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스 윌리스 치매 판정…’전두측두엽 치매’란?

전두측두엽 치매 발생...알츠하이머 치매와 달리 기억력엔 영향 적어

브루스윌리스
할리우드 스타 브루스 윌리스가 전두측두엽 치매를 진단받았다. [사진=인스타그램/브루스윌리스]
작년 3월 실어증으로 은퇴를 선언한 유명 할리우드 스타 브루스 윌리스(67)가 치매 판정을 받았다.

16일(현지시간) 미국 CNN과 AFP통신 등에 따르면 윌리스의 가족은 그가 전두측두엽 치매(FTD)에 걸렸다는 진단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그의 가족들은 “작년 3월 브루스가 실어증 진단을 받은 이후에도 병세는 계속됐다”라며 “불행하게도 윌리스가 겪고 있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그가 직면한 병의 한 증상일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1970년대 브로드웨이 무대에서 연기 생활을 시작했고 1980년대 TV 드라마 ‘블루문 특급'(원제 ‘문라이팅’)으로 이름을 알렸다. 1987년 ‘다이하드’ 시리즈의 주인공을 맡은 그는 세계적인 액션 스타로 떠올랐다. 그는 골든글로브상, 에미상 등을 받았고 2006년에는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도 이름을 올렸다.

전두측두엽 치매는 알츠하이머 치매와 달리 기억력보다는 행동과 언어 기능에 더 영향을 미친다. 뇌의 전두엽과 측두엽 손상으로 발생해 판단력 장애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전두엽은 행동과 판단 등을 조절하며, 측두엽은 언어 기능 등을 담당한다.

전두측두엽 치매 중 약 70%는 문제 행동을 보인다. 공격적이거나 이기적인 모습 등 본능적인 행동을 참지 못하거나 공감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특정 음식을 고집하거나 지나치게 음식에 집착하는 등 강박 행동이 나타나기도 한다.

인지 장애나 행동에는 이상 없이 언어 기능이 떨어지기도 한다. 말을 더듬거나 단어와 문장을 이해하기 어려운 증상이 나타난다. 반면 말은 제대로 하지만 물건, 단어 등의 의미에 대한 지식이 없어져 단어를 선택하고 이해하는 것에 버거움을 느낄 수도 있다.

전두측두엽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혈관 건강 관리에 특별히 신경을 써야한다. 당뇨와 고혈압, 비만, 고콜레스테롤혈증 등은 신경퇴행성 질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잦은 음주와 흡연도 마찬가지다. 가벼운 신체활동과 사회 활동, 균형잡힌 식단은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된다. 항산화 성분이 풍부한 과일, 채소와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생선을 골고루 먹는 것이 좋다.

닥터콘서트
    최지혜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