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해지면 ‘이타심 호르몬’ 나온다

돕고픈 마음 생기고 편안하게 느껴져

친해지면 ‘이타심 호르몬’ 나온다감정적으로 가깝다고 느끼면 여성 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증가하면서 나를

희생하더라도 상대방을 돕고 싶다는 이타심이 들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미시건 대학교 스테파니 브라운 박사 팀은 여대생 160명에게 두 가지 다른

일을 시키면서 호르몬 변화를 관찰했다. 첫 번째 일은 20분 동안 생물학 관련 원고

교정을 보는 일이었다. 서로 감정적 교류를 할 필요가 없는 일이었고, 호르몬에 아무런

변화도 없었다.

두 번째 일은 서로 컴퓨터로 카드 게임을 하는 일이었다. 서로 감정을 주고받지

않을 수 없는 일이다. 처음 컴퓨터 카드 게임을 했을 때 호르몬 변화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1주일 뒤 다시 같은 파트너와 카드 게임을 한 뒤부터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스트레스 정도를 나타내는 코르티솔 호르몬 수치는 같았지만 프로게스테론 수치는

올라갔다.

두 번째 카드 게임이 끝난 뒤 한 상대가 현재 자신이 어려운 처지에 있다고 말하자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올라간 게임 파트너는 “내가 손해를 보더라도 너를 돕겠다”는

이타심을 보여 줬다.

프로게스테론은 여성의 월경 주기에 따라 그 수치가 오르락내리락 하는 여성 호르몬이다.

여성 호르몬이라고 여자에게만 있지는 않고, 남자에게도 수치는 낮지만 존재한다.

여성은 폐경기가 지나면 이 호르몬 수치가 떨어진다.

기존 연구에서도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높을수록 다른 사람과 사귀려는 욕구가

강해진다고 밝혀졌다. 이번 연구에서는 높은 프로게스테론 수치가 이타심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이기적 인간이 왜 이타심 갖나’ 의문에 대답

브라운 박사는 “이번 연구 결과는 이타심에 대한 최근의 진화론적 설명과도 잘

맞는다”고 말했다. 사실 이타심은 진화론 연구자들에게 난제 중 하나였다. 기본적으로

이기적이며 자신의 유전자를 후세에 남기기 위해 서로 겨루는 인간 또는 동물이 어떻게

자신을 희생하며 남을 돕는 이타적 행동을 할 수 있는지는 풀기 어려운 숙제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늙은 가족이 아플 때 다른 일을 제쳐두고 돌보는 행위는 ‘이기적 유전자’

관점에서 보면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번 브라운 교수의 연구는 “친해지면

돕고 싶은 호르몬이 생기고, 동시에 감정적으로 스트레스가 줄고 편안하게 느껴진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진화론적으로 어떻게 이타심이 발전할 수 있었는지를 호르몬 차원에서

뒷받침한 연구로 평가되는 이유다.

브라운 교수는 “이타심의 이러한 작용은 왜 사회적 친밀도가 높은 사람이 더

건강하고 오래 살며, 사회적으로 고립된 사람은 병에 잘 걸리는지를 설명해 주기도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학술지 ‘호르몬 및 행동 (Hormones and Behavior)’ 6월호에

실렸으며, 미국 온라인 과학뉴스 사이언스데일리 등이 3일 보도했다.

    정은지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