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센티 이상의 안와육종, 전신 전이-사망 위험 높여

[사진=서울아산병원 안과 사호석 교수(왼쪽 첫 번째)가 안와육종 환자의 수술을 집도하고 있다.]
국내 연구팀이 안와육종의 재발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높이는데 참고가 될 만한 기준 데이터를 제시했다.

안와육종은 머리뼈 속 안구(눈알)가 들어있는 공간에 생기는 악성종양이다. 눈이 돌출되거나 물체가 이중으로 겹쳐 보이게 되고, 진단이 늦어지면 시력을 잃을 수도 있다.

서울아산병원 안과 사호석 교수와 미국 엠디엔더슨 암병원 연구팀이 국제 학술지 ‘미국의사협회 안과학회지(JAMA Ophthalmology)’에 발표한 논문에 의하면 정확한 병기와 예후 예측 인자에 따른 치료 계획을 세우고, 수술 후 재발 여부를 조기 발견하는 주기 검사를 적용하면 안와육종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공동 연구팀은 안와종양 중에서도 치료가 까다로운 안와육종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도출했다. 철저한 진단 검사와 최신판 암 병기 결정 기준 AJCC(미국암연합위원회,8차)를 통한 암 병기 설정, 예후 인자 분석을 기반으로 한 치료 계획과 경과 관찰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사호석 교수팀의 이번 연구는 처음으로 AJCC의 안와육종 병기에 대한 유용성을 검증하고, 중요한 예후 예측 인자들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안와육종은 희귀하고 조직학적으로도 다양하기 때문에 AJCC 안와육종의 병기 체계가 유용한지 검증하기 어려웠을 뿐 아니라, 치료 및 경과 관찰의 표준화된 관리도 불분명했다.

이번 연구는 안와육종을 진단받은 환자들 중 수술, 방사선, 항암 치료 등을 시행한 후 장기간 경과 관찰이 가능한 7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됐다.

[사진=(왼쪽)수술 전 MRI 검사에서 왼쪽 안와의 외직근에 발생한 안와육종, (오른쪽)수술 후 안와육종이 완전히 제거된 모습]
치료 전 시행한 병리조직학 및 영상의학적 검사를 통해 안와육종의 양상(T병기)과 림프절전이(N병기) 혹은 전신전이(M병기) 유무를 확인하고, AJCC에 근거해 안와육종 병기를 모든 환자에서 평가해 치료 결과와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안와육종의 침범 양상을 반영하는 T병기는 암의 국소재발, 림프절전이, 전신전이 및 사망의 위험과 관련이 있었다. 특히 T3병기 이상의 안와육종은 전신전이 위험이 3.24배, 사망 위험이 6.32배 증가해 예후가 더 나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료 전 림프절전이(N1병기 이상)가 있으면 전신전이 위험이 13.33배, 사망 위험이 7.07배로 증가했다. 그 외에도 3cm 이상의 안와육종이나 포상횡문근육종과 같은 조직학적 진단도 전신전이와 사망 위험을 높이는 예후 인자로 확인됐다.

사호석 교수는 “안구, 시신경, 외안근육 등이 위치한 안와 공간 내에 생기는 안와육종은 눈의 기능뿐만 아니라 생명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하지만 정확한 조직학적 진단과 병기, 예후 인자를 평가해 환자 맞춤형 치료와 재발의 조기발견을 위한 경과 관찰로 안와육종의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연구 결과는 안와육종 환자의 예후를 평가할 수 있는 데이터를 제시하고 있다”며 “환자들의 적극적인 치료를 유도하고 궁극적으로는 안와육종의 재발을 줄이고 생존율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는 참고 기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세영 기자

    저작권ⓒ 건강을 위한 정직한 지식. 코메디닷컴 kormedi.com / 무단전재-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0
    댓글 쓰기

    함께 볼 만한 콘텐츠

    관련 뉴스