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식 소용없다, 평소 식습관이 건강 좌우

혈액 속에 기름 성분인 지질이 많아진 상태를 '고지혈증'이라고 한다. 이는 지방을 많이 먹는 서구화된 식생활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식습관을 비롯한 전반적인 생활습관의 교정이 고지혈증을 막을 수 있는 이유다.

총콜레스테롤이 데시리터 당 240밀리그램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밀리그램 이상이면 고지혈증에 해당한다. 이처럼 혈액 속에 지방 성분이 많은 상태가 지속되면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침착해 덩어리를 형성하고 이게 점점 커지면서 혈액이 지나가는 통로를 좁게 만든다.

동맥이 좁아지면 혈류장애를 초래하는 동맥경화가 된다. 동맥경화증은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이러한 심혈관계 질환은 한국인의 가장 높은 사망원인이다.

고지혈증을 막으려면 건강한 콜레스테롤 수치를 유지해야 한다. 체내에는 고밀도 콜레스테롤(HDL), 저밀도 콜레스테롤(LDL), 중성지방 등 세 종류의 지질이 있다.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흔히 '좋은 콜레스테롤'이라고 불리며 심장병을 예방한다. 몸 이곳저곳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해 간으로 빼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반면 간에서 혈관벽으로 콜레스테롤을 가져오는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나쁜 콜레스테롤'로 불리며 심장병 위험률을 높인다.

중성지방은 콜레스테롤과는 다른 지방 성분으로, 과잉이 되면 동맥경화를 유발한다. 당질이 많이 포함된 식사와 알코올에 의해 쉽게 증가하고, 장기 기능을 저하시킨다. 간에는 지방간을 일으켜 간 기능을 떨어뜨리고, 대사기능에 이상을 일으켜 병에 대한 저항력을 낮춘다. 심장과 혈관에 중성지방이 많이 쌓이면 동맥경화가 촉진돼 협심증과 심근경색 등이 생기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콜레스테롤이라고 칭하는 것은 '총콜레스테롤'로, 세 종류의 지질을 모두 합친 값이다. 총콜레스테롤은 데시리터 당 200밀리그램 이하,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130밀리그램 이하, 중성지방은 200밀리그램을 유지해야 심혈관 건강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

콜레스테롤은 우리 몸에 불필요한 존재가 아니다. 세포막, 호르몬, 피부, 담즙산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꼭 필요한 영양소다. 다만 필요 이상 과량으로 존재하면 동맥경화의 주범이 되므로 관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생활습관을 바꿔야 한다. 현대인의 성인병은 대체로 생활습관에서 기인한다고 봐도 무리가 아니다. 습관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평생 유지되는 것인 만큼 단기적으로 단식을 하는 등의 방식은 고지혈증을 막는데 별다른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고지혈증은 20~30년이라는 오랜 기간에 걸쳐 동맥경화를 진행시키므로, 꾸준한 식사와 운동 관리로 지질을 정상화하는 등의 평소 관리가 중요하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에 의하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려면 평소 섬유소가 많은 채소 중심의 식사를 하고, 포화지방 함량이 높은 동물성기름 섭취는 줄이도록 한다. 표준체중을 유지하고, 하루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도 도움이 된다.

[사진=solar22/shutterstock]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