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서도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

[유영현의 의학 논문 속 사람 이야기]

논문15: Noh SJ, Jeong WJ, Rho JH, Shin DM, Ahn HB, Park WC, Rho SH, Soung YH, Kim TH, Park BS, Yoo YH. Sensitization of RPE cells by alphaB-crystallin siRNA to SAHA-induced stage 1 apoptosis through abolishing the association of alphaB-crystallin with HDAC1 in SC35 speckles. Invest Ophthalmol Vis Sci. 2008;49:4753-4759.

■정우진 신동민 안희배 박우찬 노세현(동아대 의대 안과 교수들)
■학문적 의의: aB-crystallin이 SC35 speckle에서 HDAC1과 접촉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안과 연구에 뛰어들고 10년 만에 ‘Investigative Ophthalmology and Visual Science’(IOVS)에 이 논문을 게재하는 기쁨을 얻었다.

인용지수가 지배하기 이전에는 IOVS가 시(視)과학 분야의 최고 연구잡지였다. 인용지수가 학계를 덮친 후 많은 시과학 연구자들도 점수가 한 점이라도 높은 다학제 잡지에 논문을 제출하기 시작했다.

따라서 IOVS는 과거의 명성을 모두 다 누리지는 못하게 되었지만, 안과 및 시과학 분야의 대표 연구잡지라는 권위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았다.

망막색소상피 세포사 연구에 뛰어들고 몇 년 내에 나는 관련 연구에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다. 기왕 안과 연구에 뛰어들었으니 IOVS에 논문을 게재하고 싶다는 희망이 자라났다.

15번째 논문이 간행되었던 IOVS 해당 호의 표지. [사진=유영현 제공]

IOVS 게재는 안과 교수님들 ‘희망 사항’이기도 했다

나는 모든 안과 연구 논문을 우선 IOVS에 먼저 제출하고 채택이 거부되면 다른 안과 잡지에 제출하기를 거듭하였다. 마침내 이 논문이 IOVS에 채택되었다. 안과교수님들도 환호하였다.

논문이 게재된 후 한껏 기대치가 높아지면서 나는 연구의 수준을 계속 높여 나갔다.

따라서 연구 내용은 임상교수님들조차 이해하기 어려운, 매우 깊은 세포분자생물학 연구로 변해갔다. 눈 연구는 더는 안과와의 기초 임상 공동연구가 아닌 나만의 기초연구로 변하여 버렸다.

당장 눈 질병의 기작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마련하기에는 너무 동떨어진 듯한 연구가 이어지자 안과 교수님들은 내 연구와 그들의 진료에서 괴리를 느끼기 시작하였다. 더군다나 각막, 녹내장, 망막, 안(眼) 성형, 소아안과 등 각자의 세부분야와 관련한 연구는 충족되지 않았다.

나는 안과 교수님들의 희망을 알았지만, 마치 그들의 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듯 망막색소상피세포를 이용한 연구에만 집중하였다. 당시 내 형편으로는, 이미 연구 방법이 정립된 망막색소상피 분야를 넘어 다른 주제 연구를 수행할 수 없었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다. 우리 대학에서 기초 임상 공동연구의 모범적인 예라는 평가를 받았던 나와 안과의 공동연구는 높은 곳에 오른 후 깊은 골로 점차 빠져 내려갔다.

이후로도 수년간 안과 연구는 진행되었으나 안과 교수님들이 세대교체 되면서 공동연구의 열기는 더욱 식어 갔다.

망막 세포사 연구의 생산적인 결과에만 도취해 다른 안과 교수님들의 희망을 만족하게 해 드리지 못한 내 불찰이 컸다. 우리는 15년 공동연구를 접었다.

    에디터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