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해서 병원 찾는 100만명…무엇이 한국을 고단하게 했나

20대 여성 증가폭 지난해 이어 가장 높아

[사진=게티이미지뱅크]
우울증 증상으로 병·의원을 찾은 환자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실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2018∼2022년) 우울증 진료 인원 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우울증으로 진료받은 환자는 100만744명으로 집계됐다.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거론되던 정신건강 위기가 현실화한 것이라는 분석과 함께 정신건강 진료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진 것도 환자 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20대 여성 우울증 큰 폭 증가…작년에도 비슷한 결과  

남 의원실에서 배포한 자료에 따르면 병원을 찾은 우울증 환자는 △2018년 75만2976명 △2019년 79만9011명 △2020년 83만2378명 △2021년 91만5298명으로 계속 늘어나다가 2022년에 100만명을 넘으선 것이다. 

일단 연령별로는 20대가 18만5942명(18.6%)으로 가장 많았다. 뒤를 이어 30대 16만108명(16%), 60대 14만3090명(14.3%), 40대 14만2086명(14.2%), 50대 12만6453명(12.6%), 70대 11만883명(11.1%), 80세 이상 7만1021명(7.1%) 순이었다.

성별로는 여성이 67만4555명으로 남성 32만6189명보다 2배 이상 많았다. 일반적으로 우울증의 평생 유병률이 여성에서 약 20% 정도로 남성의 약 10%에 비해 두 배나 높다. 우울증 발생빈도의 성별의 차이는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는 한다.

이번 조사에는 20대 여성 우울증 환자가 큰 폭으로 늘었다. 20대 여성 환자는 2018년 5만7696명에서 지난해 12만1534명으로 2배 이상(110.7%) 증가했다. 다만 이런 경향이 새로운 것은 아니다. 지난해 조사에서도 전년대비 우울증 환자 증가폭이 가장 큰 집단이 20대 여성이었다. 특히 20대 후반 여성 우울증 증가폭은 175.2%에 달했다.

20대 여성 중 우울증 환자가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지난해  상반기 서울시여성가족재단이 최근 발행한 ‘서울시 여성가족정책 리뷰’는 설문 결과를 인용해 여성들의 차별 경험과 노동환경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당시 조사 결과 20대 여성의 우울 정도는 평균 7.93점, 차별을 경험한 또래 남성의 우울 정도는 평균 6.57점으로 나타났다. ‘직장’과 ‘전반적인 일상 생활’에서 차별을 경험한 남성 비율은 각각 41.3%, 37.2%였지만, 여성 비율은 각각 65.0%, 65.9%로 높았다. 경제활동 참여율은 여성(71.9%)이 남성(62.3%)보다 높았지만, 임금 액수는 더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당시 조사 결과에 대해 이재경 서울시여성가족재단 연구위원은 “20대 여성의 정신건강에 노동 환경 등 사회구조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팬데믹 거치며 악화…10대는 스마트폰 사용도 영향 

코로나19 팬데믹 역시 정신건강 악화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감염병 확산과 봉쇄정책 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올해 상반기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국제진료센터(가정의학과) 김승재·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응준 교수팀은 코로나19 팬데믹 전후 국내 19세 이상 성인 우울증 유병률 변화 및 우울증 유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해 발표하기도 했다. 조사 결과 팬데믹 시기(2020년) 우울증 유병률은 5.2%로, 팬데믹 이전(2018년) 4.3%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특히 설문 결과가 20점 이상인 중증 우울증 유병률은 2배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갑자스러운 봉쇄로 인한 경제적 위기, 양육 및 가사 부담의 증가, 감정적 고립 등이 정신건강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났다.

디지털 기기 사용시간 급증 역시 우울증 증가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대한보건협회 학술지 대한보건연구에 실린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폰 사용 시간이 길수록 청소년의 우울 수준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1학년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 시간과 우울척도를 측정해 비교한 결과 평일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4시간이상일수록 우울 점수가 높았다. 10대의 경우 전년도에 비해 우울증 치료 환자 증가율이 여성과 남성 각각 58.80%, 59.90%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보다 정신건강 치료를 위해 병원을 찾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줄어든 것도 환자수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나온다.

실제 2021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연구원이 발표한 ‘정신질환자의 의료이용 현황 및 단계별 특성 연구’에 따르면 정신질환 및 정신과적 문제로 의료서비스를 이용한 환자 수는 2009년 206만7000명에서 2019년 311만6000명으로 증가해 연평균 4.2%의 증가율을 보이면서 환자들이 예전보다는 정신건강 관리에 이전보다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조성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제 때 일어나고 제 때 밥을 먹는 것, 제 때 잘 자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면서 “이 외에도 특정 요일에 자신이 좋아하는 길 걷기, 좋아하는 음악 듣기, 혹은 늘 좋아하는 유튜브 채널 시청하기처럼 애정을 갖고 할 수 있는 루틴을 많이 만들어 ‘리듬’있는 생활을 만드는 게 좋다”고 제안했다.

조 교수는 또 “우울증에 걸렸다고 두려워할 필요는 없다면서, 현재 상황을 함께 고민해줄 전문가를 찾고 고민을 나누다보면 해법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전문가를 찾아가는 걸 주저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윤은숙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1
    댓글 쓰기
    • goo*** 2023-10-04 21:01:29

      꼭 우울증이라기 보다 살아가면서 건강에도 좋을것같습니다.

      답글0
      공감/비공감 공감1 비공감0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