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뱀독' 막으려 꽉 묶었다간...추석 전후 응급상황 대처법
벌에 쏘이면 쇼크 올 수도
추석에는 벌초와 성묘 등을 위해 산을 찾는 이들이 많다. 때문에 명절 전후에 뱀에 물리거나 벌에 쏘이는 등 안전사고로 병원을 찾는 환자가 크게 늘어난다. 그렇다면 가을 야외 활동 중 응급 상황이 발생했을 땐 어떤 조치를 취하는 게 현명할까?
뱀독 퍼지지 않으려 '꽉 묶기' 괴사 위험
뱀에 물렸을 경우 우선 독사인지 여부를 확인해야한다. 통상 독사는 머리가 화살촉처럼 삼격형이고 눈동자는 아래위로 긴 수직 형태다. 몸통은 표범처럼 얼룩덜룩한 무늬에 적갈색, 초록색을 띤다.
응급처치 방법은 독이 전신에 퍼지는 것을 막고자 끈이나 수건으로 상처 부위 주변을 묶는다. 이때 독이 퍼지는 것을 막겠다고 풀기 어려울 정도로 꽉 묶는 것은 오히려 안좋을 수 있다. 의정부을지대병원 응급의학과 양희범 교수는 "상처 주변 부위를 너무 꽉 묶을 경우 오히려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부종이 생길 수 있고, 혈액 흐름을 막아 상처 아랫부위가 괴사할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이어 "물린 부위 5~10㎝ 윗부위를 끈이나 수건 등을 이용해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로 여유 있게 묶은 후 물린 부위를 심장보다 낮게 유지한 상태로 뛰지 말고 가까운 병원에 가서 치료받아야 한다"고 조언했다.
벌에 쏘이면 무조건 병원 찾는 게 좋아
땅 속에 숨은 벌도 특히 주의해야 한다. 벌초 과정에서 벌집을 건드리는 경우 순식간에 벌 떼로부터 공격받게 된다. 말벌이 아닌 일반 벌은 쏘인 부위에 통증, 붓기, 가려움 등 반응이 나타나고 1~2일이면 증상이 사라진다.
중요한 것은 알레르기 반응이다. 벌독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일반 벌에 쏘여도 위험할 수 있다. 피부가 창백해지고 땀이 나고 두드러기나 설사가 생기거나 호흡곤란이나 혀와 목이 붓기 시작하면 즉시 병원을 찾는 게 좋다. 양 교수는 "평소 벌독 알레르기가 있는지 알고 있는 사람은 없기에 벌에 쏘였다면 별 증상이 없더라도 과민성 쇼크에 대한 대비 차원에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절단 부위 얼음에 싸면 접합수술 어려워
예초기를 사용하면서 가장 많이 일어나는 사고는 작업 중 톱날이 돌에 부딪혀 손가락, 발가락 등이 다치거나 절단되는 경우다. 사고가 발생한다면 먼저 적당한 힘으로 지혈한 뒤 절단된 부위를 물로 씻은 다음 찬물에 적신 수건으로 싸서 병원을 빠르게 찾아야 한다. 양 교수는 "절단 부위를 얼음과 함께 넣어 오는 경우 조직 세포에 문제가 생겨 접합수술이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얼음에 싸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참고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