관찰 결과다. 학계는 그간 바이러스 수치에 비례해 간암 발생 위험이 선형적으로 증가할 뿐, 간염 치료를 시작한 후에는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위험도 사이의 연관이 없다고 여겨왔다.

문제는 현재 B형간염 건강보험 급여기준(바이러스 수치가 최소 2000 단위 이상이면서 AST 또는 ALT 간수치가 정상 상한치의 2배인 80 IU/L 이상)에선 혈중 바이러스 수치가 높아도 간수치가 정상이면 치료를 시작할 수 없다는 점이다.

결국 간암 위험도를 낮게 유지하려면 복잡한 B형간염 치료 개시 시점을 혈중 바이러스 수치만을 기준으로 단순화하고 일찍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다. 연구진 역시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해당 방안으로 건강보험 급여기준을 변경하고 간수치에 상관 없이 간염 치료를 조기에 시행할 수 있게 되면 국내 간암 발생 환자가 최대 6분의 1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라 전망했다.

임영석 교수는 “매년 국내에선 약 1만 2000명의 간암 환자가 새롭게 진단되는데, 건강보험 급여기준을 개정할 경우 1년엔 약 3000명, 향후 15년 동안엔 4만여 명이나 간암 발생을 예방할 수 있다”면서 “간암 환자 대부분이 중년 남성이기에 가정 위기와 사회경제적 손실도 감소할 것”이라고 말했다.

만성 B형간염에서 바이러스 수치와 간암 발생 관계 [자료=서울아산병원]
    최지현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